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건맨
사항
점
개조
심줄
색
키이
d라이브러리
"
건
"(으)로 총 6,550건 검색되었습니다.
공항에서 소시지를 빼앗는 이유는?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검사한다. 일반인은 화면만 봐서는 알아보기 어렵지만 훈련받은 감독관은 한눈에 어떤 물
건
이 들어 있는지 척척 알아낸다.짐에 육가공품이 들어 있는 경우 주황색 표식을 붙인다. 이 표식이 붙은 짐의 주인만 검역관이 호출하기 때문에 여행객들은 ‘몇몇 사람만 허술하게 검사하고 넘어 간다’고 ... ...
42년 만에 땅에 내려온 이순신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돌아가 도성을 지키고 싶은 마음뿐인 듯했다. 42년 만에 땅에 내려온 장군은 평온하고
건
강해진 모습이었다. 그래도 장군은 역시 광화문 사거리의 가장 높은 곳에 위풍당당하게 서서 도성을 지켜야 진짜 이순신 장군 동상답게 보인다. 동상이 다시 광화문 사거리 풍경의 ‘화룡점정’이 될 그날을 ... ...
크리스마스와 찰떡궁합! 떡볶이의 대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24호
다양한 떡볶이를 연구하는 떡볶이연구소예요.김형석 기자 : 떡볶이연구소가 있다는
건
처음 알았어요! 연구를 할 정도로 떡볶이가 중요한 음식인가요?여수경 연구원 (떡볶이연구소) : 떡볶이는 불량식품이라고 생각하는 친구가 많지요? 하지만 떡볶이는 김치, 비빔밥, 전통주와 함께 ... ...
2050 미리 가 보는 미래의 크리스마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24호
선물이 놓여 있었어. 미래의 산타 할아버지가 주신
건
지, 현재의 산타 할아버지가 주신
건
지는 모르겠지만 말야.2050년 미래의 크리스마스는 꿈이었던 걸까? 그 때, 내 귀에 작은 스파이 로봇의 목소리가 들렸어. 미래의 크리스마스는 꿈이 아니라고. 다만 미래의 주인공인 우리가 어떤 상상력을 ... ...
하늘을 나는 뱀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24호
난다고 하니 다들 신기하다고 말하더군요.날개도 다리도 없는데 어떻게 하늘을 나는
건
가요?일단 높은 나무 위로 올라가요. 충분히 높이 올라가면 몸을 땅 아래로 쭉 내렸다가 힘차게 공중으로 올리면서 움추렸던 꼬리 부분을 쫙 펴지요. 그러면 스프링처럼 앞으로 튕겨 나갈 수 있어요. 저는 이런 ... ...
코리아노사우루스와 함께하는 2010공룡 大탐구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23호
실렸다! 연구팀은 토로사우루스가 단지 다 자란 트리케라톱스였으며, 헷갈려 했던
건
어린 공룡이 어른 공룡으로 크는 과정에서 머리뼈의 형태가 급격하게 커지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로써 토로사우루스는 제 이름을 찾을 수 있게 되었다.공룡의 진화 ❷하늘을 누비는 공룡의 후예들이처럼 ... ...
물리학으로 물 먹는 고양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23호
어떻게 물을 마시는
건
가요?혀 끝을 뒤로 말아 올린 뒤, 물의 표면을 깨뜨리지 않고 살짝
건
드리기만 해요. 그러면 혀와 접촉한 액체가 혀에 달라붙게 되지요. 이 때 혀를 빠르게 위로 올리면 낮은 압력이 생기면서 물기둥이 만들어져요. 그러면 곧 바로 입을 닫아서 물기둥의 물을 입 안에 ... ...
알록달록~ 마음을 표현 하는색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23호
여러분은 어떤 마음이 들었나요? 칸딘스키처럼 여러분의 느낌을 색으로 표현해 보는
건
어떨까요? 구성’은 재빨리 그린 듯 보여도 오랜 시간 연구하며 완성한 가장 높은 수준의 작품이에요.이런 그림을 추상화라고 한답니다 ... ...
호야가 청소년 국가대표 축구 선수를 만났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22호
때도 있어요. 하지만 참고 고비를 넘기면 그 뿌듯함은 훨씬 크답니다. 포기하거나 지는
건
못 참아요. 정은이가 새벽에 훈련하러 나가면 저도 같이 나가야 직성이 풀릴 정도로요. 하하~!와~! 저와 같은 꿈을 갖고 있는 언니들하고 얘기를 나누니까 힘이 불끈 솟는 것 같아요! 언니들은 앞으로 어떤 ... ...
삐리삐리 웰컴 투 로봇월드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22호
대해 궁금한 점이 많다구요?문혜민 기자 : ‘로봇’이라는 단어는 누가, 어떻게 만든
건
지궁금해요.김진오 교수 (광운대학교 로봇학부) : 처음 ‘로봇’이라는 단어를 쓴 사람은 체코의 극작가 카렐 차페크예요. 그가 쓴 희곡 ‘로섬의 만능로봇’에서 로봇이라는 단어가 처음 등장하죠. ... ...
이전
481
482
483
484
485
486
487
488
4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