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가방
쌕
후위
핸드백
100
전역백
back
d라이브러리
"
백
"(으)로 총 6,573건 검색되었습니다.
삼성전자, 16MD램 시제품개발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연구소수준의 시제품으로 0.6μ의 미세가공기술을 사용해 엄지손톱만한 크기에 3천6
백
만개의 소자를 집적시켰다. 이 칩속에 신문 1
백
28페이지 분량의 정보를 기억시킬 수 있다.삼성전자는 지난해말 준공한 기흥 ULSI(극초대규모집적회로)연구소의 시설을 이용해 16메가D램을 개발했는데 내년 3월까지 ... ...
프로그램등록 추가추세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차지했다. 또 사용언어별로는 C언어(26%) 어셈블리(22.8%) 코볼(11.8%)이 가장 많았고, 54.2%인 5
백
60건이 퍼스널 컴퓨터용 소프트웨어여서 PC 보급증가에 따른 소프트웨어의 필요성이 증대 됐음을 보여줬다.프로그램제작자별 등록순위를 보면 대우통신이 1
백
14건으로 전체 등록프로그램의 20%를 넘어 섰고 ... ...
도서관전산망 구축된다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하나로 묶는 도서관정보전산망(KOLIS NET) 이 구축된다.문교부는 91년부터 94년까지 1
백
19개 국립도서관 및 공공도서관을 19개 지역센터로 묶고 이 지역센터들을 다시 중앙의 도서관정보전산센터로 통합시킨다는 도서관정보전산망계획을 확정했다.문교부는 국립중앙도서관 전산실을 ... ...
아르헨티나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국토의 총 면적의 5분의 1에 불과하지만 인구는 4분의 3이 밀집해 있다. 연강수량 5
백
mm를 기준으로 습윤팜파(동부 대서양쪽)와 건조팜파(서부)로 나뉘는데 습윤팜파에서는 옥수수, 건조팜파에서는 밀을 주로 기른다. 팜파의 개척은 1870년대부터 시작되었는데, 당시는 목양(牧羊) 중심이었다. 그후 ... ...
갈릴레이 망원경에서 전파망원경까지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관측하기에는 부적당하며 천체사진의 가이드 촬영은 불가능하다. 망원경 발명 이후 2
백
년이 지날 때까지 모든 망원경의 가대는 경위대식이었다.■적도의식1820년 독일의 물리학자 폰 브라운 호퍼(Von Braun Hofer)가 소련의 도르팻(Dorpat)대학 9.5인치 굴절망원경에 설치한 것이 최초로, 지구의 자전축에 ... ...
세계 최고(最古)의 금속활자본을 파헤친다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본격적인 인쇄가 시작됐다. 그로부터 수많은 책들이 인쇄되었다. 지금 남아 있는 1
백
여종의 갑인자 인쇄본을 보면 그것이 얼마나 훌륭한 것이었는지 금방 알 수 있다. 확언하건대 15세기 전반기의 책들 중에서 세계에서 가장 아름답고 선명한 인쇄물이다. 이것은 사실상 조선식 청동활자 ... ...
낙타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1.8~2.1m인 쌍봉낙타는 중앙아시아와 몽고지방이 원산지다. 쌍봉낙타는 몸무게가 4
백
50~7
백
kg인 단봉낙타 보다 더 무겁지만 다리는 더 짧고 색은 밤색 또는 회색이다.임신기간은 3
백
96일이며 새끼는 한번에 한마리씩 낳는다. 생후 5년이 지나면 암컷은 번식할 수 있는데 일생동안에 5~7마리의 새끼를 ... ...
상처를 찾아라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찾으려 하고 있다. 이유는 간단하다. 그 충돌의 최초의 표시는 전세계에서 발견된 6천5
백
만년 된 암석의 얇은 층이며 여기엔 희귀한 금속인 이리듐이 비교적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다. 그런데 유성에는 지구표면보다 이리듐이 더 풍부하여 그 이리듐은 본래 유성에 있었던 것일지 모른다. 그러나 ... ...
달라진 천리안Ⅱ 서비스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음식점 안내정보마켓차림에서 제공하는 정보. 서울 및 서울근교의 주요 음식점(7월 현재 6
백
개 업소)에 관해 각 음식점별 14개 항목을 수록하고 있으며 앞으로 계속 정보를 확대하고 지역도 전국으로 확대할 예정이다.특징은 음식 종류별 및 지역별로 구성하여 메뉴방식으로 검색할 수 있으며 검색어 ... ...
감마선관측기구 11월 발사 예정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이용한 기존의 감마선 관측에 비해 10~50배 약한 빛까지도 추적 가능하며 관측범위는 3
백
배 이상 확대된다.감마선관측기구는 2주에 한번씩 관측위치를 바꾸며 활동해 2년간의 기초조사를 마무리짓는다. 비(非)가시광선인 감마선이 이 관측기구내에 들어오면 그 속의 특수물질(액정 등)과 반응해 ... ...
이전
482
483
484
485
486
487
488
489
4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