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협회
공학
연구실
대학
학회
사회정책연구소
사회
d라이브러리
"
연구소
"(으)로 총 6,837건 검색되었습니다.
3. 정보의 홍수로부터 해방 인간게놈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공개한 것도 다양한 슈퍼컴퓨터 소프트웨어 개발을 촉진하려는 전략이다.국내에서 많은
연구소
와 기업들이 슈퍼컴퓨터를 도입해 사용하고 있으나 소프트웨어 개발과 운용 면에서 아직 발전의 여지가 많다. 생물학 분야의 경우 하드웨어 자원과 소프트웨어 기술의 미비, 슈퍼컴퓨터를 이용한 ... ...
에릭슨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시스타 지역은 무선통신기술의 핵심지역으로 떠올랐다. 국제적인 기업들이 이곳에
연구소
를 설치하고 세계 각국의 기술자들이 몰려들고 있다. 스웨덴 정부는 정보통신산업의 급속한 발전에 부응하기 위해 시스타에 학생 1만명을 수용할 수 있는 공대 설립을 추진할 정도다.넓은 지역, 적은 인구가 ... ...
유럽입자물리
연구소
반수소원자 만든다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뿐이다.왜 반물질이 사라지게 됐을까.이것은 오랜 세월 동안 수수께끼였다.유럽입자물리
연구소
(CERN)는 최근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포획해서 연구할 수 있을 정도로 느린 반물질을 만들 계획이라고 밝혔다. CERN은 이번 연구를 수행할 ‘반물질 공장’으로 1백85m의 작은 감속기를 이용한다. ... ...
허블 우주망원경 혜성핵 붕괴현상 포착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999 S4’, 일명 리니어 혜성. 리니어는 지구근접 소천체 탐색을 위해 미국 MIT대학 산하 링컨
연구소
에서 수행중인 프로젝트의 이름에서 따온 이름이다.리니어 혜성은 발견 이후, 금년 7월 말에 태양에 가까워지면 눈으로 볼 수 있을 만큼 밝아질 것으로 예상되기도 해 아마추어 천문가들의 관심을 ... ...
2. 극한 조건 실험 대행 핵폭발 시뮬레이션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더 강력하다.가상실험 실제와 얼마나 동일한가이 컴퓨터가 설치된 미국 샌디아 국립
연구소
는 인류 역사상 수학적으로 가장 풀기 어려운 계산문제 중의 하나를 풀고 있다. 즉 재고 핵무기의 성능을 평가하고 노후화 되는 기능을 점검하며 이러한 과정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여러가지 안전 현안 ... ...
한국2000년 과학축제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형식이어서 원리를 단순히 설명하는 것에 그쳤다. 관심을 끈 주변
연구소
탐방도
연구소
에서 이뤄지는 특별한 프로그램이 있는 것이 아니라 홍보관을 중심으로 관람하는 정도에 그쳤다. 이렇게 프로그램 개발이 내실있게 이뤄지지 않은 이유 중 하나는 과학행사를 기획하는 단계에서 전문가가 ... ...
제임스 왓슨의 이중나선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연구자들간의 팀워크다. 여러가지 면에서 캐번디시
연구소
보다 앞서 있던 킹스 칼리지가 경쟁에서 실패한 이유 중 하나는 분명 공동연구자였던 윌킨스와 프랭클린 사이의 불협화음이었다.이 책을 통해서 엿볼 수 있는 또다른 중요한 사실은 과학적 발견 ... ...
1. 달러덩어리 가속기 왜 필요했나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에너지는 입자가 도는 링의 반지름에 의존한다. 2005년에 가동될 예정인 유럽입자물리
연구소
(CERN)의 거대강입자가속기(LHC)는 총 14조eV의 에너지를 내는데 링의 반지름은 약 4km이다 ... ...
4. 21세기를 여는 통합물리학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하며 2020년 전까지 이를 발견하는 작업이 끝날 수 있을 것이다. 10년전부터 유럽입자물리
연구소
(CERN)에 있는 거대강입자가속기(LHC)가 이러한 작업을 위해 건설되고 있다.가장 무거운 입자는 톱 쿼크로 에너지로 따지면 약1백75GeV 정도 된다. 아직 발견되지 않은 힉스 입자는 1백GeV에서 수백GeV 정도의 ... ...
모래시계에서 발견한 물리학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속에서 무엇을 발견한 것일까?물리학자를 해변가에 주저앉히다현재 브룩헤이븐 국립
연구소
에서 근무하는 퍼 박 박사는 한줌의 모래가 만들어내는 패턴 속에서 ‘스스로 짜여진 고비성’(Self-organized criticality)이라는 현상을 발견해 일약 스타가 된 덴마크 물리학자다. 이 현상은 많은 물리학자들을 ... ...
이전
482
483
484
485
486
487
488
489
4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