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
뉴스
"
100
"(으)로 총 10,385건 검색되었습니다.
WMO "지난해 이산화탄소 연평균 농도 최고치 경신" 공식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19.11.26
는 25일 온실가스 연보를 통해 2018년 전 지구의 대기 중 이산화탄소 연평균 농도가 407.8ppm(
100
만분의 1)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전년 405.5ppm 대비 2.3ppm 증가한 것으로 사상 최고치다. 산업화 이전인 1750년과 비교해 약 47% 증가했다. 2015년 처음으로 대기 중 이산화탄소 연평균 농도가 400ppm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소리로 소음 잡는다…노이즈캔슬링 시대
2019.11.26
만 Hz인 소음이 있다(각각 저음, 중음, 고음). 참고로 사람의 가청 범위는 20~2만 Hz이다.
100
Hz 소음의 경우 음파가 한번 진동할 때 걸리는 시간이 0.01초다. 따라서 프로세서가 소음을 상쇄하기 위해 음파를 분석해 위상차가 5밀리초인 반대 위상의 음파를 만들어 내보내야 한다. 현재 기술로 이 정도의 ... ...
암세포만 골라 공격하는 '다기능 나노로봇'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26
개발했다. 10~20나노미터(㎚·10억분의 1m) 크기의 나노 자석입자와 금 입자를 뭉쳐
100
㎚ 크기의 나노로봇을 만들었다. 자석입자는 외부 자기장에 의해 움직이며 입자를 암에 가까이 갈 수 있도록 원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해 준다. 금과 나노입자는 컴퓨터단층촬영(CT)이나 자기공명영상(MRI)으로 ... ...
1초에 고화질 IPTV 영화 두 편 쏘는 대용량 광 전송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11.26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바꿔주는 역할을 하는 모듈이다. 광 트랜시버를 통해 보통 1초에
100
기가의 데이터 전송이 이뤄진다. 연구팀의 빛의 세기를 바꾸는 변조방식을 채택해 한 번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양을 두배로 늘렸다. 기존 한 번에 1비트씩 보내는 2단 변조 방식 대신 한 번에 2비트씩 보내는 ... ...
[의학게시판] GC녹십자랩셀-아티바, NK세포치료제 기술이전 계약 체결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11.25
여성 건강 증진을 위한 자궁암 검진을 실시했다. 사전 예약을 통해 접수한 30~80대 여성
100
여 명이 검진을 받았다. 가천대 길병원은 1958년 개원 이듬해부터 매년 11월이나 12월에 자궁암 검진을 실시하고 있다. 여성암에 대한 인식이 부족해 조기에 진단하고 치료하면 생존 가능한 질환임에도, 제대로 ... ...
달 궤도선 NASA측 제안 긍정적 검토…기술적 어려움 극복이 과제
동아사이언스
l
2019.11.25
촬영하는 NASA 탑재체의 경우는 협의를 진행중”이라고 밝혔다. 최 국장은 당시 “NASA는 (
100
km 상공에서) 12개월 운영하는 데 관심이 가장 많다”며 “(궤도선이 달 표면을) 가장 가깝게 지나는 지점(근지점)을 달의 남극으로 하면 NASA 임무에는 지장이 없을 것”이라고 말해 NASA와 이 문제를 협의하고 ... ...
달탐사계획 또 변경 가능성…과기부 "NASA와 궤도변경 협의 중"
연합뉴스
l
2019.11.25
달 표면 이미지를 찍는 '섀도캠'(ShadowCam)을 탑재할 예정이다. 섀우캠은 원래 궤도인
100
×
100
km 궤도에서 최적의 성능을 발휘하도록 설계됐다. NASA는 달 궤도를 타원+원 궤도로 변경하는 한국의 방안에 대해 즉각 이견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궤도 변경으로 섀도캠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는 ... ...
"아이유 목소리로 불러드릴게요"
동아사이언스
l
2019.11.25
연구원은 “가수 청하의 ‘벌써 12시’의 안무를 추출한 그래픽”이라며 “유튜브 영상
100
개에서 이런 식으로 안무를 추출해, 어떤 노래를 주더라도 자동으로 안무를 창작하는 AI를 만들었다”고 말했다. LG전자와 함께 연구중인 이 기술은 안무가의 창작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 ...
IBS는 과연 한국 기초과학 발전의 훼방꾼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9.11.24
현실이 그런데도 스타 연구자에 대한 과도한 연구비 지원을 비판하는 수단으로 여전히 ‘
100
억원’이 활용되는 것도 아이러니라 할 수 있습니다. 암흑물질과 중성미자를 연구하는 김영덕 지하실험연구단장과 같은 본원 단장은 물론, 인류 조상의 이동과 기후변화의 인과관계를 연구하는 악셀 ... ...
[인류와 질병]인간이 겪는 최고의 고통, 출산은 어떻게 진화했나
2019.11.23
인공 육종을 통해 우스꽝스러운 외모를 가지게 된 불도그는 거의
100
% 제왕절개로 새끼를 낳는다. 우리도 불도그의 전철을 밟을까? 만약 제왕절개의 위험성이 아주 낮고, 질식 분만의 이득이 별로 없다면 그럴 수도 있을 것이다 ... ...
이전
477
478
479
480
481
482
483
484
4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