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고
d라이브러리
"
다시 생각함
"(으)로 총 6,123건 검색되었습니다.
실험 통해 창의력 배양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밖엔 눈이 펑펑 쏟아지는 영하의 날씨. 이곳은 난상토론의 열기로 뜨겁다."코일을
다시
감아보면 어떨까요?""자기력의 힘을 달리 해보는 것은요?""제 생각엔… 코일을 통 옆에만 감을 게 아니라 밑바닥 중간부분에도 설치해보는 것이 좋을 것 같은데요.""…""좋아, 그 방법을 시도해 보기로 하자. ... ...
새로 밝혀진 파스퇴르의 두 얼굴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자신의 광견병 백신으로 단 한건의 실패도 없이 개 50마리를 치료한 바 있다고 보고했었다.
다시
한번 연구노트는 이 설명에 오류가 있음을 보여준다. 파스퇴르가 개를 대상으로 백신을 실험한 ... 되돌아가보면 때로 실험결과에는 있었지만 그 당시에는 알아차리지 못했거나 잊어버렸던 것을
다시
... ...
3. 사용자가 꼭 지켜야할 10가지 '네티켓'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적이 있든지 아니면 게시판을 통해서 의견을 주고 받았든지 메일교환이 있었던 사람을
다시
만났다면 될 수 있는대로 반갑게 그를 대하라. 모니터 상이라 비록 얼굴이나 목소리를 ... 또한 게시물을 올려 놓고 여러 차례에 걸쳐 사람들의 동의를 구하는 내용의 게시물을 또
다시
올린다면 같은 ... ...
통신 프로그램 '이야기' 제작자 큰사람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더구나 '이야기'를 만들고 새로운 마당(버전)을 발표하면서 겪었던 시행착오를 또
다시
어디에선가 되풀이한다는 것은 중복투자에 의한 낭비일 뿐이라는 것이 큰사람의 입장이다.기업체 내부에서 사용하기 위한 프로그램 제작 의뢰가 들어오는 경우에도 새로 프로그램을 만들기 보다는 자체 개발한 ... ...
1. CT·암치료·비파괴검사에 이용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이 때는 X선보다는 감마선이 방사선치료의 핵심이 됐다. 그러나 10여년 후
다시
선형가속기가 등장하면서 치료영역에서도 X선이 주역으로 재등장했다. ... 정상세포에 비해 암세포는 회복속도가 반 이하로 떨어진다. 여기에
다시
방사선을 조사하는 방법으로 치료를 계속해 암세포를 죽이는 것이 ... ...
별 탄생의 순간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보인다. 한편 테 그림자 바로 위가 밝게 나타난 것은 테에 의해 산란된 태양빛이
다시
대기에 반사되었기 때문이다. 북극의 극지방 안개(polar haze)가 남극보다 밝게 나타난 것을 볼 수 있다.[중간] 이 사진은 테가 적도면과 거의 나란해진 시각에 촬영한 것. 이때 토성 테는 위의 사진보다 75% 가량 ... ...
입시장벽, 과학영재 앞길 막고 있다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방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홍학순 왜 과학고를 과기처 산하로 옮겨야 하는가에 대해
다시
한번 강조하고자 합니다. 국가에서 다른 부처를 통해 관리하지 않으면 획기적인 지원이 ... 그러나 과학고답게 운영하는 데는 여전히 태부족입니다.우리나라 과학영재교육을
다시
생각해볼 시점입니다. ... ...
2. 웹 사용하면 '정보 탐험길'이 쉽게 뚫린다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PATH=c:\winsock;%PATH%SET winsock.dll=c:\winsock\winsock.dll이 과정이 끝나면 시스템을
다시
부팅시켜 autoexec.bat의 변경된 내용을 반영시키도록 한다. ●트럼펫윈속의 설정(6)c:\ ... 따라 탐색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만일 한곳에서 원하는 정보를 얻지 못하면 다른 곳에서
다시 ...
2. 음극선에서 방사선까지, X선 탄생 드라마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실험을 할 수 없었다. 1895년 10월 말 임기를 마친 뢴트겐은 1년 전에 자신이 한 실험을
다시
한번 반복해 보았다.1895년 11월8일 저녁 뢴트겐은 놀라운 현상을 목격하게 되는데, 후일 신문기자와 행한 인터뷰에서 그는 그날의 상황을 다음과 같이 술회하고 있다."그날 나는 검은 종이로 완전히 둘러싸여 ... ...
1. 24시간 주기, 밤과 낮길이 정확하게 감지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재미있는 것은 이들이 시계를 가지고 있지 않으면서도 시간을 인식한다는 현상이다.
다시
말해 생물체 자체가 시간을 인식한다는 것이다.이는 사람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시계가 없을 때 사람들은 태양의 위치를 보고 먼동이 트면 새벽, 해가 머리 위에 뜨면 정오, 해가 서산에 기울면 저녁이라고 ... ...
이전
478
479
480
481
482
483
484
485
4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