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학교
칼리지
전문대학
유니버시티
대
단과대학
연구소
d라이브러리
"
대학
"(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시사] CHIHULY 유리와 자연의 입맞춤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있다. 작가 인터뷰유리에 생기를 불어 넣다유리 공예가 데일 치훌리미국 워싱턴
대학
교에서 실내 디자인을 전공했다. 우연한 기회로 유리의 매력에 빠져, 50년간 유리 공예에 인생을 바쳤다. 식물과 자연을 사랑하는 치훌리의 이야기를 들어 봤다.어떤 계기로 유리 공예를 시작하게 됐나요?어느 날 ... ...
PART 2. 물리학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관심을 갖다가 1981년 나고야대 교수로 부임하면서 본격적인 연구를 시작했다. 당시
대학
원생이었던 아마노 교수도 여기에 합류한다. 1986년 두 사람은 사파이어 기판 위에 좋은 품질의 질화갈륨 결정을 기르는 데 최초로 성공한다. 질화갈륨으로 전자소자를 만드는 것이 가능해진 것이다. 하지만 한 ... ...
PART 4. 화학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야심은 무모해보였다. 누구도 그의 꿈이 가능하다고 보지 않았다. 헬은 독일에 있는 여러
대학
과 연구소에 지원했지만 번번이 떨어지고, 결국 유럽의 변방이라고 할 수 있는 핀란드 투르크대에 어렵게 자리를 잡는다. 자신의 특허를 팔아 얻은 돈과 부모님께 빌린 돈으로 1993년 학생기숙사에서 ... ...
PART 1. Y염색체 1000만 년 뒤 사라질까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노스캐롤라이나대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근무했다. 2005년 3월 고려대에 부임해 생명과학
대학
생명공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Y의 몰락PART 1.Y염색체 1000만 년 뒤 사라질까PART 2.Y가 사라진 ... ...
[life & tech] 당신의 발열공포가 아이를 괴롭힌다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데 비해 아이가 괴로워하기 때문에 더 이상 추천하지 않는 처치다. 김진선 조선대 의과
대학
간호학과 교수는 “아이가 추워서 몸을 떨면 열이 생산돼 체온을 오히려 올릴 수 있다”며 “얇은 것을 덮어주면 몸이 떨리는 것을 방지하면서 열을 내릴 수 있다”고 말했다. 영국 국립보건임상연구원(NICE ... ...
[life & tech] 짝퉁 꼼짝 마!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개발된 한국조폐공사 고유의 복사방해패턴은 인감증명서 같은 각종 국가 인증서와
대학
증명서, 의약품 처방전, 온누리상품권 등에 적용됐다. 하지만 곧 불만이 터져 나왔다. 문서를 꼭 복사해 봐야만 위조 여부를 알 수 있었기 때문이다. 숨겨진 패턴을 볼 수 있는 ‘위·변조 방지 돋보기’도 ... ...
[fun] 다른 곳에는 없는 독특한 과학책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들 듯 출판사도 달라진다“처음에는 ‘수직한다’라는 말 자체가 이해가 안됐어요.”
대학
시절 국문학을 전공한 이진경 과장은 신입사원 시절을 떠올리며 웃었다. ‘수직한다’는 보통 ‘두 직선이 직각으로 만나다’ 같은 뜻으로 사용된다. 생소한 단어와 표현이 가득한 글을 가지고 저자와 ... ...
[과학뉴스] 다이아로 반지? 이젠 뇌에 꽂아야지!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기술은 현재 미국 메이요병원 신경외과 캔달 리 교수팀과 장동표 한양대 의생명공학전문
대학
원 교수가 공동으로 개발하고 있다. 한국 연구자가 브레인 계획 6대 최우선 연구 과제에 선정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 ...
[career] 기숙사에서 매일 열리는 ‘비정상회담’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타임즈 고등교육 세계
대학
랭킹(THE)’에서도 공학기술 26위, 종합순위 52위로 세계 유수
대학
과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다. “학문수준으로는 최대로 올라왔다고 봅니다.” 남은 일은 평판도와 국제화를 높이는 일이다. 세계 학문발전에 얼마나 기여하느냐, 외국인 학생과 교수에게 얼마나 문을 ... ...
PART 1. 일본 노벨상의 비결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운영하며 기초과학을 가르쳤다. 이들은 나중에 모두 국립대가 됐는데, 이 가운데 5개
대학
에서 일본인 노벨과학상 수상자의 대부분이 나왔다. 여기에 1917년부터 기초과학 연구소인 이화학연구소(리켄)를 설립해 기초연구를 강화했다. 이후로도 일본은 GDP 대비 연구개발비, 기초과학 투자비 등에서 ... ...
이전
482
483
484
485
486
487
488
489
4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