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성
조직
구출
구제
조립
구원
기구
d라이브러리
"
구조
"(으)로 총 7,345건 검색되었습니다.
신의 영역에 도전하는 인공생명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것.불행히도 노이만은 자동자 이론을 완결짓지 못하고 생을 마쳤지만, 생명의 논리적
구조
를 탄소유기물과 단순기계로부터 해방시켜 후대 과학자들에게 많은 영향을 끼쳤다. 노이만의 세포 자동자 이론은 1960년대부터 수학자 콘웨이를 중심으로 ‘생명 게임’이라는 형태로 이어졌다. 생명 게임은 ... ...
롤러코스터처럼 짜릿한 공학설계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구조
물을 설계하는 능력은 중요하다. 하지만 프로젝트의 기획과 팀 운영, 공학도로서
구조
물을 전체적으로 바라보는 ‘엔지니어링 센스’와 소비자의 마음을 감동시키는 감성설계 등은 앞으로 공학도로서 더 커나가기 위해 무엇보다 소중한 밑거름이다. 이 때문에 ‘창의적 공학설계’는 성균관대 ... ...
PART2 여름 피부 지켜주는 나노 화장품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소재(상자성체 소재)를 번갈아 수nm 두께의 층을 이루도록 한 다층 복합
구조
소재다. 이런
구조
의 소재는 외부 자기장의 강도가 조금만 변해도 소재의 전기저항 값이 크게 달라지는 특성(GMR 현상)을 갖는다. GMR 소재는 기존의 하드디스크 헤드에 쓰였던 자기저항 재료에 비해 자기장 변화에 따른 ... ...
Ⅱ 붉은악마 열광시킨 대형 전광판 LED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있는 물질이다.그러면 반도체에서 빛이 나오는 이유는 무엇일까. 반도체의 에너지 띠(방)
구조
를 살펴보면 여기에 비밀이 숨어있다. 자극을 받아 위로 올라간 전자는 아랫방에 정공(hole)이라는 분신을 하나 남기게 된다. 전자와 정공은 매우 친하기 때문에 같이 합치려는 경향이 있다(모든 물질은 ... ...
2. 많을수록 똑똑해지는 분산 로봇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항체는 특정 항원에 대해 정해진
구조
를 갖는 것이 아니라 그때그때 항원에 따라 자신의
구조
를 바꾼다는 의미다. 또한 면역계가 중앙의 제어기관 없이 온몸에 걸쳐 분산돼 있다는 사실(자율분산 시스템)도 주목할 만한 부분이다.자율분산 로봇의 주변 환경을 항원, 로봇을 B세포, 행동 전략을 항체로 ... ...
한옥 초석에 스며든 지혜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한옥의 대부분 접합부위는 나무부재끼리의 짜맞춤으로 처리했고, 이 부분은 현대의
구조
공학으로 얘기하면 에너지 흡수장치로서 기능한다. 이 때문에 한옥의 경우는 아주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한꺼번에 무너져내리는 법이 없다. 힘이 들면 힘이 드는데로 조금씩 찌그러지고 휘어지며 힘들다는 ... ...
무령왕이 일본산 나무관에 잠든 까닭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필자와 눈을 마주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창상벽공’(windowlike pit)이라는 금송의
구조
는 송진을 분비하는 작은 샘이 없고, 마치 창문을 가로로 배열해 놓은 듯한 독특한 모습 때문에 유명하다. 창상벽공의 세포모양을 가진 나무는 세계적으로 하나밖에 없다. 이 때문에 필자는 무령왕의 관재가 ... ...
PART4 전자 하나로 작동되는 트랜지스터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탑-다운’(top-down)이 아니라 원자나 분자를 벽돌처럼 쌓듯이 조합해서 새로운 나노
구조
물을 만드는 ‘바텀-업’(bottom-up) 방식을 필요로 한다. 무어 법칙 이어갈 벽돌 쌓기바텀-업 방식은 원자나 분자가 스스로 물질을 형성하는 자기조합을 가능케 한다. 때문에 원자나 분자를 조작하는데 소요되는 ... ...
PART5 나노머신 찍어내는 프린터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10}^{-15}$초로 매우 짧은 고에너지 초단파를 발생시킨다. 이를 이용해서 나노
구조
물의 깊이를 1백nm까지 파는 기술이 실현됐다.또 재료의 표면특성을 측정하는데 쓰이는 SPM의 탐침을 다이아몬드와 같은 강도가 큰 물질로 만들어 나노가공에 응용하기도 한다. 아직까지 실험실 수준에 머물러 있는 ... ...
단백질
구조
로 생명현상 규명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포스트게놈 시대를 이끌 학문으로 암, 치매와 같은 불치병 정복에 가장 유용한 도구다.
구조
생물학자들의 땀방울에 의해 모든 질병이 정복되는 인류의 미래를 기대해보자 ... ...
이전
483
484
485
486
487
488
489
490
4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