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핍
종족
불충분
결여
모자람
결손
미비
뉴스
"
부족
"(으)로 총 5,176건 검색되었습니다.
STAP 세포, 결국 헤프닝으로 끝났다
과학동아
l
2014.07.03
철회 권고에도 논문을 철회할 의사가 없음을 밝혀왔다. 하지만 결국 과학적 근거가
부족
함을 인정하고 철회에 동의, 네이처도 이를 받아들여 논문을 완전히 철회한 것이다. ●STAP세포 관련 논문 2편 어떤 것 있었나 STAP세포와 관련된 논문은 모두 2건이었다. 이 중 STAP세포 제작방법 등을 ... ...
최첨단 식물 공장, KIST 강릉분원을 가다
과학동아
l
2014.06.29
성분은 이고들빼기에서 추출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기후변화로 치코릭산이
부족
한 이고들빼기가 생산될 경우 농가로부터 이를 대량 구입한 업체는 큰 손해를 입을 수밖에 없고, 제공 농가도 신뢰를 잃어 다음 거래가 어렵게 된다. 이 같은 위험을 줄이고 안정적으로 원료를 공급하기 위해 u ... ...
25개 국책연구소 일괄 관리…과학계 ‘슈퍼기관’ 등극
과학동아
l
2014.06.18
실효성 면에서 의구심이 든다. 미래부 관계자는 “시간관계상 충분한 의견수렴이
부족
했지만 일정에 맞추다 보니 빠르게 진행할 수밖에 없었다”고 밝혔다. ●유일한 평가기관 “견제 기능 필요하다” 그간 연구회의 최대 기능 중 하나였던 출연연 평가 업무가 1개 기관으로 통합되는 점도 ... ...
신약계의 ‘코펜하겐 학파’ 꿈꾼다
과학동아
l
2014.06.17
역할을 하는 사람들은 새로운 아이디어와 최신 트렌드에 목말라 하지만 네트워크는
부족
한 실정”이라며 “생명과학 분야에서 국내 연구진들은 같은 과 동기나 동문끼리 끈끈하게 이어져 있지만 다루는 분야가 달라 심도 있는 대화를 나누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매달 열리는 ... ...
단식의 과학
2014.06.16
오늘날 인도와 네팔 국경 지역의 샤키야족의 소국에서 왕자로 태어난 싯다르타는
부족
함이 없이 자라 미모의 왕자비를 얻고 아들까지 낳았지만 29세인 기원전 595년 모든 것을 내려놓고 홀연 출가했다. 수년 동안 깨달음을 얻기 위해 전국 방방곡곡의 현자를 찾아 헤매던 싯다르타는 더 이상 ... ...
남미 국가들이 축구처럼 과학도 잘 하려면
과학동아
l
2014.06.15
4%에 해당한다. 남미의 인구수와 GDP가 세계에서 5~6%를 차지하는 것과 비교할 때 여전히
부족
한 수준이다. 각 국은 저마다 연구개발에 투자를 늘리며 자구책을 마련하고 있지만 네이처는 미국과 유럽 등으로 시야를 넓히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남미의 축구팬들이 해외에서 활약을 펼치는 ... ...
스페인 독감 직접 만들어봤더니…헉!
과학동아
l
2014.06.15
부활시키는 데 성공했다. 당시 스페인 독감은 전쟁으로 인한 혼란스러운 상황과
부족
한 보건 상황을 틈타 5000만 명의 희생자를 만들었다. 치사율은 약 10%로 정도다. 요시히로 가와오카 미국 매디슨 위스콘신대 병원생물학과 교수팀은 자연계에서 유행 중인 여러 조류인플루엔자(AI) 바이러스의 ... ...
UHD TV 주파수
부족
해소 기술 개발
과학동아
l
2014.06.10
2배로 끌어 올릴 수 있는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디지털 TV 방송의 주파수
부족
현상을 해소할 수 있는 대안이 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이같은 ‘차세대 케이블 전송기술’을 개발하고, 10일 오전 CJ헬로비전과 공동으로 서울 양천구 목동 지역 방송망을 통해 ... ...
엑스맨은 돌연변이가 아니다!
과학동아
l
2014.06.08
2개가 아닌 3개인 경우에 나타나는 다운 증후군이나 여성(XX)의 성염색체에서 X가 하나
부족
한 터너 증후군 등이 대표적이다. 이처럼 돌연변이는 개체에게 해로운 경우가 대부분이다. 아주 드물게 생존에 유리한 돌연변이가 나타났다고 하더라도 극중 급진파 돌연변이들의 주장처럼 기존 종(인간 ... ...
암흑물질의 실체는 ‘불임 뉴트리노’?
2014.06.04
다 합치면 굉장한 질량이 되겠지만, 그럼에도 뉴트리노로 암흑물질을 설명하기는 역
부족
이라는 게 많은 물리학자들의 생각이다. 흥미롭게도 뉴트리노 역시 암흑물질 개념이 나온 시기인 1930년 오스트리아의 천재 물리학자 볼프강 파울리가 처음 제안했다. 당시 파울리는 방사성 원자핵의 ... ...
이전
478
479
480
481
482
483
484
485
4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