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예
견본
실례
예제
일견
사례
바라보기
스페셜
"
보기
"(으)로 총 839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이 거울을 본다는 것의 의미
2019.02.12
같은 날짜에 실렸는데 이에 따르면 청소놀래기가 ‘거울 마크 테스트’를 통과했다고
보기
는 어렵다. 피부에 그린 반점과는 달리 피부 아래 넣은 탄성 고분자 반점에는 물고기가 이물감 또는 약간의 통증을 지속적으로 느끼기 때문이다. 프란스 드 발은 같은 날짜에 발표된 해설에서 거울 마크 ... ...
[강석기의 과학카페]홍역은 어떻게 면역 기억상실을 일으킬까
2019.01.29
동일인에서 홍역을 앓기 전과 앓고 난 후의 면역세포 유형에 따른 수의 변화를 알아
보기
로 했다. 어차피 한동안 홍역이 돌 것이므로 아직 걸리지 않은 어린이 82명의 혈액을 채취했다. 유행이 지나간 뒤 조사한 결과 이 가운데 무려 77명이 홍역에 걸린 것으로 밝혀졌다(참고로 전체 홍역 환자는 2600여 ...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②코딩, 무엇으로 배울 것인가
2019.01.28
이렇듯 아이를 고문하는 영상으로도 유명하다. 다른 비주얼 코딩 플랫폼을 찾아
보기
로 했다. 구글은 ‘블록클리(Blockly)’를 만들었고,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 빌 게이츠와 페이스북 창업자 마크 저커버그는 ‘코드닷오알지(code.org)’를 후원했다. 두 플랫폼의 ‘Getting started’(시작하기)를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자신을 잘 통제하는 사람이 쓰는 세 가지 전략
2019.01.26
더 하면 끝날 거라고 생각하기 4. 반응 조절 : 때려치고 싶은 마음이나 지루함을 억눌러
보기
. 5. 정서 조절 : 즐거운 일을 떠올리는 등 기분 환기하기 또 다른 실험에서 연구자들은 약 260명의 사람들을 대상으로 일주일 간 매일매일 끈기가 필요한 지겨운 일을 할 때 어떠한 전략을 썼는지에 대해 ... ...
중세 유럽 암흑기에도 여성은 예술혼을 불태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10
통하는 중세 유럽에서 서적은 귀족과 종교의 전유물이었다. 종교기관과 귀족이
보기
위해 수도원에서 펴낸 종교서적에는 당대 예술가들이 그린 삽화들이 채워졌다. 여기에는 금과 은, 푸른색을 띠는 청금석과 같은 고급 재료가 쓰였다. 청금석은 아프가니스탄 일대에서 생산돼 유럽으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다이어트도 발상의 전환이 필요한 때
2019.01.02
연구자들은 스마트폰 앱을 만들어서 사람들의 식습관을 실시간으로 조사해
보기
로 했다. 설문지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그 결과 오늘날 정말 많은 사람들이 시도 때도 없이 먹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아무 때나 마음대로 먹을 수 있는 경우(위)에 비해 칼로리제한이 건강에 좋고 수명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TV의 과잉스펙 시대
2018.11.13
궁금해 한 채널을 봤다. 마침 외국의 자연 풍경을 보여주는 프로그램이었는데,
보기
에도 시원하고(이건 화면이 커졌기 때문일 것이다) 디테일이 살아있었다. HD 채널로 돌려 보니(따라서 동시 비교는 아니다) 화면이 약간 뭉개져 보였다. UHD TV가 UHD 콘텐츠가 없어 제 기능을 100% 발휘하지 ... ...
[강석기의 과학카페]토마토는 과일이 될 수 있을까?
2018.10.16
가짓과(科) 식물이다) 토마토 작물화 과정을 밝힌 게놈연구결과를 꽈리 작물화에 적용해
보기
로 했다. 즉 둘이 친척 식물이므로 해당 유전자가 꽈리에도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꽈리의 게놈을 분석한 결과 1만 3000개에 가까운 유전자가 토마토의 유전자와 1대1로 대응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올리버 색스와 신경퇴행성질환 리티코-보딕 이야기
2018.09.18
용량의 비현실성에 대한 비판에 대한 얘기를 듣고 원주민들의 식생활을 면밀히 조사해
보기
로 했다. 그 결과 괌 사람들이 과일박쥐를 즐겨 먹었고 이 박쥐가 소철 씨를 즐겨 먹는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흥미롭게도 이 박쥐는 사람 등쌀에 1980년대 멸종했다. 콕스는 ‘색맹의 섬’(물론 2부 소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갈색지방 속 ‘숙신산’서 다이어트 효과 찾았다
2018.08.07
미지수 연구자들은 다음으로 숙신산을 먹었을 때도 열생성 효과가 있는지 알아
보기
로 했다. 주사제와 먹는 약은 적용 범위에서 큰 차이가 난다. 생쥐들은 고지방 사료를 마음대로 먹을 수 있는 상태에서 한 그룹은 맹물을 다른 그룹은 숙신산을 1.5% 농도로 녹인 물을 먹었다. 좀 시큼하지만 먹을 만 ... ...
이전
43
44
45
46
47
48
49
50
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