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
제로
d라이브러리
"
0
"(으)로 총 5,772건 검색되었습니다.
화려한 1등성들로 가득찬 겨울밤의 축제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최고도로 올라오는 때는 남중했을 때다. 즉 항성시로 13시 24분일 때다. 즉 태양시로
0
8시
0
8분일 때. 이때의 고도(9
0
-위도+적경)는 5.3도이다 (9
0
-37.5-47.2=5.3). 즉 오메가 성단은 남중하는 시간이 해가 뜬 후이므로 우리가 관측할 수 있을 시간인 새벽녘은 남중조차 하지 않아 고도가 더 ...
(2) 길이 4㎞ 레이저 간섭계로 미세진동 추적한다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통합하자는 제의를 하고 있는 상태.일본은 우주과학연구소(ISAS)에 있는 1
0
m짜리에 덧붙여 2
0
m를, 국립천문대에 1백m짜리의 간섭계를 건설하는 6억엔 규모의 4년 계획을 91년 4월부터 진행하고 있는 상태. ㎞급으로 부상하는 것은 시간 문제라는 것이 관련자들의 의견이다.만약 LIGO를 비롯해 세계의 ... ...
화학 - 산성비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납이 없는 무연(無鉛) 가솔린을 사용해야 한다. 자동차에 촉매변환기를 설치하면 6
0
여 만원이 더 든다. 또한 이것은 8만㎞를 달린 후 갈아주어야 한다(그림3) ... ...
베들레헴별은 목성과 토성?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63번 혜성이 바로 베들레헴별일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 한다. 이 혜성은 B.C.5년 3월9일부터 7
0
일 동안 보였던 혜성이다.그런데 불행하게도 이들 별 모두는 예수가 탄생한 12월25일과는 너무 차이가 난다. 이에 대해 일본 아오야마 대학의 하라메구미는 "예수 탄생을 축하한 것은 그리스도교가 로마의 ... ...
헬리콥터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임무, 특수전 지원 임무, 화물 및 병력 수송 임무 등 다양한 임무 수행이 가능하다. 1천6백5
0
마력의 터보 샤프트 엔진 2기를 장착하며 고정익 방식 운항시 시속 5백56㎞, 헬기 방식 운항시 시속 1백85㎞의 순항속도를 낼 수 있다.헬리콥터 회전날개의 형식헬기는 회전날개를 회전시키면 그 반동(토크)에 ... ...
윈도우와의 메모리 속도 전쟁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단편화제거가 필요 하다. 단편화 제거를 위한 프로그램에는 노턴7.
0
의 SPEEDISK나 도스6.
0
에서 새롭게 추가된 DEFRAG 등이 있는데 만약 더블스페이스를 이용해 하드디스크의 용량을 늘렸다면 반드시 DEFRAG로 단편화제거를 해주는 것이 좋다. 방법은 SPEEDISK C:(또는 D:) 혹은 DEFRAG C:(또는 D:)과 같이 ...
생물 - 동물들의 본능행동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엉덩이춤으로 다른 벌에게 밀원의 거리를 정확하게 알린다. 예를 들어 꿀이 집에서 1백2
0
m 떨어진 곳에 있다면 척후벌은 15초 사이에 8자를 11회 그리며 돈다. 그러나 밀원이 1천6백m 이상 되는 장소에 있으면 같은 시간에 겨우 4회 8자를 그릴 뿐이다. 그리고 밀원이 멀면 멀수록 척후벌은 엉덩이를 ... ...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항성과의 거리는 4.249광년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항성인 켄타우르스자리 알파성의 반성(伴星)까지의 거리가 허블우주망원경에 의해 정밀 측정됐다. 이별은 11등급의 별로 과거 이 별까지의 거 ... 4.249±
0
.
00
3광년인 것으로 결론지었다. 이 관측결과는 지금까지의 관측정밀도를 일거에 1
0
배 이상 높인 것으로 평가된다 ... ...
밤하늘의 보석들을 사진에 담자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일주운동에서는 별의 광적을 길게 찍을수록 보기 좋은 사진이 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3
0
분에서 1시간 정도만 노출을 줘도 광적은 충분히 길게 보인다. 일주 운동으로 그어지는 별의 광적은 하늘의 북극 부근에서 북극성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 형태이고 적도상의 별은 일직선의 광적을 남긴다. ... ...
카오스와 퍼지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퍼지가 약방의 감초처럼 사용 되고 있으나, 국내에서의 퍼지이론 소개는 다소 늦어 9
0
년대 초에서야 알려지기 시작했다. 국내 가전업계에서는 91년부터 퍼지이론을 채택해 많은 제품을 퍼지화했으나, 초기에 일부에서 퍼지보다는 인공지능이라는 이름을 채택해 대중들에게 퍼지상품을 ... ...
이전
479
480
481
482
483
484
485
486
4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