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도
서울시
서울특별시
중앙
도읍
seoul
국도
d라이브러리
"
서울
"(으)로 총 5,355건 검색되었습니다.
광학
과학동아
l
198906
안경을 쓰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현미경을 들여다 보는 경우도 많다. 그러나 그 원리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하고 있다.10문제중 0~3문제를 맞추면 분발대상, 4~6문제면 보통, 7문제 이상 맞추면 우수한 수준.문제1.하늘이 푸른 이유는 무엇때문이겠는가?①높은 진동수의 빛이 공기에 의해 반사되 ... ...
기적의 에너지 시대 올 것인가
과학동아
l
198905
한국과학기술원 윤경석박사팀과(제련전기화공연구실) 한국화학연구소 이규호박사팀
서울
대 박영우고수팀(물리학과)은 최근 상온에서 중(重)수소에 염화리튬을 탄 용액에, 백금(+)과 팔라듐(-)을 양극으로 전류를 흐르게 한 결과, 핵융합반응에서만 볼 수 있는 몇가지 현상이 일어났다고 발표했다. ... ...
항생제 KR 10664 개발한 김완주 박사
과학동아
l
198905
"원래 김박사는 정치가나 외교관 지망생이었다. 그래서 전주고를 졸업한 후 2번이나
서울
대 정치외교과를 지원했으나 결과는 낙방이었다.3수생이었던 김박사는 실로 우연하게 약학에 입문하게 된다."2년 거푸 떨어지고 나니 집에서는 이제 문과는 안된다고 못을 박았지요. 그때 이과로 옮기는 데 ... ...
PARTⅠ 자기부상열차
과학동아
l
198905
여객기(5시간소요)와 비교, 약 15배의 속도를 목표로 하고 있는 것이다. 이 계획을
서울
과 부산에 그대로 옮겨놓는다면 1분만에 주파가 가능하다.이 연구의 핵심은 지하 수십 내지 수백m 깊이에 지하터널을 뚫어 직경 12m의 튜브를 2~4개 만들고 이 튜브안을 진공화 하는 것. 튜브안을 달리는 열차는 ... ...
발명왕이 되는 10계단
과학동아
l
198905
가벼우면서도 수명은 더 길다. 이런 경우는 얼마든지 있다. 머리빗을 생산하는
서울
의 ㄴ사는 머리빗 손자루에 공간(구멍)을 늘려 재료를 10%나 절감할 수 있었다. 그런데 물건은 더욱 잘 팔리더란 것이다.추를 없앤 시계와 설탕을 넣지 않은 무가당 과일쥬스 등도 빼기 발명의 대표적인 예이다. ... ...
고3병의 예방과 치료
과학동아
l
198905
학업을 계속할 수 있는 용기가 되살아나게 되었다. 남은 기간동안 열심히 공부하여 그는
서울
시내에 있는 모 대학에 무난히 합격, 지금은 어엿한 대학생이 되어 있다.가까운 사람들의 이해를 통해 한 사람이 경험하게 되는 어려움은 그 사람의 생물학적 심리학적 특성과 사회환경으로부터 비롯된다 ... ...
허수보다 확장된 영역을 찾아서
과학동아
l
198905
확장수원시인들은 하나 둘 셋 많다로 밖에는 수를 셈할줄 몰랐다고 한다. 그 후에 인간의 두뇌가 발달함에 따라 자연수(natural numbers) 를 알게되었을 것이다. 또한 음수(negative numbers) 와 0(zero)의 개념도 도입되었다.그 세 가지를 합쳐서 만든 정수(whole numbers) 가 발전되고 이어 소수(decimal number ...
한국인의 얼굴 모습 달라져
과학동아
l
198905
우리 얼굴모습에 관한 요모조모를 보여준다.작년 6개월 동안 오인성형외과 함기선박사와
서울
교대 조용진교수는 대학 2학년 학생 3백23명을 대상으로 생체계측연구를 실시했다.이 연구에서 나타난 가장 큰 특징은 한국인의 얼굴의 길이와 폭이 반세기 전에 비해 커진 것이다.함박사팀이 제시한 ... ...
생물의 갖가지 형태가 갖는 의미
과학동아
l
198905
생물이 웃고 있을 때 인간은 우는 것으로 보기 쉬우며 그 반대의 경우도 흔하다.인간은 다른 생물들과 다른 감각 세계를 살고 있다. 즉 다른 생물들이 보고 듣고 냄새맡고 느끼는 일을 결코 동일하게 따라 할 수 없다. 따라서 생물의 감각세계에 대한 오해가 수없이 많다.가령 풀밭에 화려하게 피어 ... ...
정보과학회 학술발표회 개최
과학동아
l
198905
발표회에서는 '2천년대 컴퓨터'를 주제로 이만재박사(ETRI) 김진형교수 (KAIST) 조유근교수(
서울
대)가 주제발표를 했다.이번 학술행사에서는 소프트웨어 공학 데이타베이스 인공지능 자연어처리 정보통신 분야등에서 1백여편의 논문이 새로 발표되었다 ... ...
이전
485
486
487
488
489
490
491
492
4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