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절
절기
시즌
어린시절
어린
철
철강
스페셜
"
시절
"(으)로 총 599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털과 땀샘의 음양이론
2017.02.07
GIB 제공 대학원
시절
‘분자진화학’이라는 과목을 들었다. 수업 내용은 다 잊어버렸지만 어느 날 교수님이 한 말씀은 기억이 선명하다. 학생들이 연구 관련 분야의 최신 논문은 열심히 읽는데 자칫 숲은 못 보고 나무만 보는 결과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숲을 보는 방법으로 1년에 한 번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4] 노트북도 이제 배터리로 승부?
2017.01.10
노트북 ‘맥북에어’의 반향도 상당했다. 무게가 2kg를 안 넘으면 가벼운 노트북이었던
시절
(13.3인치 기준) 잡스가 무게 1.3kg에 불과한 세계에서 가장 얇은 노트북을 서류봉투에서 꺼내는 모습은 깊은 인상을 남겼다. 결국 필자는 2011년 맥북에어를 사서 지금까지 쓰고 있다. 2008년 1월 15일 열린 ... ...
시스템 생물학의 눈으로 노화의 비밀을 들여다보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1.06
연구단의 남홍길 단장과 인연이 깊은 것 같습니다. A: 남홍길 단장님과는 포스텍 교수
시절
부터 인연이 있습니다. 남 단장님은 당시 과학기술부 지정 국가핵심연구센터 '시스템바이오다이나믹스 연구센터'의 센터장이셨는데, 센터 과제의 일환으로 융합생명과학을 다루는 'iBIO (School of interdisciplinary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6) 극저온에서 새로운 물질 상태를 구현한 데보라 진
2016.12.31
쓴 세 사람 가운데 이론원자물리학자 존 본(John Bohn)은 진의 남편이다. 두 사람은 대학원
시절
만나 결혼했고 같은 연구소에서 일하며 공동연구도 많이 했다. 천재 여성 과학자의 때 이른 죽음이 더 안타까운 이유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1) 컴퓨터를 활용한 아동 교육의 선구자 ‘시모어 페퍼트’
2016.12.26
아이들에게 즐거운 놀이가 될 수 도 있을 것이다. 1960년대 중반 아직 컴퓨터가 생소하던
시절
어린이가 쓰기 쉽고 프로그래밍도 할 수 있는 컴퓨터를 만들었던 수학자 시모어 페퍼트(Seymour Papert)가 7월 31일 88세로 눈을 감았다. 1971년 마빈 민스키(왼쪽)와 시모어 페퍼트. MIT에서 한 동안 같이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0) 현장에 개입해 핵심종 개념을 만든 로버트 페인
2016.12.24
Paine)이 등장하기 전까지는. 1933년 미국 매사추세츠 케임브리지에서 태어난 페인은 어린
시절
자연의 품속에서 자랐고 하버드대에 들어가서는 고생물학에 심취했다. 화석을 연구하기 위해 미시건대 대학원에 진학한 페인은 그러나 생태학자 프레더릭 스미스의 강의를 듣고 생태학으로 전향해 ... ...
기초과학은 모든 인류의 공통 관심사
동아사이언스
l
2016.12.21
앞서 자신이 과학자가 된 계기와 분자생물학을 연구하게 된 배경을 설명했다. 그는 어린
시절
선물 받은 책, 제임스 왓슨의 '유전자의 분자생물학'을 보고 자신이 원하는 길을 결정했다고 이야기했다. 이어서 생쥐에서 표현형을 유발하는 돌연변이원을 거의 즉각적으로 추적할 수 있는 방법을 ... ...
끈이론의 대가, 삼라만상의 정보에 심취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2.21
풀던 문제였는데, 두 사람이 합심해 각고의 노력 끝에 해결했던 것이다. 칼텍에서 대학원
시절
이수종 단장은 끈의 양자역학적인 요동 현상이 양자장과 어떻게 다른지를 고민하며 우주공간에 적용하는 연구를 하다가 놀라운 사실을 발견했다. 그는 "끈의 양자 요동 효과를 평평한 우주공간에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7) 메타개체군 연구를 심화시킨 ‘일카 한스키’
2016.12.20
태어난 한스키는 전원에 위치한 할아버지 집에서 나비와 나방을 채집하며 어린
시절
을 보냈다. 당시 헬싱키대의 유전학자 에스코 수오말라이넨이 할아버지 집에서 희귀한 나비를 채집했는데 이게 인연이 돼 한스키는 생물학에 더 열정을 갖게 됐다. 헬싱키대에서 생물학을 공부한 뒤 영국으로 유학 ... ...
뇌 속 면역 담당한 미세아교세포의 두 얼굴
2016.11.23
일하는 공무원이다. 잠깐 고민하다 새로운 경험이기도 해서 한 번 사봤다. 대학
시절
제본한 책보다는 낫지만 일반 출판도서에 비해 모양새는 떨어졌다. 그러나 내용은 기대이상이었다. 역자는 머리말과 함께 전체 여덟 권의 매 권 앞에 해설을 붙였고 자세한 각주도 달았다. 문득 ‘출판사를 ... ...
이전
43
44
45
46
47
48
49
50
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