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때"(으)로 총 22,31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5. 실크로드 전기도 왔다 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사람 없이도 움직이는 배라니, 굉장해! 나 때는 말이야…, 저렇게 큰 배를 움직이려면 일단 이~만한 줄로 닻을 매달아서…, 어? 저기 좀 봐! 우리 때처럼 굵은 줄을 둘둘 말고 있는 선원 ... 찾아올게! 어과동 친구들도 계속해서 실크로드에 관심을 가져 줘~. 그럼 다시 만날 때까지 안녕~! ... ...
- [핫이슈] 크리스마스를 훔쳐라! 그린치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사실을 확인했어요. 연구진은 순록의 코에 있는 모세혈관이 사람보다 25% 더 밀집해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지요. 북극과 가까운 추운 기후에 사는 순록은 털이 많아서 추위를 잘 견디지만, 그만큼 열을 밖으로 내보내기 어려워요. 대신 코를 통해 열을 내보내기 위해 코에 모세혈관이 많이 모여 있는 ...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뚜뚜우, 비밀 신호 전송! 모스 전신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점(·)과 선(-)이 그려진답니다. 섭섭박사님과 함께 만든 전신기는 부호를 입력할 때 손으로 누르는 막대기와 이와 맞닿는 바닥 부분에 전류가 흐르는 테이프를 붙여 막대기와 바닥이 맞닿는 시간만큼 전류가 흐르도록 했어요. ● 미션 2 -아두이노로 컴퓨터와 연결하라! 이번 수업시간에 만든 ... ...
- Part 1. 빈집 위기에 처한 ISS?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그럼 ISS가 빈집이 되는 거예요. ISS는 완전 자동화 시스템이 갖추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ISS에 사람이 없으면 자칫 큰 사고가 일어날 수 있어요. 그래서 ISS에서는 보통 5~6명의 우주인이 항상 머문답니다. 우주인들은 보통 6개월 정도 ISS에 머물며, 3~5개월에 한 번씩 일부가 지구로 돌아가고 새로운 ...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매리는 색깔을 맞힐 수 있을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때의 따뜻하고 부드러운 느낌, 노란 개나리와 빨간 장미를 볼 때의 느낌, 가시에 찔렸을 때의 날카로운 느낌, 소금의 짠 맛 등은 자연과학의 범위 안에 있는 것일까요? 아니면 물질의 범위를 벗어난 느낌의 세계 또는 마음의 세계 안에 있는 것일까요? ... ...
- [과학뉴스] ‘행성 사냥꾼’ 케플러, 임무 종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번째 외계 행성 탐사용 우주망원경이에요. 케플러는 행성이 공전하면서 별 앞을 지나갈 때 생기는 미세한 밝기 차이를 측정해 외계 행성을 찾아요. 별의 밝기 차이에 따라 행성의 크기도 측정하지요. 케플러는 지난 9년 동안 태양 궤도를 돌며 태양계 바깥에 있는 외계 행성을 2662개나 확인했어요.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과학 축제는 로봇도 춤추게 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196℃ 이하로 드라이아이스보다 훨씬 차가워요. 액체질소가 피부나 눈에 튀면 위험하기 때문에 조심해야 하지요. 기자단은 안채원 선생님의 안내에 따라 구슬아이스크림을 만들었어요. 먼저 선생님이 액체질소를 떠서 각자의 보관 용기에 담아줬어요. 기자단은 스포이드로 오렌지 주스를 빨아들인 ... ...
- [지구사랑탐사대] 민물고기 특별 탐사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가을철에도 이렇게 높은 온도가 유지될 수 있는 건 인근 공장에서 나오는 따뜻한 폐수 때문이지요. 누군가 구피를 키우다 하천에 버렸고, 우연히 따뜻한 물이 사시사철 흘러 구피가 번식할 수 있게 된 거예요.” 그런데 작은 구피가 큰입배스나 블루길처럼 우리 민물고기를 잡아먹는 것도 아닌데, ... ...
- Part 3. 정밀농업, 과학자, 식물과 통(通)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물의 속도와 비료의 양을 알아내면 크고 맛있는 토마토를 만들 수 있어요. 햇빛이 강할 때 광합성이 최대한 많이 일어나도록 물과 비료를 부족하지 않게 줄 수 있거든요. 반대로 햇빛이 적을 땐 불필요한 물과 비료를 주지 않도록 조절할 수 있어요. 이를 정밀하게 측정하지 못하는 보통 ... ...
- [가상인터뷰] 혹등고래가 세레나데를 멈춘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500m 이내에서 지나갈 때는 노래를 부르는 고래가 거의 없었고, 1200m 거리에서 지나갈 때는 잠시 노랫소리를 줄이거나 잠시 멈췄다고 해. 노래를 멈췄던 혹등고래는 30분이 지나서야 노래를 다시 불렀지. 앞으로 연구진은 배의 저주파 소리가 우리에게 어떤 스트레스를 주는지, 다른 소음은 어떻게 ... ...
이전4804814824834844854864874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