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반
기본
토대
근본
근거
터전
밑바탕
뉴스
"
기초
"(으)로 총 4,859건 검색되었습니다.
경희대 ‘후마니타스 칼리지’ 취업교육 대신 교양 위주로… ‘따뜻한 시민’ 양성 정착
동아일보
l
2013.04.25
같은 수업은 외국어 체육 예술영역을 포함하는 자유이수교과에 해당한다. 중핵 및
기초
교과는 강의당 수강 인원을 20∼40명으로 제한한다. 토론과 발표 위주의 수업을 하기 위해서다. 도정일 후마니타스 칼리지 대학장은 “학생들이 더 성숙하고 더 유용하고 더 나은 인간이 되도록 가르쳐서 사회로 ... ...
[대전/충남]은퇴 과학자들 ‘초중고생 과학멘토’로 뛴다
동아일보
l
2013.04.25
맡은 한국 원자력의 선구자다. 장 전 소장은 대전 용산고 멘토로 활동한다. 7년 동안 한국
기초
과학지원연구원장을 지낸 이정순 씨(68)는 화합물반도체의 광학적 특성 연구 국내 1인자로 꼽혔다. 2005년 퇴직한 뒤 대전에 거주해 온 그는 학하초교 멘토로 나선다. 채연석 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장, ... ...
혁신학교, 학부모-교사는 만족… 학습지원 부족해 사교육 여전
동아일보
l
2013.04.25
학부모 대상 심층면접에서는 ‘동아리 활동과 체험학습 등을 중심으로 수업하면서
기초
학습이 부족해져 학원과 학습지 의존도가 높아졌다’는 불만이 제기되기도 했다. 무엇보다 가장 큰 문제는 혁신학교에만 따로 예산이 지원된다는 점이 꼽혔다. 혁신학교에만 예산을 몰아주면서 다른 ... ...
[미래창조 기업]내실 다지기·R&D·교육, 국가 성장의 씨앗을 뿌리다
동아일보
l
2013.04.25
할 수 있게 됐다. 회사 측은 “MOU 체결을 통해 우수 인재를 확보하는 것은 물론이고
기초
과학 발전과 융·복합 분야 인재 육성에도 많은 성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앞서 LS니꼬동제련은 지난해 4월 서울대 신소재공학연구소와 금속 관련 소재 연구개발에 관한 산학협력 ... ...
‘오메가3’ 먹어야 하는 이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바라는 확신을 주는 이론에
기초
한 고정관념을 마음에 담아두느니 차라리 아무 것도 모르는 게 더 낫다.” - 클로드 베르나르, ‘실험의학연구개론’(1865) 지난해 12월 13일자 ‘네이처’의 ‘세계관(world view)’이란 칼럼란에 재미있는 글이 실렸다. 과학기자를 하다가 지금은 과학저술가로 활약하고 ... ...
칼 우즈, 생물학의 뿌리를 뒤흔든 아웃사이더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조언을 했다. “처음부터 생물학을 너무 진지하게 공부하지 마세요. 먼저 가능한 폭넓게
기초
과학 교육을 받으세요. 그래야 나중에 생물학에 입문할 때 과학적 감각을 유지할 수 있고 열린 마음과 호기심을 지닐 수 있답니다. 생물학을 공부할 때는 역사적인 배경부터 시작하세요. 현재 트렌드의 ... ...
독감 걸리는 사람 완전히 사라지는 날 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무대책으로 감기에 걸리거나 기껏해야 번지기 시작하며 그 때부터 부랴부랴 확률에
기초
한 독감 백신을 만들어 때워나가야 할까. 최근 중증 감기가 늘고 있기는 하지만, 감기는 증상이 심하지 않은 편이고, 워낙 원인이 되는 바이러스 자체가 다양해 현실적으로 백신 연구가 활발치 않다. 반면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②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노벨물리학상을 받았고 1996년 사망했다. 16. 로이 브리튼 (1919.10. 1 ~ 2012. 1.21) 게놈 이해의
기초
를 쌓은 분자생물학자 “사람과 침팬지는 게놈이 98.7%나 똑같은데 왜 이렇게 차이가 나나?” 이런 말을 들어봤을 것이다. 그러나 2002년 미국립과학원회보(PNAS)에 실린 한 논문을 보면 이 질문의 전제가 ... ...
광합성 단백질로 태양전지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2
식물처럼 광합성 할 수 있는 단백질을 만들어 주목받고 있다. 광주과학기술원(GIST)
기초
교육학부 서지원 교수와 화학과 4학년 강보영 학생 연구팀은 식물이 빛을 모으는 데 사용하는 안테나 단백질을 모사해 인공 안테나 단백질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22일 밝혔다. 일반적으로 식물은 빛을 ... ...
이전
482
483
484
485
486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