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다
변화
여럿
여러
종류
변종
d라이브러리
"
다양
"(으)로 총 11,913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식] 진단, 나 너 믿어도 돼?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오류를 줄인다고 말했다.빅데이터로 더욱 정확한 진단~!우리를 위협하는 질병이 점점
다양
해지고 있다. 질병의 종류가 많아지면 의사가 처방하는 약과 치료법도 그에 맞게 늘어난다. 하지만 사람은 모두 유전자가 다르고, 생활 습관과 건강 상태도 제각각이다. 그래서 똑같은 병에 걸린 두 환자의 ... ...
원자를 세는 영원불멸의 수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했다. 이경석 연구원은 “아보가드로 프로젝트는 물리와 화학을 비롯해 재료, 기계 등
다양
한 분야의 과학자들이 협력하는 대형 융합 과제여서 여러 국가들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아보가드로 프로젝트는 질량과 원자 개수를 정확히 알 수 있는 실리콘(규소) 공을 만드는 게 ... ...
“ 해상 안전의 첫 걸음은 바다를 이해하는 것”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해양 플랜트든 정말 크잖아요. 구조물 자체의 크기도 그렇고 산업 규모도 크고요. 아주
다양
한 분야의 학문이 모두 조화롭게 이뤄져야 하나의 결과를 낼 수 있는 복합적인 구조물이죠. 그렇기 때문에 수많은 사람들이 몇 년에 걸쳐 작업을 진행해요. 같은 나라 사람이면 그나마 수월하지만 다른 나라 ... ...
PART3. 쓰레기 RNA가 암 정복한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lncRNA는 짧은 비암호화 RNA와 달리 보존된 서열을 찾기 어렵다. 하지만 과학자들은 이러한
다양
성 때문에 lncRNA를 여러 방면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예를 들어 X염색체에 있는 lncRNA인 X염색체 불활성화조절자(XIST)는 염색체 구조를 결정하는 조절자를 억제해 X염색체를 비활성화시킨다. ... ...
PART1. 공포의 대상을 찾아라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우리들의 이야기처럼 1990년에는
다양
한 사회적 억압이 있었어요. 개인의 욕망은 점점
다양
해지는데 사회가 그걸 받아들이지 못했던 거죠. 거기서 생기는 사회적인 불안감이 아주 컸던 때였어요. 그게 저나 소영이, 정숙이와 같은 아이들의 사연으로 표현된 거고요.우리 영화는 열린 결말로 끝나요. ... ...
태양계 끝 명왕성과의 만남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윌 그룬디 박사는 15일 NASA 홈페이지를 통해 “사진을 보면 명왕성과 카론이 실제로 매우
다양
한 물질로 이뤄진 복잡한 행성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며 “최대한 빠른 시간 안에 명왕성 각 지역의 표면 성분들을 분석할 것”이라고 밝혔다.➌ 크기 비교명왕성과 카론의 크기를 지구와 비교해 표현한 ... ...
500년 역사서 ‘실록’ 보존하는 과학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않고 종이에 손상이 생길 가능성이 있었습니다. 용매를 이용해 녹여내는 방법도 있지만,
다양
한 용매로 실험해 본 결과 종이 위에 용매가 남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연구팀이 꼽은 최고의 방법은 이름도 어려운 초임계 유체 추출 방식입니다. 이산화탄소를 액체와 기체의 중간 상태(초임계유체)로 ... ...
INTERVIEW 글로벌 기업 바짝 추격한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처방 결과 등을 알려주는 의사 보조 시스템이다.“전문가 수준의 지식서비스를 통해
다양
한 산업환경에서 신 산업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2020년을 전후로 분명 큰 시장이 열릴 거예요. 그 때까지 국내 최고를 넘어 세계 어디에 내놔도 부끄럽지 않은 인공지능을 개발할 겁니다.” “10년 안에는 영화 ... ...
[과학뉴스] 생물학 무기 탄저균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일부 언론의 추정은 과장된 면이 있다). 미국은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겠다는 취지로
다양
한 대응전략을 세웠다. 이번에 배달 사고를 낸 주한미군의 ‘주피터 프로그램’도 그 중 하나다.주피터 프로그램에는 탄저균과 보툴리늄, 두창, 페스트, 야토병 등 10여 가지 위험한 생물학 물질을 감시한다는 ... ...
대한민국 로봇 ‘휴보’ 세계를 제패하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것에 대비해 3주 이상 전지훈련을 거쳤다. 시합 현장에서도 최소한 오차를 줄이기 위해
다양
한 미션을 수시로 시행했다. 연습장과 달라진 환경에 맞춰 적응이 필요하기 때문이다.시스템 안정성 역시 우승에 큰 역할을 했다. 실제로 로봇이 연습 때는 미션을 잘 수행하다가 현장에선 고장으로 ... ...
이전
478
479
480
481
482
483
484
485
4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