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큰"(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 [참여] 서로 소통하고, 협력하라! 제4회 청심ACG수학대회수학동아 l2014년 10호
- 수학대회와 어떤 점이 다르다고 느꼈나요?교내 수학대회에 참가했던 적이 있어요. 가장 큰 차이는 평가 방식이었어요. 교내 수학대회에서는 혼자 문제 풀이를 하고 정답과 비교해 채점을 받았었어요. 청심ACG수학대회에서는 팀원들이 서로 소통하면서 문제를 풀고, 그 결과뿐만 아니라 팀워크까지 ... ...
- 빨간 모자는 궁금한 걸 못 참아 텔로미어를 뛰어넘는 할머니의 힘!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추워지면 광합성을 하기 쉽지 않아. 게다가 추위에 잎들이 얼기라도 하면 식물 본체까지 큰 해를 입을 수도 있고 말이야. 그래서 식물은 호르몬을 조절해 잎의 엽록소가 사라지게 만들어. 그러면 잎 안에 있던 다른 색소들이 모습을 드러내 잎이 붉고 노랗게 물들지. 식물은 더 이상 광합성을 할 수 ... ...
- PART 3. 세계는 생물자원 전쟁 중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세계 해양동물 종의 약 30%가 살 정도로 생물다양성이 높은 지역이라 신종 발견이 그리 큰일은 아니었다. 특별한 점은 이 해면동물에게서 '다이시노신 A'라는 혈액응고 억제제가 발견됐다는 점이다. 후퍼는 이 신종이 혈전증(혈액이 굳어 생기는 질병)에 효과가 있을 것이란 논문을 발표했다 ... ...
- PART 2. 광대뼈가 높을수록 진실한 사람이라고?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전반적인 비율이 보여주는 ‘여성적인 매력’도 중요한 요소로 꼽았다. ‘두툼한 입술, 큰 눈, 얇은 턱, 높은 광대뼈, 입과 턱 사이의 짧은 거리, 얼굴의 대칭성’ 등을 의미한다. 여성이 나이가 들수록, 다시 말해 성적 능력이 퇴화하기 시작하면 같이 줄어드는 특성들이다(생기 없는 입술, 주름살로 ... ...
- [hot science] 고개 3번 넘어야 태양계가 끝난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에드 스톤 박사는 발표에서 “성간공간은 보통 평온한 호수와 같지만, 태양에서 큰 폭발이 일어나면 충격파로 일렁인다”고 말했다. 이 충격파는 태양에서 폭발이 일어난 지 1년 뒤에 내게 전달된다. NASA는 2012년 태양에서 일어난 세 번의 대규모 태양풍 폭발 현상(코로나질량방출, CME)을 관측했다. ... ...
- [2030 인류, 화성에 가다] 화성 올림픽 폐막 파티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아쉽긴 하지만, 맛과 향, 그리고 쫄깃한 식감만으로도 충분한 만족감을 느낄 수 있어 큰 문제는 없다.우주식품은 짧게는 6개월부터 길게는 우리처럼 500일 이상을 지구 밖에서 보내야 하는 우주인에게는 대단히 중요하다. 육체적 건강만이 아니라, 정신적 외로움과 향수를 달래는 데 음식보다 중요한 ... ...
- PART 2. 신종헌터 블루오션국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되고 싶다고 했지만 딱 한마디가 돌아왔다.* 문(門)문은 생물 분류에서 두 번째로 큰 단계. 종-속-과-목-강-문-계로 분류한다. "There is no second in Science(과학에는 2등은 없다)." 냉정했다. 조 교수는 그 연구에서 아예 손을 떼야 했다. 거의 두 달을 폐인처럼 살았다. 좌절 속에서도 어쨌든 연구는 계속 ... ...
- [hot science] 로봇에게 윤리를 가르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행동 규칙’을 넣어주는 데 반해, 브링스요드 박사의 접근법은 “생명은 소중하다”는 큰 원칙을 프로그래밍 해준 뒤, 로봇이 스스로 사고를 피하는 방향으로 행동하게끔 해주는 것이다.그가 개발한 프로그램 하나는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이라는 공리주의 원칙에 따라 결정을 내린다. 이 ... ...
- [hot science] 충격! 화성에도 과학동아 독자가?과학동아 l2014년 10호
- 고대 생명체는 미생물 수준입니다. 산소 농도가 낮아서 뼈를 화석으로 남길 정도로 큰 동물이 살기는 어려웠다고 합니다.NASA가 숨기고 있다?더 나아가 화성에 고대 문명이 있었다는 주장은 어떨까요? 화성의 인면암이나 피라미드는 이미 논파가 끝났습니다. 그 외에는 금속 조각이나 벽돌처럼 ... ...
- PART 1. 1억 원 우주관광 티켓의 비밀과학동아 l2014년 09호
- 훗날 스페이스X를 함께 창업한 엔지니어 탐 뮐러를 처음 만나 이렇게 물었다. “좀 더 큰 놈도 만들 수 있겠소?” 우주개발의 새로운 역사는 이렇게 시작됐다.스페이스X는 창업 4년 만인 2006년, 첫 발사체 ‘팰컨1’을 발사했다. 우주선 개발이 늘 그랬듯, 첫 시도는 실패로 끝났다. 터보펌프의 ... ...
이전4814824834844854864874884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