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하
나중
뒤
아래
이래
d라이브러리
"
이후
"(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진해일 22만명 목숨 앗아가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일어날 수 있을까. 원자폭탄 100만개 에너지이번에 발생한 지진의 규모는 9.0으로 20세기
이후
계기로 관측된 지진가운데 4번째로 큰 지진이다. 가장 큰 지진은 1960년 5월 22일에 남미 칠레에서 발생한 규모 9.5의 지진이다. 도대체 규모 9.0이면 어느 정도의 지진일까. 규모 5의 지진은 대략 2차대전 당시 ... ...
진화하는 진화론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오랜 세월을 거쳐 조상과 다른 종으로 분화한다는 진화론의 개념이 담겨 있다. 다윈
이후
과학자들은 진화 현장에 대한 생생한 목격담을 쏟아내고 있다. 정치·경제·사회 분야에서도 진화를 논한다. 세상을 둘러보라, 진화론은 곳곳에서 그 진가를 발휘하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1. 진화 고속으로 일어난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발견되는 화석을 통해서라야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고 생각한 것이다. 그러나 다윈
이후
갈라파고스를 찾은 과학자들은 실제로 진화가 일어나는 것을 목격했다.다윈이 미처 보지 못한 생생한 진화의 현장을 들여다보자. 체험 진화 현장다윈이 관심을 보였던 13종의 갈라파고스핀치는 진화의 ... ...
MS 철옹성 무너뜨린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미국 스탠퍼드대에서 컴퓨터과학을 전공하는 블레이크 로스가 버전 0.5까지 개발했고,
이후
버전 1.0까지는 뉴질랜드 오클랜드대의 벤 구저가 도맡았다. 영국의 더 타임스 인터넷판은 “10대 컴퓨터 천재가 MS 타도 선두주자로 떠오르고 있다”고 보도했다. 기술로 밀어붙인다네티즌들이 ... ...
로터리 엔진 vs 피스톤 엔진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0년 드디어 NSU 모터와 방켈 박사는 독일박물관에서 방켈 로터리 엔진의 시연에 성공했다.
이후
신문들은 ‘기적의 엔진’이 출현했다고 떠들어댔고, 주식 시장은 새로운 엔진 시장의 출현을 예상하며 덩달아 상승세를 보였다.방켈 로터리 엔진을 장착한 최초의 자동차 방켈-슈피더는 그로부터 3년이 ... ...
고양이들의 나이팅게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분이에요. 1998년 집 앞에 버려진 새끼고양이를 데려와 키운 게 시작이었다고 해요. 그
이후
동네 꼬마들에게 괴롭힘을 당하고 있는 고양이, 주인에게 버림받고 병원에서 안락사를 기다리고 있는 고양이, 교통사고를 당해 심하게 다친 고양이 등 죽을 위험에 처해 있는 길거리 고양이들을 그냥 ... ...
과학이 당신을 엿본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DARPA)은 감시기술의 최대 산실로 떠올랐다. DARPA는 지난 2001년 9.11테러
이후
‘테러리즘인식’(TIA)프로젝트라는 일종의 테러예방기술 개발 계획을 세웠다. 미국과 해외를 오가는 모든 전화와 이메일 가운데 테러와 관련됐을 것으로 추정되는 내용을 적발하는 기술을 개발하겠다는 것. 자동 외국어 ... ...
줄기세포 치료의 열쇠는 분화 기술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콜로니)을 만드는데, 이 세포군이 하나의 조혈줄기세포에서 유래한 것임을 증명해냈다.
이후
부터 한동안 비장에 생기는 세포군의 수를 측정해 조혈줄기세포의 수를 알아내기도 했다.또한 1960년대에는 쥐를 연구하는 과학자들이 쥐의 뇌 두 곳에 신경세포로 분화하는 신경줄기세포가 있다는 사실을 ... ...
천재들의 기록을 원본으로 보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없을 것이다. 그러나 이들이 쓴 글을 직접 읽어본 사람도 거의 없을 것이다.르네상스
이후
현대에 이르는 500여년의 지식 역사를 대표하는 천재 과학자들의 기록을 담은 책 ‘지식의 원전’이 나왔다. 인체 내부 구조에 대해 몹시 궁금해 하던 다빈치의 기록부터 핵 실험을 지켜보며 극도의 희열감을 ... ...
레우벤후크의 현미경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세균학, 조직학 등 많은 수의 새로운 학문을 열고 세우는 토대가 됐다. 레우벤후크
이후
한동안 발전이 없었던 현미경은 1830년 리스터가 색지움 렌즈를 발명하면서 관찰하기에 더 편리한 복합현미경을 개선하는 방향으로 발전됐고 단순현미경은 자취를 감췄다. | 재현 실험 |1674년 레우벤후크는 ... ...
이전
482
483
484
485
486
487
488
489
4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