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때"(으)로 총 22,310건 검색되었습니다.
- [JOB터뷰] 곤충 덕후, 만화가 되다! 갈로아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독자에게 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투잡은 가능하다!”입니다. 좋아하는 게 많을 때 보통 하나를 선택하려고 하는데, 좋은 건 다 하는 게 좋다고 생각해요. 저도 곤충학자가 되기 위해 곤충학을 계속 공부하면서 틈틈이 만화도 그릴 거랍니다! ... ...
- Part 1.새로운 실크로드가 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설치했다. 서역도호부는 서쪽 적의 침략을 막아 무역로를 지키는 일을 했다. 이때부터 중국은 본격적으로 서방 국가에 비단을 수출할 수 있었다. 마르코 폴로, 동양을 알리다! | 1271년, 이탈리아의 상인 마르코 폴로가 아버지, 삼촌과 함께 터키, 이란, 아프가니스탄, 중국 등을 다녀온다. 이후 ... ...
- [핫이슈] 크리스마스를 훔쳐라! 그린치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사실을 확인했어요. 연구진은 순록의 코에 있는 모세혈관이 사람보다 25% 더 밀집해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지요. 북극과 가까운 추운 기후에 사는 순록은 털이 많아서 추위를 잘 견디지만, 그만큼 열을 밖으로 내보내기 어려워요. 대신 코를 통해 열을 내보내기 위해 코에 모세혈관이 많이 모여 있는 ... ...
- [통합과학 교과서] 아저씨의 배신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스토리 “으악, 아무래도 아저씨를 따라잡긴 어렵겠어.” “어떻게 해야 하지?” 그때였어요. ‘우르르 쾅쾅!’ 천둥소리가 크게 나면서 아저씨가 탄 차에서 이상한 빛이 뿜어져 나왔어요. “아무래도 아저씨가 피젯스피너에 아이템 세 개를 모두 끼우고 작동시킨 것 같아.” 갑자기 ... ...
- Part 5. 농부야, 개발자야? 로봇도 자급자족, 청년 농부 하병욱 씨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올려요. 선별기는 꽃에 흠집이 있는지, 얼마나 폈는지를 보고 자동으로 분류하죠. 그때는 막연히 농장 자동화를 하고 싶다고만 생각했는데, 직접 딸기 농사를 지으면서 절실해졌어요. 봄에 딸기가 막 나오는데 3일 밤을 새도 딸 수가 없는 거예요. 나만 이렇게 힘든가 싶어서 억울하다는 생각마저 ... ...
- Part 1. 빈집 위기에 처한 ISS?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그럼 ISS가 빈집이 되는 거예요. ISS는 완전 자동화 시스템이 갖추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ISS에 사람이 없으면 자칫 큰 사고가 일어날 수 있어요. 그래서 ISS에서는 보통 5~6명의 우주인이 항상 머문답니다. 우주인들은 보통 6개월 정도 ISS에 머물며, 3~5개월에 한 번씩 일부가 지구로 돌아가고 새로운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과학 축제는 로봇도 춤추게 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196℃ 이하로 드라이아이스보다 훨씬 차가워요. 액체질소가 피부나 눈에 튀면 위험하기 때문에 조심해야 하지요. 기자단은 안채원 선생님의 안내에 따라 구슬아이스크림을 만들었어요. 먼저 선생님이 액체질소를 떠서 각자의 보관 용기에 담아줬어요. 기자단은 스포이드로 오렌지 주스를 빨아들인 ... ...
- [과학뉴스] ‘행성 사냥꾼’ 케플러, 임무 종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번째 외계 행성 탐사용 우주망원경이에요. 케플러는 행성이 공전하면서 별 앞을 지나갈 때 생기는 미세한 밝기 차이를 측정해 외계 행성을 찾아요. 별의 밝기 차이에 따라 행성의 크기도 측정하지요. 케플러는 지난 9년 동안 태양 궤도를 돌며 태양계 바깥에 있는 외계 행성을 2662개나 확인했어요. ... ...
- [가상인터뷰] 혹등고래가 세레나데를 멈춘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500m 이내에서 지나갈 때는 노래를 부르는 고래가 거의 없었고, 1200m 거리에서 지나갈 때는 잠시 노랫소리를 줄이거나 잠시 멈췄다고 해. 노래를 멈췄던 혹등고래는 30분이 지나서야 노래를 다시 불렀지. 앞으로 연구진은 배의 저주파 소리가 우리에게 어떤 스트레스를 주는지, 다른 소음은 어떻게 ... ...
- Part 2. 평범한 일상도 우주 실험이 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문제는 쓰레기가 공간을 차지한다는 것과, 지구 궤도를 벗어나 먼 우주로 탐사를 떠날 때엔 이런 방법을 사용할 수 없다는 점이다. 그래서 미국항공우주국은 우주에서 발생하는 쓰레기를 우주에서 바로 재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 중이다. 그중 하나는 쓰레기를 소형 원자로에서 분해시켜 물, ... ...
이전4804814824834844854864874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