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통
총체
보편
전반
일반담보
담보
일반심리학
뉴스
"
일반
"(으)로 총 7,438건 검색되었습니다.
“암세포 되기 전 퇴치” 종양줄기세포 찾아 없애는 물질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8.02.07
종양세포 중 종양줄기세포가 단 한개만 있어도 암이 재발하거나 전이될 가능성이 높다.
일반
종양세포와 종양줄기세포가 섞여있는 세포에 형광분자들을 종류별로 처리, 폐암줄기세포에만 결합하는 형광분자를 찾는 과정을 거친다. 이러한 과정으로 찾은 수많은 형광물질 중 TiY 분자가 ... ...
추우면 살 빠진다? 사실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2.06
아니다! 지방 종류에 따라 역할도 달라 살을 빼는 것은 몸 속 지방을 없애는 것과 같다.
일반
적으로 사람들이 ‘지방’하면 떠올리는 것은 백색지방이다. 지방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백색지방은 이름 그대로 흰빛을 띤다. 백색지방은 음식으로 섭취한 포도당 등이 몸에서 필요한 에너지원으로 ... ...
[도전!섭섭박사 실험실] 스트링 아트 조명등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2.06
자가발전을 통해 만들어지는 전류의 세기는 모터의 회전 속도가 빠를수록 강해져요.
일반
적으로 전구를 켜기 위해선 모터가 1분에 수백 바퀴 정도의 속도로 회전해야 하지요. 하지만 모터를 아무런 도구 없이 돌린다면 자가발전이 가능할 정도의 빠른 속도를 낼 수 없어요. 그래서 자가발전 ... ...
위험한 병원체, 이렇게 관리하세요...생물안전 종합안내서 발간
동아사이언스
l
2018.02.05
실정에 맞는 생물안전관리 기술 및 체계를 통합했다. 한국생물안전안내서는 ▲생물안전
일반
사항 ▲인체감염성병원체의 생물안전 ▲기타 감염성병원체의 생물안전 ▲생물안전조직 및 교육 등 총 4부로 구성돼 있다. 발간된 안내서는 향후 병원체 및 유전자변형생물체를 취급하는 기관에서 ... ...
지카 바이러스 소두증, 유전자 이상이 원인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2.02
더 크게 받았는지 판별할 때 사용된다. 유전적 영향이 큰 질병이라면 이란성 쌍둥이나
일반
형제자매와 달리 일란성 쌍둥이에서 보다 높은 확률로 관찰되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지카 바이러스가 태아의 발생 과정 중 유전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란 가설을 세운 다음, 질병을 앓고 있는 ... ...
눈 덮인 도로, 과학기술로 해결하면?
동아사이언스
l
2018.02.02
연구팀은 이렇게 만든 발열 도로가 10년가량 발열 능력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한다. 이는
일반
도로 수명과 비슷하다. 문제는 탄소섬유가 비싸다는 것이다. 백 연구위원은 “현재 가격의 30~40% 수준의 탄소섬유를 개발하면 경제성도 맞출 수 있을 것”이라며 “건설 자재용 탄소섬유를 개발할 ... ...
구석기 인도인 손도끼 연구, 인류 이동 시기 앞당기나
동아사이언스
l
2018.02.01
이동 경로와 문화는 그들이 사용한 손도끼나 망치와 같은 도구의 모양으로 유추하는 게
일반
적이다. 이를 바탕으로 기존에는 인도까지 아슐리안 문화가 확대된 건 약 14만~12만년 사이라고 알려져 있었다. 그런데 이번 연구에서 유럽과 거의 같은 시기인 약 38만 년 전에 다양한 지역까지 초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설탕보다 낫다더니... 트레할로스의 씁쓸한 이면
2018.01.30
풀리면서 treA 유전자가 발현돼 이를 포도당으로 분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실험결과
일반
적인 클로스티리디움은 트레할로스가 25밀리몰농도(mM)가 돼야 treA 유전자가 켜졌다. 그런데 RT027 유형의 경우 돌연변이로 TreR의 억제력이 약해져 트레할로스 농도가 500분의 1인 50마이크로몰농도(μM)만 돼도 ... ...
희귀한 붉은 손 물고기 발견
팝뉴스
l
2018.01.29
눈길을 끈다. 호주 태즈메이니아 대학교의 해양 및 남극 연구 연구소의 다이버들과
일반
시민 다이버들이 이 희귀 물고기를 촬영하는 데 성공했다. 붉은 손물고기는 태즈메이니아 인근에만 서식하며 멸종 위기 상태인 것으로 알려져 왔는데, 이번 발견을 통해 더 많은 개체가 살고 있다는 희망을 ... ...
치매로 이어지는 헌팅턴병 초기 발생과정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29
가진 다중핵 신경세포가 만들어진 것이 관찰됐으며, 연구팀은 이 거대세포가 주변의
일반
신경세포의 형성과 성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헌팅턴병의 초기 발병 과정을 밝힌 이번 연구로 치료를 위한 접근법도 달라질 전망이다. 지금까지는 이 병의 치료를 위해 돌연변이 HTT ... ...
이전
477
478
479
480
481
482
483
484
4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