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스페셜
"
교수
"(으)로 총 5,546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305] 범고래 암컷이 나이 마흔에 폐경기를 겪는 이유
2017.01.17
사회에서 진화 영국 엑서터대의 마이클 캔트
교수
와 케임브리지대의 루퍼스 존스톤
교수
는 폐경을 설명하는데 할머니가설이 2% 부족하다고 생각했다. 할머니 가설에 따르면 무리를 짓고 양육기간이 길고 장수하는 동물에서 폐경이 나타나야하는데 사람을 빼고는 그렇지 않았기 때문이다. 폐경기가 ... ...
[사이언스 지식IN] 면역세포? 줄기세포? 첨단재생의료법은 뭐지?
동아사이언스
l
2017.01.07
핵과 바꿔치기하면 환자의 유전자를 가진 배아줄기세포가 생긴다. 황우석 전 서울대
교수
가 만들었다고 주장한 바로 그 세포다. 배아줄기세포는 치료목적으로 사람 몸에 넣었을 때 암을 일으킬 위험이 있어 아직 연구단계다. 과학동아 제공 ②유도만능줄기세포(iPS) 유도만능줄기세포는 특별한 ... ...
시스템 생물학의 눈으로 노화의 비밀을 들여다보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1.06
을 규명해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발표했다. 2016년 초에는 서울대 약대 김성훈
교수
팀과 함께 3차원 세포배양기술을 이용한 새로운 암 치료법도 개발했다.황 부연구단장은 의사, 암 연구자, 식물학자, 동물학자, 미생물학자 등 다방면의 전문가들과 함께 생명 시스템 전반을 연구해 온 것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3] 현대인들에게 수탉의 울음이 필요한 이유
2017.01.04
몸에 배었다. 도시에서 애완용 수탉을 키울 수 없는 이유다. 실제 도올 김용옥
교수
는 수년 전 수탉을 키우다 동네 사람들의 거센 항의를 받았다고 한다. 그렇다면 사회적 시차로 생체시계가 교란된 생활을 지속하면 몸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특집에 실린 리뷰논문들에 따르면 다양한 문제들이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20) 남극 오존층을 구하는데 일조한 랄프 시세론
2017.01.04
치유될 수 있음을 보인 뜻 깊은 일이다. 미국 MIT 지구대기행성과학과 수전 솔로몬
교수
팀은 여러 관측 장비와 다양한 조건의 컴퓨터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분석, 2000년 이후 9월의 남극 오존층 구멍의 넓이가 인도 아대륙보다 넓은 400만㎢나 줄어들었다고 보고했다. 이런 현상의 주요인은 1989년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9) 화학의 두 문화를 통합한 존 로버츠
2017.01.03
글쓰기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사이언스’에 부고를 쓴 하버드대 조지 화이트사이즈
교수
는 1960년대 로버츠의 실험실에서 대학원 생활을 했는데 실험은 자유방임형이었지만 논문에는 까다로워 논문을 써 가져가면 빨간 펜으로 도배를 해 돌려주고 이런 과정이 반복돼 끝나지 않을 것 같았다고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8) 샤프론 단백질 분야를 개척한 수전 린드퀴스트
2017.01.02
관여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 사이언스 제공 2013년 린드퀴스트는 하버드대 클리포드 타빈
교수
와 함께 동굴물고기가 Hsp90이 감당할 수 있는 선을 넘은 스트레스로 인한 탈수로화의 예임을 밝혔다. 중미의 작은 민물고기 아스티아낙스 멕시카누스는 보통 강에 살지만 빛이 전혀 들어오지 않는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7) 과학자들의 키다리아저씨 조셉 버만
2017.01.01
했다. ‘네이처’ 11월 17일자에 부고를 쓴 뉴욕시립대 물리학과 유진 추드노프스키
교수
역시 1980년대 버만이 구해 준 러시아 과학자들 가운데 한 명이다. “내가 감옥에서 생을 마치지 않을 수 있었던 건 버만과 그의 동료들 덕분이다. KGB의 집요한 방해공작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마침내 소련을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6) 극저온에서 새로운 물질 상태를 구현한 데보라 진
2016.12.31
행동한다. 두 사람은 이 업적으로 2001년 노벨물리학상을 받았다. 2년 동안 코넬
교수
의 실험실에서 극저온 기술과 보스-아인슈타인 응축 상태에 대한 측정 연구를 진행한 진은 1997년부터 자신의 실험실을 운영하며 새로운 물질 상태를 만드는 연구에 착수했다. 즉 페르미온 응축 상태다.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4) 생명과학에 보는 재미를 더해 준 로저 첸
2016.12.29
마침내 성공했다. 그에게서 GFP 유전자를 지닌 대장균을 받은 컬럼비아대 마틴 찰피
교수
는 1994년 촉각수용체세포에서만 녹색 형광이 나오는 예쁜꼬마선충을 만들어 ‘사이언스’에 보고했다. 첸 역시 프레이서에게서 대장균을 받았고 화학자답게 먼저 형광 메커니즘을 연구해 1994년 이 과정에 ... ...
이전
485
486
487
488
489
490
491
492
4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