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gauge
d라이브러리
"
게
"(으)로 총 7,75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머리 좋은 가수가 살아남는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이들의 숨은 이야기를 하나씩 찾아내 노래와 함께 쟁반에 담아 시청자에
게
선보이는
게
바로 내 역할”이라고 했다. 노래만이 아니라 시청자가 감정이입할 만한 이야기가 한국 오디션 프로그램에서 중요하다는 말이다. 결국 한국의 서바이벌 프로그램에서 이기기 위해선 실력에 더해 감동이라는 ... ...
임지순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건 재미 없잖아요. 청소년들은 공부 말고도 자기가 좋아하는 것에 꼭 시간을 내보세요. 그
게
꼭 과학이 아니더라도. 나도 열심히 다른 분야 책 보다 과학자가 됐어요 ... ...
나만의 공부법부터 점검하라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있을 때의 편지와 가장 비참한 순간에 다다랐을 때의 편지를 각각 써보렴. 네가 노력하
게
끔 만드는 데 큰 동기부여가 될 거야.” 앞으로 더욱 시간은 모자라고 노력을 해도 힘에 부칠 것이다. 그러나 이 모든 과정이 자신의 꿈을 향한 일이란 점을 잊지 말자 ... ...
소리공학연구소에서 찾은 소리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랄라라~♪ 아름다운 음악을 들으면 기분이 좋아져. 우당탕 쿵쾅! 시끄러운 소리를 들으면 기분이 나빠지지. 똑같은 소리인데 왜 이렇
게
차이가 나는 걸까? 소리에 어떤 비밀이라 ... 가만히 귀 기울여 봐. 지금 어떤 소리가 들리니? 그 소리 속에서 또 다른 소리의 비밀을 찾
게
될지도 몰라 ... ...
배아줄기세포, 이제 병원으로 간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역분화 방법은 줄기세포로 만들어 세포를 잔뜩 증식시킨 뒤 재분화시키기 때문에 수를 쉽
게
늘릴 수 있다.한편 유전성 질환을 갖는 환자에서 섬유아세포 같은 체세포를 얻어 직접교차분화를 이용해 원하는 세포로 분화 시킨 뒤 약물을 처리해 질병에 걸린 세포로 만들어 질병의 메커니즘을 ... ...
PART 2 최다득표자라도 꼴찌가 될 수 있다?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확보한 최선의 투표 방식을 택했다고 생각한다면 그때부터는 프로그램을 즐기는
게
맘 편하다. 나가수의 기획 의도처럼 훌륭한 가수들의 노래로 행복한 일요일 저녁을 누리고자 하는 것이라면 말이다.tip 애로의 불가능 정리미국의 경제학자 케네스 애로는 합리적이고 민주적인 선택을 하기 위해 ... ...
PART 2 각을 알면 비행이 보인다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이착륙 시에 받는 충격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또한 날개가 몸체 아래쪽에 있어 시야가 넓
게
확보돼 방향전환이나 상승비행 중 조종사가 안전비행을 할 수 있다. 중익기는 고익기와 저익기의 중간 형태고 흔히 전투기에 많이 사용된다. 땅에서 충분한 거리를 유지하기 위해 설계된 고익기의 특성과 ... ...
소통하는 영재의 산실 경원대 과학영재교육원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얻은 것이죠. 이것을 확장하다 보니 물리교육뿐 아니라 과학영재교육에 관심을 갖
게
됐습니다.2005년 경원대 과학영재교육원이 개원할 때부터 원장으로 있으면서 ‘창의적인 영재교육’ 을 강조했습니다. 학문의 융합시대에 맞춰 여러 학문을 연결하는 교육도 중요합니다. 소리과학이라고 하면 ... ...
도넛의 여왕 '안질리나 도나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덕분에 도넛 폭탄의 폭발을 막을 수 있었다. 감격한 안질리나 도나스는 사람들에
게
자기가 많든 새로운 도넛을 선물로 나눠 주었다.“오홍~, 썰렁홈즈. 역시 소문대로 대단하시군용. 여기 작지만 소중한 제 선물이에용~.”썰렁홈즈는 말이 끝나자마자 군침을 흘리며 상자 뚜껑을 열었다. 하지만 도넛 ... ...
대장암에서 p53 유전자 결손과 돌연변이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없이 암 덩어리를 줄인다는 연구 결과가 2007년 나왔다. 결국 우리 몸은 p53을 절묘하
게
조절해 노화와 발암 사이에서 줄타기를 해 최대 수명을 누리는 셈이다.1979년 암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에 반응하는 여러 단백질 가운데 하나로 존재를 드러냈던 p53은 1989년 암 억제인자라는 실체가 밝혀진 뒤 ... ...
이전
484
485
486
487
488
489
490
491
4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