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식
데이터
인포메이션
뉴스
자료
보도
information
d라이브러리
"
정보
"(으)로 총 8,054건 검색되었습니다.
바래지 않는 추억 홀로그램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있다. 필름에 방대한 양의
정보
를 한번에 기록할 뿐만 아니라 일부가 손상돼도 전체
정보
를 복원할 수 있는 특성 덕분이다. 펄스 레이저 홀로그램은 역사적 유물, 의학표본, 건축물 등 장기적으로 기록이 필요한 분야뿐만 아니라 컴퓨터디스크, 개인용 병원기록 등에까지 광범위하게 응용될 수 있을 ... ...
뇌 속에 감춰진 모나리자 코드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특정한 방향의 선에 선별적으로 반응하는 신경세포(뉴런)가 있다. 이 뉴런들이 시각
정보
를 종합해 형태를 구성한다. 과학자들의 연구 결과 이 뉴런은 몬드리안 등의 그림을 볼 때 가장 활발해진다는 사실이 밝혀졌다.저자는 우리가 미술작품을 즐기는 이유는 '사랑'의 감정과 비슷하다고 말한다. ... ...
아폴로 vs 챌린저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수밖에 없었다. 결국 조사위원회는 챌린저호의 발사를 명령하고 이에 대한 정확한
정보
소통을 막아버린 NASA와 로켓 추진기 설계회사의 경영진에 사고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결론 내렸다.챌린저호 폭발로 그때까지 ‘무엇이나 해낼 수 있다’고 자신하던 NASA의 이미지는 크게 실추됐고 예산 지원도 ... ...
3 배움에도 때가 있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활발히 생성되는 특정 시기, 즉 시냅스 가소성이 가장 왕성한 바로 그 시기에 들어온 시각
정보
에 대한 기억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추측된다.각막이상으로 시력을 상실한 환자의 경우도 비슷하다. 각막이상이 아주 어린 시절에 발생했다면 이미 시각피질 회로가 제대로 발달되지 않은 상태이기 ... ...
테라헤르츠파를 쏜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앞으로 T선을 이용해 생명체에 전혀 무해하면서도 높은 분해능으로 원하는 생체조직의
정보
까지 확인할 수 있는 의료영상 기술의 시대가 열릴 것은 분명하다.하지만 T선도 풀어야 할 숙제가 아직 남아 있다. 예를 들어 현재 T선 기술로 피부암 등 암을 검진할 경우 T선이 조직내부를 투과하는 것이 ... ...
MIT 미디어랩 - 사람 중심의 미래를 준비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머지않은 미래에 우리는 사용법을 몰라도 생각하는 대로 동작하는 컴퓨터와 로봇을 만나게 될 것이다. 사람이 컴퓨터와 같은 도구 사용법을 익혀 기 ... 등 중학생이 이해하기 어려운 용어에 대해서는 용어사전을 제공해 누구나 날씨와 관련된
정보
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배려하고 있다 ... ...
1 기억도 부익부 빈익빈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것을 봤다고 증언한다. 책이나 영화에서 범죄자로 나온 흑인에 대한 기억 때문에 새로운
정보
를 잘못 재구성해낸 것이다. 이를 ‘오기억’이라고 한다. 기대, 고정관념, 편견 등이 바로 오기억의 산물이다.교사가 새로운 지식을 가르친 다음 그 내용을 바탕으로 해결할 수 있는 숙제를 내주면 학생은 ... ...
닥터 두리틀이 되고 싶나요?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입을 다문 채 ‘왕따’로 살 수는 없었던 모양이다. 소리 흉내는 이렇게 무리 속에서
정보
를 주고받으며 살아남기 위한 적응의 방법이 된다. 같이 놀기 위해 소리를 따라하는 경우다.험프백 고래는 소리를 흉내 내는 목적이 조금 다르다. 노드 교수는 고래의 노래 따라하기를 “인도양에서 ... ...
박석재 블랙홀 박사 한국인은 우주 민족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국가
정보
원 지하실에 외계인의 시체가 묻혀 있다는 비밀 아세요?”‘블랙홀 박사’로 유명한 박석재(48) 한국천문연구원 박사 맞아? 박 박사의 말은 이어졌다. “이런 말 하면 비웃음만 사요. 그런데 왜 미국연방수사국(FBI)이 지구에 온 외계인을 조사한다고 하면 그럴 수도 있다고 생각하죠?”박 ... ...
보이는 대로 믿지마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관계가 있다. 이 같은 시각경로는 서로 독립적인 것이 아니라 다양한 부위에서 서로
정보
를 교환해 단순한 ‘보는 것’이 아닌 ‘지각’을 창조한다.이렇듯 시각이란 카메라처럼 ‘본다’라는 단순한 작용이 아니라 뇌의 복잡한 분석과정을 통한 고도의 ‘인식작용’인 것이다. 끝으로 1966년에 ... ...
이전
481
482
483
484
485
486
487
488
4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