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중
곱
d라이브러리
"
2배
"(으)로 총 5,403건 검색되었습니다.
누가 슈퍼컴퓨터를 지배할 것인가
과학동아
l
198908
세계 최고속 컴퓨터의 소유자는 누구인가. 국방과학의 보루 미국 슈퍼컴산업에 반도체기술을 바탕으로 도전하는 일본의 추격은 과연 미국을 앞지를 것인가.슈퍼컴퓨터의 성능이 단숨에 10기가플롭스(GFLOPS)의 벽을 넘어 20기가 플롭스시대로 돌입했다. 내년중에는 일부 기종의 출하가 시작된다.일본 ... ...
수퍼컴 개발 「해프닝」
과학동아
l
198908
지난달 초 과학기술원이 현재 미국과 일본만이 상품화한 슈퍼컴퓨터를 국내 기술로 개발했다고 발표해 과학기술계를 한차례 흥분의 도가니로 몰아넣었으나 확인결과 과장발표와 이를 부추긴 언론의 합작품인 것으로 밝혀졌다.과학기술원김명환교수(전기전자과)는 지난달 7일 "최첨단 슈퍼 컴퓨터 ... ...
신형 중대형컴퓨터 발표
과학동아
l
198908
중대형컴퓨터메이커 DEC(Digital Equipment Co.)가 최근 가격에 비해 성능이 향상된 해로운 컴퓨터들을 발표했다.DEC는 기존 제품에 비해 성능이 80% 향상된 VAX6000 모델 400/200시리즈와 이들 시스팀에 운용할 수 있는 OS(운영체계)인 VMS 버전(version) 5.2를 국내에 공개했다.모델400은 중형(VAX11/780의 7 ...
망원경을 가진 인어
과학동아
l
198908
해양학은 만능박사가 되고 싶었던 나에게 꼭 알맞는 학문. 더욱이 해양실습은 결코 잊을 수 없는 체험이 되고…바다에 관해서 무엇을 아십니까? 이지구 표면의 70%가 물로 덮여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더라면 아마 지구라고 명명하지 않고 ‘해구’라고 이름 지었을 것이다. 물론 나는 해구가 훨씬 ... ...
장거리전송 가능한 광섬유 증폭기개발
과학동아
l
198908
과학기술연구원 최상삼박사팀(응용과학연구실)은 최근 중계시설 없이 장거리 통신을 할 수 있는 광섬유증폭기를 개발했다.광통신은 머리카락 3분의 1굵기의 광섬유를 이용해 정보를 빛의 형태로 바꿔 빠르고 정확하게 보내는 방법이다. 이 경우 통신 거리가 근거리통신망(LAN)을 제외하고는 보통 ... ...
알칼리성 이온음료의 허와 실
과학동아
l
198908
이들 스포츠음료는 소비자 가격이 2백50g캔 제품이 4백~5백원(기존 청량음료 값의 약
2배
)으로 다소 비싼편인데다 맛도 청량음료만큼 산뜻하지 않고 밍밍하며 청량감이 적어 아직은 대중화된 단계는 아니다. 그러나 꾸준히 신장세를 보이고 있는 것만은 분명한 사실이다. 올들어 1~4월중 판매량은 전년 ... ...
유체역학
과학동아
l
198908
때문이다. 즉 대기압이 지표면에 비해 $\frac{1}{2}$배로 감소했을때 기구는 원래 부피의
2배
가 된다. 여기서 기압이 $\frac{1}{2}$배라는 것은 주변 공기의 밀도가 지표면에서보다 $\frac{1}{2}$배라는 뜻이다. 기구가 받는 부력은 기구가 차지한 부피만큼의 공기의 무게에 해당한다. 기구의 부피와 공기 밀도는 ... ...
걸어다니는 로봇
과학동아
l
198908
메카트로닉스기술은 '인간에 가까와지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몸무게 74kg, 키 1m, 다리 넷 달린 로봇이 ‘기우뚱 기우뚱’어설픈 걸음마를 시작한다 ... 제작한 것”이라고 말했다. 따라서 내년까지 몸무게를 50kg으로 줄이고 보행속도도
2배
이상 빨라진 로봇을 선보일 예정이라고 밝혔다 ... ...
과거보다 10배나 선명한 금성사진 찍을듯
과학동아
l
198908
지구 바로 곁에 있는 금성은 태양계 행성중 가장 많이 탐사되었다. 지난 1957년부터 소련과 미국의 우주선들이 20여번이나 금성을 방문해서 표면을 촬영하고 대기를 조사했다. 이제까지의 노력은 별성과 없어그러나 이제까지의 노력이 헛수고에 불과한 것은 아니었더라도 기대한 만큼의 성과는 거 ... ...
말썽많던 KAIST 연구부·학사부로 갈라진다.
과학동아
l
198907
연구부는 KIST로 분리, 새출발하고 학사부는 대덕으로 이전해 과기대와 통합, 학사 석사 박사과정을 갖춘 한국과학원(KAIST)로 확대 개편될 예정. 왜 이런 변모를 해야 하나?우리나라 과학기술의 본원지,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새로운 도약을 위해 꿈틀거리고 있다. 그동안 연구부와 학사부(대학의 석 ... ...
이전
484
485
486
487
488
489
490
491
4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