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뉴스
"
최초
"(으)로 총 6,508건 검색되었습니다.
치매, 파킨슨병 등 퇴행성 뇌질환의 새로운 치료기전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7.08.01
않았다. 김 교수는 “CTIF 단백질을 통한 비정상 단백질의 응집체 형성 조절을 규명한
최초
의 연구”라며 “치매, 파킨슨병과 같은 퇴행성 신경질환 치료제 개발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6월 8일자에 실렸다 ... ...
부작용 없앤 MRI 조영제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8.01
“기존 산화철 나노입자 조영제 연구는 쥐 실험에 그쳤지만 이번에 국내
최초
로 영장류 실험에 성공했다”고 말했다. 최승홍 연구위원은 “이번에 개발된 차세대 MRI 조영제는 앞으로 임상 시험을 거쳐 다양한 질병을 정확하고 빠르게 진단하는데 활용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는 네이처 ... ...
[영상] 발사체 엔진은 어떻게 200t을 들어올릴까
과학동아
l
2017.07.29
여신상 만큼 무거운 발사체를 공중으로, 균형을 잃지 않게 올리는 일이니까요. 인류가
최초
로 발사체 발사에 성공한 1957년 이후, 엔진 기술은 60년 동안 발전을 거듭해 왔습니다. 추력을 높이는 터보펌프부터 엔진 여러 개를 묶는 클러스터링까지, 엔진 기술의 핵심 원리를 그래픽으로 ... ...
[테마가 있는 영화] 야구는 거들 뿐 ‘스카우트’
2017.07.29
톱스타의 로맨스를 그린 영화. 또한 감독의 장편 영화 데뷔작인 ‘YMCA 야구단’은 조선
최초
의 야구단의 활약을 그린 영화로, 역시 야구가 영화의 주된 소재다. 게다가 만년 꼴찌 삼미 슈퍼스타즈의 이야기를 다룬 야구 영화인 ‘슈퍼스타 감사용’에는 카메오 출연을 자처하기도 했다. 그런 김현석 ... ...
민간-대학 동아리, 소형 실험용 로켓 ‘사운딩 로켓’ 붐
동아사이언스
l
2017.07.28
두 번 발사돼 로켓의 관성항법장치와 자세제어시스템을 시험했다. 2002년 발사된 KSR-Ⅲ는
최초
의 액체추진 로켓으로 꼽힌다. 이때 확보한 기술들은 우주발사체 나로호(KSLV-Ⅰ)나 현재 개발 중인 한국형 우주발사체(KSLV-Ⅱ) 개발의 토대가 됐다. 사운딩 로켓을 수없이 발사하면서 경험을 쌓아온 ... ...
실시간으로 당뇨 진단하는 콘택트렌즈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7.27
기다리지 않아도 된다. 한 교수는 “실시간으로 혈당을 진단하는 콘텍트 렌즈를 세계
최초
로 개발했다”며 “렌즈에서 분석한 결과에 따라 당뇨 치료약물을 바로 투입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개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 ...
2004년 수마트라 대지진 원인 밝혔다
과학동아
l
2017.07.26
9.15)은 지하 10~20km에서 발생했다. 국제공동해양탐사프로그램(IODP) 연구팀이 그 원인을
최초
로 밝혀 ‘사이언스’ 5월 26일자에 발표했다. IODP에 참여한 송인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CO2지중저장연구단 책임연구원은 “수마트라 섭입대에서 천부지진을 유발하는 원인이 섭입 전 해저지층에 존재하는 ... ...
美 우주기업, 경쟁·혁신·자립으로 심(深)우주 탐사 이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7.24
구성된 미국의 벤처기업 문익스프레스는 최근 기술 검증에 성공해 미국 정부로부터 민간
최초
로 달 착륙 허가를 받았다. 밥 리처즈 문익스프레스 CEO는 “우리는 NASA의 R&D 사업 수주를 하지 않는다”고 잘라 말했다. 문익스프레스는 정부 지원 없이 모두 민간 자본으로만 운영된다. 올해 말 ... ...
[ESC의 목소리 (15)] 학부 공학 교육이 망가지고 있다
2017.07.22
기업과 학교의 실력 차이는 엄청나게 벌어져 있다. KAIST 박사과정 때 나름 세계
최초
랍시고 반도체 패키징(packaging) 분야 최고 저널에 논문을 몇 편 썼다. 그런데 IBM에 들어가보니 거기서는 이미 오래 전에 다 연구해둔 것들이었다. 논문으로 안 썼을 뿐이지. 학계에서 생각하는 이상적인 논문은 제 ... ...
스마트폰 배터리 사용시간 5배까지 늘리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7.07.21
수준을 넘어서는 성능이다. 분자 기계 원리가 고용량 이차전지 소재 개발에
최초
로 적용된 사례다. 최 교수는 “기초연구를 바탕으로 연구해 기존의 기술을 뛰어넘는 획기적인 결과가 나올 수 있음을 보인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성과는 과학 학술지 사이언스 7월 21일자에 게재됐다. ... ...
이전
484
485
486
487
488
489
490
491
4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