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때
시각
타임
시점
세월
시
타이밍
d라이브러리
"
시간
"(으)로 총 14,019건 검색되었습니다.
원자를 세는 영원불멸의 수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1몰은 그냥 아보가드로 상수만큼의 입자 개수라고 말하면 된다. 하루는 24
시간
이고, 1
시간
은 60분인 것처럼 말이다. 겨우 이 정도 작은 숫자 하나 정하려고 그 수고를 하나 싶지만 눈에 보이지도 않는 그 전진이 바로 과학이라고 전문가들은 말한다.당장 혜택을 받는 쪽은 나노화학이나 나노바이오 ... ...
쉬운 일을 어렵게 하는 매력, ‘골드버그’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총 393개 팀이 참가했다. 본선 참가자들은 교사 없이 학생들끼리 조를 짜 5
시간
안에 임무를 성공해야 했다. 4회를 맞는 올해 과제는 ‘공간을 확장하라’이며 빅뱅 이후 우주의 팽창을 묘사해야 한다. 8월부터 예선 접수를 시작한다(159쪽 참조).‘쉬운 일을 어렵게, 간단한 일을 복잡하게.’ ... ...
박쥐가 알려 주는 교통사고 방지 전략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서로 부딪히지 않을 수 있는 거죠.방법은 간단해요. 우리는 반사된 초음파가 돌아오는
시간
에 따라 다른 박쥐와의 거리를 알아낼 수 있거든요. 그 뒤 날갯짓을 4~5번 할 동안 다른 박쥐가 날아가는 방향을 알아내고, 날아갈 방향을 다른 쪽으로 바꿀 수도 있답니다.그런데 혹시 제 외모를 보고 제가 ... ...
지친 곤충들만 오세요~! 곤충호텔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작년부터 곤충호텔을 만들기 시작했기 때문에 아직 곤충 손님이 많지 않아요.
시간
이 지나 통나무와 짚이 썩으면 더 많은 숙박객이 찾아올 거예요. 서울시에서는 만들어 둔 곤충 호텔을 계속 관찰할 예정이랍니다. 친구들도 여러분만의 곤충호텔을 만들어 보는 건 어떨까요? 아주 ... ...
알록달록 색깔 품은 세상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시끄러운 소리가 들리는 듯한 집도 무척 흥겨워 보입니다. 테라스마다 사람들이 저녁
시간
을 보내고 있는 모습이 정말 정겹네요. 만약 여러분이 이곳에 있다면 어느 집에서 함께 하고 싶은가요?중국 후난성 펑황 마을에 있는 조각루를 사진에 담았어요. 2014-2015 함단국제사진공모전(HIPA) 수상작 중 ... ...
[지식] 안테나, 우주의 소리를 듣다!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데 걸리는
시간
이다. 반면 항성일은 지구가 별을 기준으로 한 바퀴 자전하는 데 걸리는
시간
이다. 잰스키는 여러 자료를 모아 연구를 보충한 끝에, 잡음의 원인이 지구 밖 어딘가에서 오는 신호라고 추측했다.그런 뒤 이 결과를 1932년 4월, 국제 과학 라디오 연합 모임에서 발표했다. 여기서 여러 ... ...
[지식] 마지막 요리 모두의 맛, 미분과 적분 그리고 치킨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오르내리는 주식시장까지…. 수학이 다루는 주제가 무궁무진해졌습니다. 계산에 쓰이는
시간
도 훨씬 짧아졌습니다. 고대의 수학자가 평생에 걸쳐 구하던 호의 길이나 타원의 넓이를 이젠 고등학생 정도면 쉽게 계산할 수 있게 됐습니다.조상님은 치킨을 먹지 못했다!신라의 수도 경주가 ‘계림(鷄林 ... ...
[생활] 수학과 화학의 맛있는 만남 분자요리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단단해지면서 거품도 오래 간다. 잘 만든 달걀흰자 거품은 지름이 10~150μm 정도다.하지만
시간
이 흐르면 물과 공기가 다시 분리된다. 결국 거품이 하나둘씩 터지면서 사라진다. 심한 경우에는 거품 요리를 그릇에 담는 과정에서 무너져버릴 수도 있다. 거품이 잘 터지는 건 거품 주변에 힘이 작용하기 ... ...
[과학뉴스] 태양과 달이 사라졌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이번에 일어난 월식은 우리나라에서도 4월 4일 저녁 7시쯤부터 10시 40분 정도까지 3
시간
30분 동안 관찰할 수 있었어요. 하지만 날씨가 흐려 제대로 보기 힘들었지요. 다음 개기월식은 2018년에 있을 예정이랍니다 ... ...
소똥부터 물방울까지! 별별발전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불 때 5×7.5cm 크기의 장치 하나에서 0.86mW 정도만 얻을 수 있어요. 같은 장치 1만 개를 한
시간
동안 펄럭여야 스마트폰 배터리 하나를 충전할 정도지요. 하지만 앞으로 효율을 높이고 크기를 키우면 더 많은 양의 전기를 얻을 수 있을 거라고 해요. 물방울을 만나면 전기를 뱉는 소자바람이나 마찰뿐만 ... ...
이전
476
477
478
479
480
481
482
483
4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