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람"(으)로 총 14,404건 검색되었습니다.
- 나사 중대발표, 비소 박테리아라고?어린이과학동아 l201024
- 생명체가 살지 못해요. 여기서 인 대신 비소를 이용하는 박테리아를 발견한 거예요.많은 사람들이 외계생명체 소식이 아니라서 실망했지만, 인 대신 비소를 이용하는 박테리아도 대단한 발견이랍니다. 인은 생명체의 기본 6대 원소 중 하나로, 세포막이나 단백질을 만드는 데 꼭 필요한 원소예요. ... ...
- 크리스마스 선물 배달 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024
- 보세요. 눈 내리는 겨울 풍경이 입체적으로 보여요. 원리는 이것!상자 안에 그려진 사람은 모두 비슷한 크기이지만, 우리 눈과의 거리에 따라서 원근감이 생겨 입체적으로 보여요. 우리 눈은 같은 크기의 사물이라도 가까이 있는 것은 크게, 멀리 있는 것은 작게 느끼기 때문이에요. 이것을 원근의 ... ...
- 2050 미리 가 보는 미래의 크리스마스~어린이과학동아 l201024
- 뇌신경 사이에 신호가 전달될 때 생기는 전기의 흐름이랍니다. 그런데 이 뇌파가 그 사람의 상태나 생각을 알려 줄 수 있어요. 예를 들어 안정을 취하고 있을 때는 알파파라는 뇌파가 나오고, 불안하고 긴장될 때는 베타파가 나오는 거예요. 이런 뇌파의 미세한 변화를 읽어 내면 어떤 생각을 ... ...
- 앗, 따가워! 고래도 화상 입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023
- 있었답니다.고래가 숨을 쉬기 위해 바다 위로 올라올 때, 피부가 타는 거예요. 고래는 사람처럼 옷으로 가릴 수도 없고, 동물 친구들처럼 털도 없기 때문에 오히려 화상을 더 심하게 입는다고 해요.화이트하우스 박사는 바다 속 고래를 위해 우리가 선크림을 발라 줄 수는 없지만 적어도 바다를 ... ...
- 글 못 읽는 사람, 사람은 더 잘 알아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023
- 뇌가 얼굴에 더 활발하게 반응했지요. 글을 읽을 수 있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사람의 얼굴을 더 못 알아본다는 뜻이에요 .데하네 박사는 글을 읽는 능력과 얼굴을 알아보는 능력이 서로 경쟁하기 때문이라며, 읽고 쓰기를 하는 문자생활 때문에 얼굴을 인식하는 능력이 떨어졌을 수 있다고 ... ...
- 물리학으로 물 먹는 고양이어린이과학동아 l201023
- 냐옹~! 최근 고양이 씨의 물먹는 방법이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도대체 왜 화제가 됐나요?사람이나 말, 양 등 동물은 입술을 빨대처럼 이용해 물을 빨아들이고, 개는 혀를 숟가락처럼 말아서 물을 떠 마셔요. 하지만 저는 다른 동물들과 다르게 독특한 방법으로 턱이나 수염에 물 한 방울 안 묻히고 ... ...
- 알록달록~ 마음을 표현 하는색어린이과학동아 l201023
- 니콜라 테슬라, 천재 물리학자 리처드 파인만, 음악가 프란츠 리스트도 공감각을 경험한 사람이었답니다. 마음을 표현하는 그림칸딘스키는 점, 선, 면에 다양한 색채를 입히는 작품을 만들었어요. 은 원, 반원, 각,직선과 곡선을 이용하고 있네요. 그림 왼쪽 위에 있는 가장 큰 원이 ... ...
- 엄지공주도 깜짝 놀란 마이크로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023
- 자주 올라오는 조기의 비늘이 문득 궁금했다. 조기 비늘을 현미경으로 확대해 관찰하자 사람의 지문과 비슷한 모습이 나왔다. 백합●2010 니콘 스몰월드 12등●그레고리 루즈●미국 스크립스 해양연구소●배율 10배마치 백합이 피어나는 것처럼 보이는 쌍각조개의 모습. 가방을 멘 멸치●2010 니콘 ... ...
- 밀착취재 반갑다 철새야!어린이과학동아 l201023
- 다니는 습성이 철새와 비슷하답니다. 참! 저의 특별한 능력에 대해 알고 계시죠? 저는 사람의 말을 잘 따라할 수 있어요. 깜찍한 외모에 특출난 재주까지…, 정말 멋지죠?철새 상식! 철새들은 서울에서 부산까지 거리의 20배인 1만㎞를 쉬지 않고 날아간답니다. 작은 몸집으로 이렇게 먼 거리를 날 수 ... ...
- 코리아노사우루스와 함께하는 2010공룡 大탐구어린이과학동아 l201023
- 가면 번뜩이는 눈에 사나운 표정, 포효하는 듯 입을 크게 벌리고 있는 우리를 본적 있지? 사람들이 되살려 놓은 우리의 모습이 꽤 멋진 것 같아! 이렇듯 생생한 모습을 볼수 있는 건 공룡학자들이 화석을 바탕으로 최대한 원래 모습에 가깝게 복원한 덕분이지. 하지만 음…, 솔직히 색깔은 좀 ... ...
이전4824834844854864874884894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