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에네르기
힘
활력
원기
기력
파워
energy
d라이브러리
"
에너지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물리 - 영구기관,
에너지
보존법칙에 어긋난다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열을 보충하지 않고는 계속 운동하는 것이 불가하다.2. 1㎏의 물이 1백m에 있을 때 위치
에너지
는 약 9백80J이며 이는 1백96㎈이다 1㎏의 물에 1백96㎈의 열을 주면 온도가 0.196℃ 만큼 상승한다 ... ...
1. 유성생식, 종족보존에 유리한가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된다. 더군다나 짝을 찾는데 시간을 낭비할 필요도 없다. 짝을 찾는데 들이는 시간과
에너지
는 전부 먹거나 포식자로부터의 위험에서 벗어나는데 쓰여질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이다.그나마 수컷은 한결 낫다. 수컷이야 유전자만 기여하면 되지만 암컷은 더 큰 대가를 지불한다. 임신을 해야 하고 ... ...
휴대용 전화도 전자파 피해 파문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같은 작용을 하는 전도체이므로 인간의 키와 같은 길이의 파장이 가장 효율 좋게 전자파
에너지
를 흡수하여 공진작용을 일으키고 가장 피해를 준다고 한다.그 때문에 현재의 안전기준으로는 반파장이 인간의 키와 같은 길이인 80-1백㎒의 주파수영역을 가장 위험하다고 보고 기준치를 설정하고 있다. ... ...
핵폐기물 남기지 않는 가속기원자로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곳이다.■ 반감기 1백년으로 줄여연구결과에 따르면 가속기에 의해 생성된 10억eV의
에너지
를 가진 양성자빔으로 핵연료 폐기물을 소멸 처리하면 폐기물의 부피가 감소해 유카산 저장시설의 용량을 수백배 이상 증가시킬 수 있으며, 고준위 장수명 핵폐기물의 핵종변환으로 수명이 10만년이 아닌 ... ...
우주팽창은 엔트로피 증가현상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사실은 양자역학적 불확정성원리에 바탕을 둔 수소원자의
에너지
섭동선에 의해 검증되었다. 시간(宙 )의 근원은 열역학 제2법칙그렇다면 시간이란 무엇인가? 신학대전으로 유명한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는 "나는 남이 물어보지 않으면 시간이 무엇인지 이해한 ... ...
氣의 과학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눈에 보이지 않는 생명
에너지
기(氣). 이를 어떤 관점에서 바라보아야 할까. 기는 객관적인 관찰의 대상이 아니라 실천(수행)을 통해 느낄 수 있는 주체적 존재이다. 우리 몸 속 깊이 내재해 있는 무의식의 정보를 실어나르는 기의 실체를 알아보자. ...
[2] 미지의 생체 네트워크-질병치료에도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것은 생체전류와 같은 작용을 매개로 간접적으로 관찰되는 것이지, 직접 기의
에너지
를 느낄 수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외부로 발산되는 기최근들어 수많은 기공사들이 인체 내의 기를 외부로 발산하여 이를 객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하는 일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기의 실체를 확실하게 ... ...
지구환경문제의 새 시각 '가이아'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방증은 지구 기온의 역사이다. 생물의 탄생 이후 약 35억년 동안 태양이 지구로 방출한
에너지
의 양은 30% 정도 증가했다. 바꾸어 말하면 35억년 전의 태양열은 지금보다 30% 감소된 수준이었다. 이 상태는 원시지구의 기온이 빙점이하로 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35억년 동안 지구의 ... ...
전기업종 여성 유방암 발생률 38% 높다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등 다른 암 원인에 대한 조사는 행해지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그러나 전자
에너지
와 암의 관계 해명에는 한단계 다가섰다고 할 수 있으며, 지금까지 아무도 손대지 않았던 방대한 자료를 조사, 그 결과를 가설로 유도한 점이 중요하다는 평을 얻고 있다고 ... ...
한강생태계, 되살아나고 있다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한강 주위의 지난 30년간 연평균 기온은 11.5℃다. 그동안 녹지면적의 감소, 인구 및
에너지
집중도의 증가로 근년에 이르러 최고 최저기온 차가 줄어들고 겨울철 및 연평균 기온이 상승하고 있는 경향이다. 연평균 강수량은 1천2백56.9㎜며 6·7·8월의 집중도가 60% 내외에 이른다. 상대 습도는 6·7·8월이 ... ...
이전
483
484
485
486
487
488
489
490
4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