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최초"(으)로 총 6,508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로 중력파 보낸 천체 위치, 처음으로 확인됐다동아사이언스 l2017.10.17
- 16일 “세계 45개국 3000여 명 과학자들의 협력 연구를 통해 중력파의 발생 지점을 인류 최초로 밝혀냈다”고 밝혔다. 국내에선 한국중력파협력연구단, 한국천문연구원, 서울대 초기우주천체연구단, 성균관대 우주과학연구소 등 38명의 과학자들이 참여했다. 중력파 관측소인 미국 라이고(LIGO)와 ... ...
- 네이버가 만든 로봇이 서점 재고 정리한다...기술 플랫폼 증명한 데뷰 2017바이라인 네트워크 l2017.10.16
- 행사에서는 자율주행차 기술도 소개됐다. 네이버는 자동차 관련이 아닌 기업으로는 국내 최초로 국토부 도로주행 임시허가를 취득해 실제 도로에서 자율주행 실험 중이다. 네이버랩스는 현재 미국자동차공학회 자율주행 기준 ‘레벨3’인 기술 수준을 올해 말까지 복잡한 도심 환경에서 ‘레벨 ... ...
- 초연결사회 함께 갈 차세대 '블록체인 3.0'을 말하다동아사이언스 l2017.10.11
- 더 짧아졌다. 또 '자동 계약(Smart contract)'이란 기능이 추가 됐다. 1세대 비트코인이 최초 설계된 방식으로만 기계적으로 움직이는 데 반해 2세대 이더리움의 자동계약기능을 이용하면, 참여자 간의 합의 내용을 기록해서 특정 시기가 되면 효과가 나타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쉽게 말해 A와 B가 거래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017 노벨상 발표를 지켜보며 떠오른 두 명의 로널드2017.10.10
- 분야가 선정된다고 해도 박 교수가 포함될지는 불확실하다. 2009년 세계 최초로 페로브스카이트전지를 개발한 사람은 일본 토인요코하마대 미야사카 추토무 교수다. 따라서 한 자리는 첫 게임을 뛴 미야사카 교수의 몫이고 나머지 두 자리를 두고 경합해야한다. 그런데 이 가운데 한 자리는 아무래도 ... ...
- 두리안 ‘똥 냄새’의 비밀 풀렸다동아사이언스 l2017.10.10
- 비밀을 풀었다. 테빈 티안 싱가포르 국립암센터 교수팀은 두리안 유전체 전체를 세계 최초로 해석했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제네틱스(Nature Genetics)’ 10일자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유전체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두리안이 4만5335개라는 다수의 유전자로 구성됐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는 2만3000여 ... ...
- ‘똥’으로 계절 변화 확인과학동아 l2017.10.09
- 제공 사람의 장내미생물에도 계절에 따른 주기가 있다는 사실이 최초로 밝혀졌다. 저스틴 소넨부르크 미국 스탠퍼드대 의대 교수팀은 아프리카 탄자니아에서 수렵채집을 하며 사는 소수 민족인 하드자부족 188명의 대변을 채취해 장내 미생물을 분석한 결과를 ‘사이언스’ 8월 25일자에 발표했다. ... ...
- 산소 없이 후흡~ {숨} 어디까지 참아봤니과학동아 l2017.10.09
- 에베레스트를 가장 많이 오른 기록(21회)을 보유한 사람도 아파 셰르파라는 셰르파다. 최초로 에베레스트 정상을 등반한 에드먼드 힐러리(왼쪽)와 셰르파 텐징 노르게이. - Jamling Tenzing Norgay 제공 영국 케임브리지대와 런던대, 오스트리아 인스부르크의대 등 국제공동연구팀은 셰르파들이 산소가 ... ...
-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개발 후 5년… ‘염기’ 단위로 유전자 교정하고 ‘유전자교정 식물’ 먹는다동아사이언스 l2017.10.08
- 앓을 수 있다. 지난해 데이비드 리우 미국 하버드대(브로드연구소) 교수팀은 세계 최초로 시토신(C) 염기 하나를 티민(T)으로 교체하는 염기교정 유전자가위를 개발했다. 염기교정 유전자가위는 크리스퍼 유전자가위와 달리 DNA 이중나선 가닥을 잘라낼 필요가 없고, 생체 내에서 자연적으로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16) 형제 간의 싸움, 그 영원한 갈등2017.10.07
- 4장 [공동번역] 아담과 하와는 인류 최초의 부부입니다. 그런데 그들이 낳은 ‘인류 최초의 형제’는 우애가 별로 좋지 않았던 모양입니다. 하나는 형에게 죽고, 하나는 동생을 죽였죠. 형제 간의 갈등은 인류의 근원적 본성입니다. 카인은 땅에서 쫓겨났고, 아담은 다시 셋을 낳았습니다. 굳이 ... ...
- [2017 노벨화학상] 생체 분자 구조 들여다 보는 기술 개발한 과학자들2017.10.05
- 알지 못했다. 1950년대 들어서야 영국 캠브리지대가 X선을 이용해 단백질의 모습을 최초로 관찰했다. 구불구불한 나선형의 생체 분자 모습이 확인된 것이다. 1980년대 초, X선 결정법 (X-ray crystallography)과 핵자기공명(이하 NMR) 분광기의 개발로 과학자들은 고체 상태 및 용해 상태의 단백질을 연구할 수 ... ...
이전4764774784794804814824834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