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뉴스
"
공학
"(으)로 총 8,689건 검색되었습니다.
AI로 차량 대화형서비스 과몰입 사고 막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11
상황에 주의를 기울이지 못할 수 있기 때문이다. KAIST는 이의진 산업및시스템
공학
과 교수 연구팀이 차량용 AI가 운전자에게 어느 시점에 대화형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지를 스스로 판단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대화형 서비스로 인한 운전자 주의분산 문제를 해결해 대화형 서비스중 ... ...
수명 늘고 안전성 확보한 ‘리튬 황 전지’ 제조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11.11
수 있는 프린팅 공정 기술이 개발됐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이상영 에너지및화학
공학
부 교수 연구팀이 안전성이 높은 ‘다형성 전고체 리튬-황 전지’를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글자나 그림을 인쇄하듯 전지를 만드는 ‘프린팅 공정’을 적용해 리튬-황 전지의 고질적 문제인 전지 수명 ... ...
"저희 피자 맛의 비밀은 '데이터'에요" 임재원 고피자 대표
수학동아
l
2019.11.09
판단할 때 다양한 데이터를 모으고 분석하면서 수학의 중요성을 실감했죠. 제가 경영
공학
을 전공하며 수학을 공부했던 경험 덕에 데이터를 다루는 직원이 필요하단 걸 금방 깨달았고, 채용할 때도 적합한 사람을 찾을 수 있었어요. 고븐을 개발한 계기는 무엇인가 정말 필요해서 만들었어요. ... ...
[표지로 읽는 과학] '네이처' 150주년, 지식의 흐름이 드러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09
한눈에 드러난다. 생물의학 연구는 다른 생체의학 연구가 인용의 절반을 차지한다. 반면
공학
과 기술 분야 논문은 다른 분야에서 인용한 경우가 72%로 다른 분야 지식을 발견하는 데 주로 쓰이는 것이 드러난다. 지구와 우주 과학 분야 논문은 자기 분야 인용이 72%로 나타났다. 네트워크 구조에서는 ... ...
첨가물 바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효율·내구성 잡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08
바꿔 단점을 잡을 기술이 개발됐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석상일 에너지및화학
공학
부 교수 연구팀이 새로운 조성을 가진 페로브스카이트 물질로 광흡수층 소재를 만들어 이를 태양전지에 적용해 효율과 안정성, 내구성을 높인 연구결과를 사이언스 7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고 밝혔다. ... ...
"식물 생존 책임지는 '수송체' 연구에서 환경과 식량 해결 실마리 찾았죠”
동아사이언스
l
2019.11.08
펼치고 있지요. 하지만 눈에 띄지 않아 우리는 잘 모릅니다.” 이영숙 포스텍 융합생명
공학
부 교수(64)의 설명은 자신에 대한 이야기처럼 들렸다. 4일 경북 포항시 포스텍의 연구실에서 만난 그는 꽃대가 길고 가는 쑥부쟁이처럼 가냘픈 인상이었다. 하지만 과학에서도 응용과 상용화가 강조되는 ... ...
전기車 ‘리튬이온배터리’ 수명 다하면?
동아사이언스
l
2019.11.08
해결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남형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및화학
공학
부 박사후연구원은 “다양한 제조사들이 만든 배터리 팩과 모듈, 셀의 규격화가 필요하고 이를 해체 및 분리할 수 있는 자동화 공정 연구가 이뤄져야 한다”며 “수명을 다한 폐배터리라고 해도 재활용 공정을 ... ...
"석학 한 명이 사라지는 것은 도서관 하나가 불타 버리는 것과 같아"
동아사이언스
l
2019.11.07
명예교수가 발표하고 있다. 고재원 jawon1212@donga.com 김승조 서울대 항공우주
공학
과 명예교수도 한림원 내에 은퇴한 석학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날 ‘과학기술 석학 지식의 교육 및 연구분야 활용방안’을 주제로 발표에 나서 “이미 미국의 사례를 모방해 은퇴한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한국 기초과학 발전의 기구한 역사
2019.11.07
대형화시켰다. 하지만 우수연구센터 사업 자금의 대부분은 목적기초에 해당하는
공학
연구센터(ERC)에 투자되었고, 순수기초연구에 대한 지원은 여전히 과학기술 G7 선진국 진입과 같은 구호에 묻혀 빛을 보지 못했다. 이 시기, 정부의 연구비는 급증했고 대학의 연구개발도 양적으로 성장했지만, 그 ... ...
‘친환경·자율·안전’ 미래 자동차 전문가 제주에 모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07
교수는 보행자 환경과 차량 환경 모두의 자율주행 기술을, 윤국진 KAIST 기계
공학
과 교수는 자율주행을 위한 인공지능(AI)을 결합한 360도 감지 인식 카메라 기술을 소개한다. 신성철 KAIST 총장은 “이번 심포지엄은 미래차를 위한 비전을 구상하는 기회이자 아이디어 및 새로운 기술을 공유해 ... ...
이전
485
486
487
488
489
490
491
492
4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