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위치
소재지
공간
자리
현장
집
d라이브러리
"
곳
"(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별 엘리베이터’ 킬리만자로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북반구와 남반구의 별들을 동시에 볼 수 있다. 별자리를 잘 아는 사람이라면 이
곳
에서 밤새 다양한 이야기를 떠올리느라 잠을 잘 수 없다. 북반구의 별자리들은 그리스 로마 신화에서 유래해 유럽과 중동 지방에 걸쳐 전해 내려오면서 퍼져나갔다. 남반구의 별자리들은 대항해시대에 이르러 비로소 ... ...
새만큼 똑똑한 도마뱀도 있다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이를 뒤집는 결과”라고 실험의 의의를 말했다. 이번엔 원래 위치가 아닌 다른
곳
에 음식을 넣고 도마뱀의 선택을 지켜봤다. 처음에 모든 도마뱀은 전에 음식이 있었던 뚜껑을 열었다. 음식이 없는 걸 확인한 도마뱀 중 두 마리는 즉시 잘못된 선택임을 깨닫고 옆으로 가 다른 뚜껑을 열었다. 릴 ... ...
따로 사는 판다 부부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큰 나무 근처에 살기도 하지만 이런
곳
이 벌목지인 경우가 많다보니 갈수록 살 수 있는
곳
이 줄어들고 있다. 이에 비해 새끼를 키우지 않는 수컷의 서식지는 비교적 넓었다.연구팀은 “이러한 성별에 따른 서식지의 차이를 파악하는것이 멸종위기에 있는 판다를 보존하는 중요한 역할을 ... ...
후크송은 왜 뇌를 중독시킬까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지난 6월 초, 프랑스 ‘르 제니스 드 파리’에서 ‘SM타운 라이브 월드 투어’ 콘서트가 열렸다. 동방신기, 슈퍼주니어, 소녀시대, 샤이니 등이 합동 무대를 펼쳤다. 관객 1 ... 생각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류의 뜨거운 열기는 앞으로도 리듬을 타고 세계
곳곳
으로 퍼져나갈 것으로 보인다 ... ...
자원전쟁에 맞서는 바다 위 저격수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자원 개발에 쓰이는 방식이다. 마지막으로 새로운 기술을 개발해 그 동안 얻지 못하던
곳
에서 자원을 얻는 방식이다. 해수 리튬은 바로 마지막 예다.그런데 왜 하필 바다일까. 바다 속 리튬 함량은 1L에 0.00017g. 휴대용 생수병 10만 개 분량의 바닷물에 겨우 100원짜리 동전 세 개(약 16g)보다 약간 많은 ... ...
최후의 1%까지 도전하라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펜실베니아대는 세계 최초의 전기 컴퓨터인 에니악이 탄생한
곳
이다. 필자는 그
곳
에서 모델링을 기반으로 한 임베디드 컴퓨터 시스템 개발 방법을 연구했다. 그리고 지금은 이 분야에서 유명한 소프트웨어인 시뮬링크(Simulink)를 개발하는 매스웍스사에서 개발자로 일하고 있다. 컴퓨터 구조 ... ...
과학동아가 추천하는 논구술 책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가장 극단적인 장소를 뽑자면 어디일까. 이 책은 우리 우주에서 극한의 공간로 꼽히는 50
곳
을 선보인다. NASA 출신의 두 행성과학자가 집필했다. NASA에서 찍은 천체 사진이 대거 담겨있어 평소에 접하기 어려운 우주의 신비로운 면을 엿볼 수 있다. 깊이가 10km나 되는 화성의 협곡, 표면온도가 460℃인 ... ...
폴링 스카이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가까이 사는 친구 마저도 우주에서 가장 빠른 교통수단으로 달려와도 630년쯤 걸리는
곳
에 사는 셈이다. 그런데 나도 그 친구도 서로가 어느 동네에 사는지는 둘째치고 사실은 존재하는지도 모른다!그리고 대개 생물이란 영원히 사는 것이 아니다. 슬픈 일이지만. 우리는 언젠가 멸종할 수도 있다. ... ...
대칭 몸매에 행운이 따르는 팔방미인의 수 8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8자를 집어넣는 경우가 많고, 중국 고층 건물 가운데에도 유난히 88층으로 이뤄진
곳
이 많다고 해.8에 대한 중국인들의 유별난 사랑은 2008년 베이징올림픽에서도 확인할 수 있어. 바로 2008년 8월 8일 오후 8시에 베이징올림픽 개막식이 시작됐지. 8로 수놓인 베이징올림픽 개막식 시간은 기상이나 다른 ... ...
PART 2 헤라클레스보다 더 멀리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창 위쪽의 공기흐름이 아래쪽보다 빨라요.‘베르누이 정리’에 따르면 공기흐름이 빠른
곳
은 압력이 낮아져요. 그래서 창이 양력을 받아 뜨게 된답니다. 양력을 받은 창은 당연히 더 멀리 날아가고요.선수들의 노력이 거듭되면서 1984년 창던지기에서 104.8m라는 기록이 나왔어요. 관중이 위험할 수 ... ...
이전
480
481
482
483
484
485
486
487
4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