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량
수량
액수
부피
강도
정량
수
뉴스
"
양
"(으)로 총 5,216건 검색되었습니다.
도시 개구리의 짝짓기 노하우
과학동아
l
2014.06.08
유테 커 린 국립대만대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도시에 서식하는 수컷 개구리들이 도로
양
옆에 파놓은 빗물 배수로를 확성기로 이용해 구애활동을 펼친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이를 ‘런던동물학회지’ 5일자에 발표했다. 일반적으로 수컷 개구리들은 짝짓기 시즌이 되면 연못 주변에 모여 ... ...
일벌레 '막 단백질'에게도 '순애보'가 있답니다
과학동아
l
2014.06.08
구조 변화가 일어난다. 사이언스 제공 길
양
옆으로 수북이 쌓여있는 다
양
한 색깔의 컨테이너 박스들이 마치 레고 블록을 연상시킨다. 이번 주 ‘사이언스’는 글로벌 물류 공급망의 중심지 중 하나인 홍콩 컨테이너부두를 표지에 담으면서 거대한 공급망이 우리 생활에 가져다 준 ... ...
암흑물질의 실체는 ‘불임 뉴트리노’?
2014.06.04
각각의 렙톤(전자, 뮤온, 타우)에 대한 뉴트리노가 별도로 존재해 모두 세 가지가 됐다.
양
자역학의 완성도를 위해 존재해야 하기는 하지만 도무지 실체를 알 수 없어 ‘유령입자’로 불리는 뉴트리노의 또 다른 괴상한 특징은 서로 간에 변환이 일어난다는 것. 이를 진동(oscillation)이라고 부르는데, 1 ... ...
“등산 잘 하는 사람의 유전자는 태어날 때부터 다릅니다”
과학동아
l
2014.06.04
문득 의문이 생기면서부터다. 비슷한 연령대의 젊은이들이 모여 하루 종일 비슷한
양
의 식사를 하고 비슷한 강도의 훈련을 받음에도 불구하고 성과나 체력, 주특기 등은 제각기 다르다는 점을 이상하게 느낀 것이다. 이때부터 특정 유전자가 이런 차이를 만들어낼 수 있겠다는 생각을 했다고 한다. ... ...
한국 슈퍼컴퓨터는 지금 ‘세대교체’ 중
과학동아
l
2014.06.02
전체를 대상으로 수치예보모델을 적용할 수 있게 된다”며 “슈퍼컴퓨터 4호기는 방대한
양
의 기상관측자료 처리 등에 필요한 인프라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과학연구용인 KISTI의 슈퍼컴퓨터 4호기도 교체 시기가 다가왔다. KISTI는 현재 사용중인 타키온-Ⅱ 시스템의 교체 공간을 ... ...
'옥수수 박사'의 감동적인 고백
과학동아
l
2014.06.01
유도할 수도 있는 무서운 신경질환이다. 신경과학자이자 정신과 의사인 저자들은 방대한
양
의 뇌 영상자료와 임상경험을 토대로 불안·우울장애를 7가지 유형으로 구분한 뒤 유형별 원인이 되는 뇌 기능 이상을 밝혀냈다. 저자들은 문제 부위를 정확히 파악하지도 않은 상태에서 환자를 진료해온 ... ...
시냅스 3차원 초정밀지도 완성됐다
과학동아
l
2014.06.01
사이언스 제공 화려한 그림의 정체는 실험용 쥐의 머릿속 ‘시냅스’다. 이번 주 사이언스 표지는 쥐의 머릿속 시냅스 3차원 지도를 원자수준의 정밀도로 구 ... 전달하는 mRNA가 단백질 생산에 밀접하게 연관돼 있기 때문에 mRNA의
양
을 파악하면 단백질
양
도 예측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 ...
대기 중 이산화탄소와 수증기, 어떻게 구분할까요?
과학동아
l
2014.05.30
이산화탄소에 대한 선택성을 갖고 있다. 연구팀은 이 신물질이 이산화탄소의
양
에 따라 전기전도성이 변한다는 사실 역시 밝혀내고 상온에서도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센서 기술을 처음으로 개발했다. 연구팀은 이 금속구조체를 얇은 필름형태로 합성해 상용화한다면 ... ...
늙은 줄기세포 고쳐 골다공증 치료한다
과학동아
l
2014.05.26
골수줄기세포에 NF1-C 유전자를 주입하면 뼈모세포로 많이 분화하고 지방세포로 분화하는
양
은 줄어든다는 것이다. 박 교수는 “골다공증을 유발하는 새로운 유전자를 발굴한 것이 이번 연구의 의의”라며 “이 유전자를 이용하면 골다공증을 치료하거나 치주조직을 재생하는 데 큰 도움이 될 ... ...
D램, F램은 알겠는데, Re램?
과학동아
l
2014.05.25
전형탁 한
양
대 교수(왼쪽)와 서형탁 아주대 교수(오른쪽) - 한
양
대 제공 국내 연구진이 차세대 메모리로 각광받는 저항변화 메모리(Re램) 개발에 그래핀을 적용하고 저항 ... 게재됐다. 산소 이온이 전계에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단일층 그래핀의 화학적 결합 상태가 변한다. - 한
양
대 ... ...
이전
478
479
480
481
482
483
484
485
4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