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건맨
사항
점
개조
심줄
색
키이
d라이브러리
"
건
"(으)로 총 6,550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오의 나라
수학동아
l
2011년 01호
모양을 만들고 있었다. 한지를 본 지오의 얼굴로 이내 웃음이 번졌다.“마방진이네. 이
건
너무 쉽잖아요.”어린 시절부터 즐기던 마방진 놀이였다.“물론 너라면 금세 맞힐 줄 알았지. 그래도 그냥 알려주는 것보다는 이 방법이 더 재밌잖니. 어서 들어갈 숫자를 맞혀봐.”공주의 마방진은 1에서 ... ...
뜨거운 대지에서 순박한 아픔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늪처럼 변한 호수에 빠져 죽기도 한다.가장 슬픈 장면은 아우군구 강 근처에서였다.
건
기(5~6월)에 찾아오는 사막 코끼리들이 떼로 죽어 있었던 것이다. 그것도 어린 녀석들만! 어린 코끼리들은 코가 짧아 땅속 깊은 곳에 있는 물을 빨아들이지 못하고, 이동하는 무리에서 뒤처지는 경우가 많다. ... ...
크리스마스와 찰떡궁합! 떡볶이의 대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24호
다양한 떡볶이를 연구하는 떡볶이연구소예요.김형석 기자 : 떡볶이연구소가 있다는
건
처음 알았어요! 연구를 할 정도로 떡볶이가 중요한 음식인가요?여수경 연구원 (떡볶이연구소) : 떡볶이는 불량식품이라고 생각하는 친구가 많지요? 하지만 떡볶이는 김치, 비빔밥, 전통주와 함께 ... ...
하늘을 나는 뱀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24호
난다고 하니 다들 신기하다고 말하더군요.날개도 다리도 없는데 어떻게 하늘을 나는
건
가요?일단 높은 나무 위로 올라가요. 충분히 높이 올라가면 몸을 땅 아래로 쭉 내렸다가 힘차게 공중으로 올리면서 움추렸던 꼬리 부분을 쫙 펴지요. 그러면 스프링처럼 앞으로 튕겨 나갈 수 있어요. 저는 이런 ... ...
2050 미리 가 보는 미래의 크리스마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24호
선물이 놓여 있었어. 미래의 산타 할아버지가 주신
건
지, 현재의 산타 할아버지가 주신
건
지는 모르겠지만 말야.2050년 미래의 크리스마스는 꿈이었던 걸까? 그 때, 내 귀에 작은 스파이 로봇의 목소리가 들렸어. 미래의 크리스마스는 꿈이 아니라고. 다만 미래의 주인공인 우리가 어떤 상상력을 ... ...
코리아노사우루스와 함께하는 2010공룡 大탐구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23호
실렸다! 연구팀은 토로사우루스가 단지 다 자란 트리케라톱스였으며, 헷갈려 했던
건
어린 공룡이 어른 공룡으로 크는 과정에서 머리뼈의 형태가 급격하게 커지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로써 토로사우루스는 제 이름을 찾을 수 있게 되었다.공룡의 진화 ❷하늘을 누비는 공룡의 후예들이처럼 ... ...
물리학으로 물 먹는 고양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23호
어떻게 물을 마시는
건
가요?혀 끝을 뒤로 말아 올린 뒤, 물의 표면을 깨뜨리지 않고 살짝
건
드리기만 해요. 그러면 혀와 접촉한 액체가 혀에 달라붙게 되지요. 이 때 혀를 빠르게 위로 올리면 낮은 압력이 생기면서 물기둥이 만들어져요. 그러면 곧 바로 입을 닫아서 물기둥의 물을 입 안에 ... ...
알록달록~ 마음을 표현 하는색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23호
여러분은 어떤 마음이 들었나요? 칸딘스키처럼 여러분의 느낌을 색으로 표현해 보는
건
어떨까요? 구성’은 재빨리 그린 듯 보여도 오랜 시간 연구하며 완성한 가장 높은 수준의 작품이에요.이런 그림을 추상화라고 한답니다 ... ...
반가워요~! 로봇 영어 선생님!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22호
보낼 예정이지요.그런데 로봇이 어떻게 영어를 가르치나요?저 혼자서 영어를 가르치는
건
아니예요. 저는 호주나 필리핀에 있는 외국인 영어 선생님의 아바타가 되는것이랍니다. 외국에 있는 영어 선생님이 카메라를 보면서 상황에 맞는 말이나 표정을 지으면 제 얼굴에 달린 화면으로 선생님의 ... ...
삐리삐리 웰컴 투 로봇월드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22호
대해 궁금한 점이 많다구요?문혜민 기자 : ‘로봇’이라는 단어는 누가, 어떻게 만든
건
지궁금해요.김진오 교수 (광운대학교 로봇학부) : 처음 ‘로봇’이라는 단어를 쓴 사람은 체코의 극작가 카렐 차페크예요. 그가 쓴 희곡 ‘로섬의 만능로봇’에서 로봇이라는 단어가 처음 등장하죠. ... ...
이전
481
482
483
484
485
486
487
488
4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