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량
수량
액수
부피
강도
정량
수
d라이브러리
"
양
"(으)로 총 6,999건 검색되었습니다.
로봇공학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로봇이 자율적으로 움직이기 위해서 뿐만 아니라 논리적 판단을 내릴 때도 사용된다. 다
양
한 환경에서 적응하고 이에 알맞은 판단을 내리기 위해서는 지금보다 훨씬 빠르고 똑똑한 컴퓨터가 필요한데, 현재 인공지능 분야는 로봇공학에서 가장 어려운 분야 중의 하나다.물론 인간처럼 감정을 갖는 ... ...
디지털 시대의 정보창고 데이터 저장장치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플래시드라이브라는 저장장치가 있다. 내부적으로는 플래시메모리를 사용하지만 제품 모
양
이나 인터페이스가 하드디스크와 거의 동일해 플래시디스크라고도 불린다. 충격이나 진동, 먼지 등이 심해서 하드디스크를 저장장치로 사용하기 힘든 경우에 주로 사용되며, 하드디스크처럼 디스크가 ... ...
파인만씨 농담도 잘하시네요!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편에 속하는데, 그 중에서도 ‘파인만의 물리학 강의록’(The Feynman Lectures on Physics) ‘
양
자전기역학’(Quantum Electrodynamics) ‘물리법칙의 특성’(The Character of Physical Law) ‘QED’(QED: The Strange Theory of Light and Matter) 등이 ...
적외선 투시카메라보다 월등한 뱀의 시력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더욱 진하게 보인다. 인간의 눈에는 한가지 색으로 보이는 물체가 자외선 세상에서는 다
양
한 색을 가지는 것이다. 나비와 꿀벌은 그들 눈에 비친 세상에서 더 많은 꿀을 찾을 수 있다. 결국 인간은 꽃의 아름다움의 일부만 감상하고 있는 셈이다 ... ...
유전자 차별시대 펼쳐지는 디스토피아 가타카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노벨상을 받은 모로 박사를 만나게 된다.모로 박사는 여러 유전자를 접합시켜 기괴한 모
양
의 변종 생물체(beast man)를 만들어낸 인물. beast man은 모로 박사에 의해 장치된 고통의 프로그램을 몸 속에 안고 신음하며 살고 있다. 하지만 beast man이 자신의 몸 속에서 전자칩을 제거한 후 대반란이 ... ...
Ⅲ 이제는 포스트게놈 시대다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가격 하락과 비슷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이제는 마음만 먹으면 누구나 엄청난
양
의 정보를 만들어낼 수 있다. 결국 엄청난 데이터 더미에서 누가 최선의 것을 끄집어내는가가 경쟁력을 좌우할 것이다. 데이터를 모아 저장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데이터를 해석하고 가공해 정보를 파는 ... ...
대학입시의 새로운 변수 심층면접구술고사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왜 얼음은 물의 가장 아래쪽이 아니라 위쪽에서 얼기 시작하는지 설명하라.∙ 대륙성∙해
양
성 기후의 차이는 무엇 때문에 나타나는 것인지 설명하라.∙ 낮에 해풍이 불고 밤에 육풍이 분다. 왜 그러한가?∙ 일교차가 큰 사막에서 선인장이 물을 많이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유리한 점은 무엇인가 ... ...
과학으로 풀어본 희로애락 - 웃음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하는 단백질 글로블린이 많아지고, 면역을 억제하거나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호르몬의
양
은 줄어든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또한 웃는 동안 인체의 ‘진통제’라 불리는 엔돌핀이 왕성하게 분비돼 걱정이나 스트레스를 줄여준다는 현상도 발견했다. 체내 악성물질이 자리잡지 못하도록 몸에 존재하는 ... ...
PART 2. 쓰레기 소각장 다이옥신 제거하는 나노화학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 전극에 가까이 다가가는 어느 순간에 (-) 전극의 전자가 풀러렌으로 이동한다.
양
자 터널링 효과가 일어난 것이다. 또한 풀러렌이 (+) 전극에 가까이 가면, 전자는 다시 (+) 전극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장치를 단일전자 트랜지스터라고 하는데, 즉 전자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는 트랜지스터이다.현재 ... ...
쌍안경으로 즐기는 달나라 여행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있으며 바로 옆에 플라토가 있다. 알프스 계곡은 거대한 산맥을 자를듯이 어두운 줄기 모
양
으로 걸쳐 있기 때문에 상현이 돼 햇빛이 비치기 시작하면 쉽게 관찰할 수 있다 ... ...
이전
484
485
486
487
488
489
490
491
4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