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핵인"(으)로 총 588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260]아인슈타인도 두 번 놀랐을 중력파 검출 성공!2016.02.13
- 1916년 이미 아인슈타인은 믿기지 않는 것을 주장했다. 오로지 자신의 마당(장)방정식을 근거로 중력 역시 파동을 만들어내야 함을 보여줄 수 있었던 것이다. 별이 붕괴하는 경우처럼 질량, 아울러 중력장에서 일어나는 극도의 변화가 시공간을 진동시킬 수밖에 없으리라는 것이다. 물론 그 효과가 ... ...
- 원자력 규제도 고객 중심이 가능할까?2016.01.28
- 지난 2009년 12월 27일. 우리나라는 아랍에미레이트 원자력공사(ENEC)와 186억 달러 규모의 UAE 원전 건설 주계약을 체결했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는 원자력 수출 분야에 있어서 미국, 러시아, 프랑스 등 주요 원전 수출국과 동등한 반열에 오르게 되었으며, 우리나라의 원자력 기술력에 대한 국제 사회의 ...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9)생명윤리 정책에 영향을 준 역사학자 ‘리사 자딘’2016.01.09
- 연말마다 마지막 과학카페에서 필자는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라는 제목으로 그해 타계한 과학자들의 삶과 업적을 뒤돌아봤습니다. 2015년도 한 해도 여러 저명한 과학자들이 유명을 달리했습니다. 이번에도 이들을 기억하는 자리를 마련했습니다. 과거와 마찬가지로 과학저널 ‘네이처 ... ...
- 영화 속 스파이가 실제 원자력 시설에 침투할 수 있을까?2015.12.22
- 경비가 삼엄한 적 군사기지. 군사 차량의 바닥에 매달려 출입문을 무사히 통과했다. 높은 철망은 경비가 허술한 틈을 타서 절단기로 끊고 안으로 살금살금 기어들어 간다. CCTV가 있지만, 전원만 차단하면 무용지물이다. 아무리 견고한 보안 장비라고 해도 반드시 뚫고 지나간다. 매년 한두 편 이상 ... ...
- 해양의 미래를 밝힐 '육상폐기물 해양투기 전면금지' 시행, 눈 앞에동아사이언스 l2015.12.17
- 사진1. 환경·복원연구본부 정창수 본부장. 1993년 10월 17일 블라디보스토크 남동쪽 약 1백90㎞ 해상에서 러시아함정이 10시간에 걸쳐 방사성 액체 핵폐기물을 흘려보내는 것을 그린피스가 적발해냈다. 알고 봤더니 당시 처음이 아니라 구소련 시절 30년 동안 북한과 인접한 동해의 6곳을 포함, 오호 ... ...
- [KSTAR 그것이 알고 싶다 10] 숫자로 보는 핵융합, "7"2015.12.10
- 7은 행운의 숫자다. 7이 ‘럭키 세븐(Lucky 7)’이 된 데는 야구의 공이 컸다. 미국 메이저리그 경기에서 있었던 일이다. 7회 공격 때 타자가 친 공이 외야 플라이로 날아가다가 마침 강풍이 불면서 파울볼이 홈런이 됐다. 다른 경기에서도 7회만 되면 유독 득점이 많이 나왔던 메이저리그에서 이렇게 ‘ ... ...
- [KSTAR 그것이 알고 싶다 9] 숫자로 보는 핵융합, “260”2015.12.02
- ‘여긴 어딜까?’ ‘나는 누구지?’ 알 수 없는 세상에 내던져진 그들은 외롭고 또 두려웠다. 밝고 뜨겁지만 이상하리만치 적막한 세상. 137억 년 전 우주는 그들 소립자들만의 세상이었다. 더 이상 쪼갤 수도 나눌 수도 없을 만큼 미소한 이들은 빅뱅과 함께 137억 년 전 존재하기를 시작한다. 하지만 ... ...
- [KSTAR 그것이 알고 싶다 8] 숫자로 보는 핵융합, "-268도"2015.11.30
- 1911년 11월 18일 영국의 스코트가 드디어 남극점에 도착했다. 하지만 그곳에는 이미 노르웨이 국기가 꽂혀 있었다. 나흘 전인 14일 노르웨이 탐험가 아문센이 이미 남극점에 도착한 것이다. 비록 ‘최초’라는 타이틀은 놓쳤지만 살을 에는 추위와 눈보라를 뚫고 남극점에 도착한 스코트 역시 위대한 ... ...
- [KSTAR 그것이 알고 싶다 7] 숫자로 보는 핵융합, "1억 도"2015.11.25
- 2011년 개봉한 영화 '생존게임 247℉'는 사우나에 갇힌 사람들의 필사적 탈출기를 그린 영화다. 영화에서 정상체온 36.9도의 인간이 견딜 수 있는 최대의 온도를 120도로 상상한다. 물이 끓기 시작하는 100도, 영하 10도 까지 떨어지는 겨울철 기온, 40도 안팎의 뜨끈한 목욕물 등이 우리가 익숙하게 접 ... ...
- [KSTAR 그것이 알고 싶다 6] 숫자로 보는 핵융합 ,"300초"2015.11.24
- 300초. 5분이라는 시간은 대부분 우리 일상에서 짧은 순간으로 여겨지기 마련이다. 업무 중간에 잠깐 화장실에 다녀오거나, 커피 한 잔을 타 마실 수 있는 정도의 시간. 또는 끓는 물에 라면을 넣고 면이 익길 기다리는 시간 정도이다. 하지만 5분이라는 시간이 어느 때보다 중요해지는 순간도 있다. ... ...
이전4344454647484950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