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부
구분
일환
일부분
부문
조각
분류
d라이브러리
"
부분
"(으)로 총 8,360건 검색되었습니다.
마젤란이 본 것은 성운 아닌 은하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구성된 성운이 아니라 제멋대로 생긴 은하다. 실제로 NGC 346이 성운이다. 19세기까지 대
부분
의 천문학자들은 뿌옇게 보이는 은하를 성운이라고 오해했다. 마젤란성운 대신 마젤란은하라는 용어가 맞는 표현이다.소마젤란은하는 지구에서 21만 광년 떨어진 채 우리 은하를 돌고 있는 위성 은하다. 이 ... ...
6년만에 일어나는 1등성 성식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가려지려면 어떤 조건이 충족돼야 할까. 여기서 잠시 생각해보자. 일단 별이 달의 중심
부분
을 지나간다면 가장 오랜 시간이 걸릴 것이다. 이것이 첫째 조건이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면 별과 달의 중심과 관측자를 이은 선이 정확히 직선이 돼야 한다.두번째는 달이 지구에서 가장 먼 곳, 즉 ... ...
약물로 마음을 성형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서로 조화를 이루며 협력하도록 하는 기능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처럼 뇌 각
부분
의 기능에 대한 지도가 완성되면 뇌가 어떻게 마음을 형성하는지 알게 될 것이다. 뇌는 인간 이해의 종착역뇌는 어떻게 조직화돼 있고 자극에 대해 어떻게 반응할까? 각각의 신경세포들은 정신현상을 ... ...
진퇴양난 새만금 사태 묘수는 없나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모두를 열어놓는다면 최소한 갯벌의 59%가 사라진다. 어느 경우라도 시화호처럼 상류
부분
에서 대규모 성층화가 발생해 바닥에 서식하는 생물이 폐사하고 저층의 물은 모두 썩은 물로 변하게 될 것이다.따라서 일단 새만금 방조제의 연장 공사를 중단하고 보강공사를 진행하면서 모두가 노력해 서로 ... ...
라부아지에 산소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수은과 결합해서 산화수은을 만든 성분은 공기 중에서 호흡을 돕는 성분이었고, 남은
부분
은 호흡을 하기에 적당하지 않은 성분이었다.이제 남은 것은 산화수은에 결합한 성분을 다시 떼내 공기 중으로 돌려보내고 그렇게 얻은 공기가 보통 공기와 같은지 비교하는 것이었다. 라부아지에는 앞의 ... ...
거대빙산에 막혀 남극 비상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따라 바닷물의 흐름이 막히면서 그 사이가 빙결되기 시작했다.연구자들은 빙산의 밑
부분
이 빙설 부근에서 수심이 얕아진 바닥에 걸린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빙산이 멈춤에 따라 빙설과 빙산 사이의 얼음이 더욱 두껍게 얼 전망이어서 기지에 보급품을 전달할 선박의 접근이 어렵게 됐고 인근에 ... ...
미사일 교란장비 개발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첨단 전자장비다. 이 장비는 공군의 주력전투기인 KF-16과 F-4 및 수송기의 기체 아래
부분
에 달린다.특히 이번에 개발된 장비는 기존 수입 장비보다 몇 배 이상 먼 거리를 탐지할 수 있고, 전파방해능력도 우수한 것으로 평가돼 앞으로 해외 수출도 기대된다고 국방부는 설명했다. 국방부 관계자는 ... ...
80시간의 세계 일주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되풀이됨으로써 수지상 결정이 형성된다 수력발전소에서 수차로 구동되는 발전기 대
부분
교류발전기이며 때로는 직류발전기도 있다증기터빈을 원동기로 하는 터빈 발전기에 비해 회전수가 낮아 매분 수십~1,000 정도이다 전동축(傳動軸)은 세로축과 가로축이 있으며 종전에는 가로축이 ... ...
“대중 없이는 의학도 없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대중화의 노력 때문이다. ‘대중과 호흡하는 의학’이란 NIH의 정책 방향이 잘 드러난
부분
이 바로 홍보 방식이다.모든 연구결과를 제때 신속하게 공개하는 것은 NIH의 오랜 홍보스타일이다. NIH 언론 홍보팀은 주당 평균 12건 이상의 보도 자료를 작성해 배포한다. 단체장의 치적이나 행사 소개를 ... ...
메탄비 내리는 오렌지빛 원시지구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위성도 찾아냈다. 그는 토성에 고리가 있다고 주장했는데 갈릴레이가 처음 발견한 이
부분
은 당시 토성의 위성으로 알려져 있어 호이겐스의 주장은 반발을 많이 샀다. 토성 고리는 나중에 프랑스 천문학자 카시니가 증명했다. 이번에 토성과 타이탄에 간 우주선의 이름은 이 두 천문학자의 이름을 딴 ... ...
이전
480
481
482
483
484
485
486
487
4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