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코스모스
만물
스페이스
유니버스
공간
천지
외계
d라이브러리
"
우주
"(으)로 총 4,961건 검색되었습니다.
금성에 바다가 있었다.
과학동아
l
198607
형태로든 금성에는 옛날에 물이 존재했고 증발해버렸을 것이다. 그때 가벼운 수소는
우주
로 도망쳐 버리고 남겨진 산소도 화산에서 분출하는 새로운 암석층과 차례로 반응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미국팀의 브라운 대학 '칼 피터스'박사는 이렇게 설명한다 ... ...
한국의 항공산업기술은 어느 수준인가
과학동아
l
198607
기종을 개발하고
우주
사업에까지 참여할 계획을 세워놓고 있다"고 밝혔다.대한항공 항공
우주
사업본부장 김준명 전무도 "10여년간 조립 정비를 해오면서 기술 및 관리능력을 축적하여 오늘날 국제무대에 진출하게 된 것이다. 항공산업이 수십만내지 수백만 시스템을 하나로 결합시키는 ... ...
과학교육이 나아갈 길 과학자 배출만이 목적 아니다
과학동아
l
198607
날 수 있게 된 인간은 그 희망과 행복을 전쟁으로 소비했으며, 외계로 진출했던 경험들로
우주
전쟁을 운운하고 있다. 장차의 과학이 어떤 불행한 역사를 적을지 알 수 없다. 다만 과학이 평화적인 목적을 위해 연구, 발전된다면 행복한 미래를 낙관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인류가 원하는 미래를 ... ...
통신위성사업 진출 모색
과학동아
l
198607
통신위성 관련 산업은 앞으로 10년 이내에 2천억달러 규모에 달할 예정인데 현대전자의
우주
산업 진출은 이 분야의 선두주자로서의 교두보확보를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현재 콤샛사에서는 현대전자에게 위성엔지니어링에 관한 노하우를 제공, 현재추진중인 제5지구국건설공사 입찰에 공동참여를 ... ...
공학도는 현장을 익혀야 한다
과학동아
l
198607
이상의 전공분야의 실습을 공장에서 했어야 했읍니다. 나와 같은 시기에 공장실습을 한
우주
공학의 선구자 '폰 브라운' 박사도 6개월 동안의 실습기간동안 줄칼로 강철공을 만들었다고 합니다.요컨대 학위 만이 최고가 아니라는 것인데 기술을 교육하는 데에는 경험이 중요하기 때문이지요. 실제로 ... ...
시간과 공간을 뛰어넘는 잠과 꿈의 세계-그 현대적 풀이
과학동아
l
198607
처럼 서로 연결되어 수많은 정보를 처리한다. 인간의 뇌가 처리할 수 있는 정보의 수는
우주
에 있는 모든 원자의 수 보다 더 많을 만큼 무한대에 가깝다도 한다.잊어버린것도 시실은 보관돼 있다뇌수술하는 도중 뇌피질의 어떤 부분을 건드리면 환자가 수십년 동안 잊어버렸던 일을 생생하게 ... ...
미국의 KH11 첩보위성의 현장촬영
과학동아
l
198606
발전소의 지붕과 벽이 파괴되었다'고 발표했다. 미국방성관리들은 얘기하길 꺼리지만
우주
전문가들은 이 정보가 첩보위성을 통해 얻은 것이라고 했다.8억달러짜리 KH(키 호울)11 첩보 위성은 3백21㎞ 내지 4백82㎞ 상공에서 사고현장의 사진을 찍어 워싱턴의 국립사진판독센터로 보냈던 것. 컴퓨터로 ... ...
방사능, 아무리 적은 양도 안전하지 않다.
과학동아
l
198606
칼륨41 탄소14의 방사선의 영향을 피할 수 없다. 높은 산에 사는 사람이라면 더 많은
우주
선(宇宙線)에 노출될 것이고 돌이나 벽돌집에 사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 보다 약간이라도 더 많은 방사선을 쏘인다. 토양의 방사능 수준도 곳에 따라 크게 다르다. 미국의 평균치가 연간 90밀리렘인데 비해 ... ...
새로운 발견 강력한 중력장의
우주
물체
과학동아
l
198606
1차원의 형태(선)로서 무한히 긴 끈 혹은 고리 모양을 하고 있고 빛의 속도로 움직인다.
우주
대폭발의 잔해인 이 '끈'은 원자핵 보다도 얇지만 상상할 수 없을 만큼 큰 중력장을 갖는다. 1마일 길이의 무게가 지구무게와 같은 정도이기 때문이다. '터너' 자신도 이 이론에 커다란 신뢰도를 두지는 ... ...
뉴튼, 다윈이후의 영국의 현대 과학자 5인
과학동아
l
198606
사람의 고개를 갸우뚱하게 하는 트위스터 이론 등 자유분방한 펜로스의 두뇌로 현대
우주
관은 크게 충격받고 있다. 펜로스 다이어그램은 물리학자가 중력파의 처리로 고심하는 것을 보고 착안해 냈다고 한다. 현재도 연구중인 트위스터 이론은 시·공의 설명방법을 완전히 변화시켜 버린다는 ... ...
이전
485
486
487
488
489
490
491
492
4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