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초
사초
모래톱
촛불
식초
kyaw
d라이브러리
"
초
"(으)로 총 5,853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물 - 동물들의 본능행동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거리를 정확하게 알린다. 예를 들어 꿀이 집에서 1백20m 떨어진 곳에 있다면 척후벌은 15
초
사이에 8자를 11회 그리며 돈다. 그러나 밀원이 1천6백m 이상 되는 장소에 있으면 같은 시간에 겨우 4회 8자를 그릴 뿐이다. 그리고 밀원이 멀면 멀수록 척후벌은 엉덩이를 빠르게 흔든다. 즉 거리가 멀수록 ... ...
(1) 우주탄생 비밀 캐는 새방법 제시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은하 내에서 확인된 쌍둥이는 4개밖에 안된다. 천체물리 학자들은 이 4개의 데이터에 기
초
하여 우주 공간에서 매년 몇개의 쌍성펄사가 충돌하는지를 예측하고 있다.하버드의 스미소니언 천체물리학연구센터의 나라얀과 칼텍의 피니는 각각 독자적인 방법을 동원해 지구로부터 약 6억5천만 광년 ... ...
윈도우와의 메모리 속도 전쟁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상황을 정리해낸다. 따라서 메모리에 관련된 복잡한 용어가 도저히 이해되지 않는
초
보자라도 MEMMAKER를 실행시키면 대략 1백K정도의 상용메모리를 확보 할 수 있다.이렇게 확보된 메모리는 도스나 윈도우 프로그램에 할당돼 프로그램 실행의 폭이 넓어진다. 메모리 관리상황은 도스의 MEM이라는 ... ...
(2) 판구조론 통해본 지구의 과거와 미래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유라시아판이 충돌해 하나의 거대한
초
대륙을 다시 형성하게 될 것이다.그렇다면 이러한
초
대륙의 순환은 앞으로도 끊임없이 반복될 것인가? 스탠퍼드 대학의 슬립(Norman Sleep)은 지구가 계속해서 식기 때문에 연약권의 점성이 점차 커져 판운동은 점점 느려지고 약 10억년 후에는 판운동이 멈추게 ... ...
(3) 공룡의 진화도 플룸이 지배했다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독특한 진화전략을 발전시켰다.이 방어법의 권위자로서 지금까지 유명한 것은 쥐라기
초
두에 북반구에 출현한 갑옷룡들이다. 그러나 이들은 남반구에는 거의 진출한 흔적이 없고 겨우 오스트레일리아와 남극에서 백악기의 소형 갑옷룡의 화석이 한 두가지씩 발견되고 있을 뿐이다. 고온 건조 등 ... ...
슈메이커-레비혜성의 핵은 21개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예상된다. 우리나라 천문대에서도 새로 설치되는 1.8m 보현산망원경 등을 이용해 수십
초
간 빛나는 목성의 영상을 담을 예정이다(자세한 내용은 과학동아 93년 8월호 참조) ... ...
화려한 1등성들로 가득찬 겨울밤의 축제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될 수 있다.■ M41메시아 목록에서 가장 훌륭한 산개성단중의 하나이다. 크고 밝기 때문에
초
보자도 시리우스 밑으로 조금만 망원경을 움직이다 보면 쉽게 이 대상을 찾을 수 있다. 고정촬영한 사진에도 쉽게 찍혀 나온다. 12월의 유성우12월에 유성우가 있는 날 밤은 1년중 하늘 상태가 가장 깨끗한 ... ...
PART. 2 절전기능 앞세운 '그린PC' 대거 등장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바로 '그린 PC'가 본격적으로 출하되기 시작했다는 점이다. 올해
초
각 컴퓨터 전문잡지에는 개인용 컴퓨터 제품 사진과 함께 '우리회사는 그린 컴퓨터를 만듭니다'라는 문구의 광고가 게재돼 독자들의 호기심을 자극 했다. 어찌보면 단순하기 조차한 이 광고가 주목을 끈 것은 ... ...
물리- 자석의 원리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그러나 전류가 자기장을 만든다는 실험은 누구나 간단히 할 수 있다. 그러한 실험을 최
초
로 시도한 사람이 덴마크의 외르스테드다. 그는 전류의 방향과 직각으로 자침을 놓아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를 조사하였으나 별다른 영향은 발견되지 않았다. 다음에는 전류를 남북방향으로 흘린 다음 그와 ... ...
(1)
초
기 우주때 태어난 1세대별 사라지고 5세대별 등장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이런 진화를 역학적 진화라 한다.별의 운동을 결정짓는 가장 큰 요인은 별을 탄생시키는
초
기 성단의 운동 상태다. 처음 은하계가 탄생한 후 은하계내의 원시 성운들은(그림2-a)와 같이 은하 중심 주위로 긴 타원궤도를 따라 움직였다. 따라서 이 성운에서 탄생된 1세대의 별(구상성단)들은 현재도 ... ...
이전
479
480
481
482
483
484
485
486
4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