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옛일
과거사
기왕지사
jinan
d라이브러리
"
지난
"(으)로 총 9,141건 검색되었습니다.
다윈도 깜짝 놀랄 부리의 진화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부리를 지닌 메추라기를 탄생시켜 사람들을 놀라게 했다. 연구자들은 수정 뒤 36시간이
지난
배아에서 부리를 형성한다고 추정되는 조직인 신경능세포(neural crest cell)를 떼어내 서로 바꿔치기했다. 그 뒤 11일이 지나 형태를 갖춘 태아를 조사한 결과 각자 상대편의 부리 모양으로 발생했음을 ... ...
ISS에서 가져온 '과학선물 보따리'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늙은 초파리, 고품질의 차세대 금속-유기 다공성 물질, 고층 대기에서 치는 메가번개….
지난
6월 12일 대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국제회의실에서는 이소연 박사가 4월 10일부터 17일까지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수행한 18가지 우주과학실험에 대한 결과 발표회가 열렸다.18가지 우주실험은 2006년 5월 ... ...
에너지 위기 해양조류로 해결한다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생산 단가를 낮추기 위해 노력 중이다.UN에너지에 따르면 바이오연료 사용량이
지난
5년 동안 두 배 증가했고 앞으로 4년 동안 또다시 두 배 증가할 전망이다. EU는 2020년까지 바이오연료 사용비율을 수송부문에서 최소 10%까지 확대할 방침이다. 강 선임연구원은 “바이오연료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고 ... ...
캄캄한 '그곳'에서 '오래된 시간'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개발할 만한 규모인지 평가해 주기도 했다. 동굴탐험연구회는 탐사활동과 더불어
지난
40년 동안 축적된 동아리의 동굴탐사자료를 디지털 데이터 베이스로 구축하는 작업을 최근 시작했다. 자료가 워낙 많아 모두 정리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릴지 모른다. 하지만 작업이 끝나면 우리나라 동굴에 대한 ... ...
미래로 씽씽~! 첨단 자동차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주목적으로 하는 레저용 차량)로 유명한 포르셰의 카이엔도하이브리드로 다시 태어났다.
지난
3월 열린 제네바 모터쇼에 전시된 카이엔 하이브리드는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게 차체를 투명하게 꾸몄다.결승선 미래를 향해 달려가는 자동차첨단을 달리는 자동차들의 경주가 정말 치열하죠? 커다란 ... ...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려움 머릿니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될 뿐 아니라 다른 사람의 머리와 접촉할 가능성이 커지고 위생관리가 불편하기 때문.
지난
3월 질병관리본부가 발표한 통계자료에 따르면 머리가 긴 여학생(6.5%)이 남학생(1.9%)보다 감염률이 높았다. ‘참빗’으로 맞서라머릿니를 가장 손쉽게 제거하는 방법은 약제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미국과 ... ...
X선 영상에 예술 담는 의사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위해 괜찮은 화랑을 돌아다니다가 퇴짜도 많이 맞았지만 끊임없이 문을 두드렸다. 결국
지난
1월 19일 ‘X-선 영상으로 본 또 다른 내면의 예술 세계’라는 주제로 작품 8점을 모아 개인전을 열었다.미술계의 반응은 꽤 괜찮았다. 세계적으로 X선을 이용한 사진 작품이 여럿 있긴 하지만 내 작품처럼 ... ...
청소년 가려내는 담배 자동판매기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자동판매기에서 담배를 살 수 없게 만드는 기술이 개발됐다.
지난
5월 12일 영국의 과학주간지 ‘뉴사이언티스트’는 구매자의 얼굴을 인식해 나이를 판단하는 자동판매기가 일본에서 등장했다고 보도했다.오는 7월부터 일본에 설치되는 담배 자동판매기에는 나이를 확인하는 시스템을 의무적으로 ... ...
수십만 고유종의 '멋진 신세계' 마다가스카르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교수팀은 마다가스카르에 살고 있는 2300종이 넘는 다양한 생물의 분포지도를 만들어
지난
4월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앞으로 이 지도를 바탕으로 멸종 위기 종을 보호하는 전략을 세울 계획이다.마다가스카르 섬은 살아있는 진화의 실험장으로서 큰 의미가 있는 곳이다. 하지만 당장 생계를 잇기 ... ...
한글은 자음의 색이 선명해요!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교수는 이씨의 메일을 보고 “색-자소 공감각 경험자가 확실한 것 같다”고 말했다.
지난
5월 17일 오전 기자는 이씨와 함께 김 교수의 연구실을 찾았다. 최근 귀국해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공감각 연구를 준비하고 있는 김 교수는 설레는 표정으로 이씨를 맞았다. 진짜 공감각자인지 알아볼 수 있는 ... ...
이전
485
486
487
488
489
490
491
492
4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