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로
길거리
거리
가로
노선
항로
경로
d라이브러리
"
길
"(으)로 총 5,256건 검색되었습니다.
공업디자인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선진국대열에 올라서려면 첨단기술개발을 통해 더욱 고부가가치적인 상품을 생산해내는
길
밖에 없다. 기술개발에는 엄청난 투자와 인력, 시간이 소요되지만 디자인의 개선을 통해 편리함과 외양을 돋보이게 함으로써 부가가치를 높이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그러나 디자이너의 ... ...
노트북 컴퓨터 출현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끝없이 이어지고 있다.일본 도시바가 지난 7월 출하한 '다이나북'은 크기가 폭 31cm
길
이 25.4cm 두께 4.4cm이고 무게는 2.7kg에 불과하다. A4용지 크기로 3.5인치 플로피디스크를 내장했는데 가격도 20만엔이어서 발표하자마자 예약이 쇄도하고 있다고 한다.세이코엡슨사도 9월 중으로 두께 3.5cm인 ... ...
바람의 과학 그 천태만상의 해부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매우 춥다. 아시아지역 외에도 세계 각지에 계절풍이 존재한다.산풍, 곡풍/비맞은 산행
길
산 밑에서는 맑은 날씨였는데 산 정상에 오르면 갑자기 구름이 몰려오고 천둥번개와 함께 소나기가 내린다. 흠뻑 젖은 몸으로 산을 내려왔을땐 다시 아무일도 없었다는 듯이 화창한 날씨이다. 이러한 경험은 ... ...
리드프레임 소재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5백회 이상의 고속으로 리드프레임을 찍어내게(타발) 된다. 타발된 리드프레임은 일정한
길
이(약 20cm)로 전달되거나 코일형태로 감겨진다.그뒤 은도금을 한다. IC의 실리콘칩이 부착되는 부위에 3.0─10.0μ 두께로 은 또는 금을 균일하게 도금하는 것이다.도금된 리드프레임은 IC 조립공장에 수송되어 ... ...
진시황의 지하무덤을 찾아서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1명은 앉아 있다. 2대의 마차는 모두 8마리의 준마를 달고 있다.말의 높이는 평균 0.66m,
길
이는 약 1.12m이다. 시황제의 준마는 사서에 7마리의 이름이 전해지고 있다. 추풍(追風), 백토(白兔) 등이다. 그 이름에서도 천리를 달리는 준마라는 것을 느껴진다.시황제는 마차에 올라 준마를 한줄로 묶어 놓고 ... ...
망원경을 가진 인어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열심히 생활했다. 노력한만큼 얻어진다고 믿었기 때문이었다.문득 목표를 향해 가기까지
길
잡이 역할을 한 여고시절의 실천목표가 기억난다.“얘. 빨리 일어나라”하시는 어머니의 기상을 알리는 소리와 함께 나의 하루 일과는 시작된다. 처음으로 교실에 들어선 나는 교실 창문을 통해 들어오는 ... ...
걸어다니는 로봇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옆걸음이나 회전기능이 없어 완전히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또 평탄한
길
이외에 경사나 장애물이 있을 경우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한다.몸체의 무게는 원래 60kg을 예상했는데 계획보다 14kg더 무거운 74kg으로 늘어났다. 설계당시에 생각하지 못했던 기어박스와 비전시스팀의 모터 ... ...
해류, 기상을 지배한다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해류(海流)는 어떻게 형성되는가. 바람과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는 해류는 기후형성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친다.해류란 시공간적으로 거의 변동이 없는 규칙적인 해수의 흐름을 말 ... 냉수도 겨울철 냉각에 의해 형성된 것이고 동해 북부에서도 이와 비슷한 현상이 생
길
것으로 생각된다 ... ...
식민통치와 한국의 과학발전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관한 읽을 만한 책자들이 없었기 때문에 일반인들이 과학정보나 지식을 얻을 수 있는
길
을 제공하는데 일간지들은 큰 역할을 했던 것이다. 놓쳐버린 기술혁신의 물결인류사를 되돌아 볼 때 과학기술의 발전에는 몇개의 커다란 물결이 있었다. 기술의 진보는 과거의 성과위에 새로운 업적이 쌓여져 ... ...
인간의 수명한계는 115~120년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검진에 의해서 암을 조기발견하는
길
만이 암의 공포와 피해에서 벗어날 수 있는
길
이다. 물론 의과학자들은 암의 원인규명과 조기진단 방법을 위한 암표식자 발견 및 암화학요법제의 지속적인 개발을 서둘러 인류의 암퇴치에 배전의 노력을 기울이겠지만, 눈이 보이는 성과를 얻기까지는 아직도 ... ...
이전
481
482
483
484
485
486
487
488
4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