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각도"(으)로 총 1,544건 검색되었습니다.
- 내가 칩인가, 칩이 나인가 휴먼 온어 칩(Human on a chip)!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여기에 전기 자극을 가해 전기 자극과 심장 수축 정도의 상관관계를 근육박막이 휘는 각도를 측정해 정량화했다.2007년에는 한국계 미국인 과학자인 루크 리(한국이름 이평세) 미국 UC 버클리 교수팀이 ‘리버(간) 온어 칩(liver on a chip)’을 발표했다. 리 교수는 랩 온어 칩 연구를 초창기부터 이끌어 ... ...
- [스마트하게 날아오르다 DRONE] PART2 똑똑한 드론의 임무 수행기!수학동아 l2015년 10호
- 이 벽돌 탑 역시 수학 모형으로 설계한 것이었습니다. 수백 개의 벽돌이 어떤 방향과 각도로 쌓여야 하는지 정교하게 계산한 겁니다. 여러 대의 드론은 벽돌을 들고 날아가 정확하게 계획된 위치에 벽돌을 내려놓을 수 있었죠.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했을까요?군집드론은 똑같은 명령을 따르는 드론 ... ...
- 내 스마트폰에 내가 만든 게임을 쏙!수학동아 l2015년 10호
- 있어요. 제3사분면의 시작점부터 제4사분면이 끝나는 지점까지는 180°부터 360°지요. 이 각도 범위에서 장애물이 튀어나오도록 설정해놓으면 장애물이 사방으로 뻗어나온 답니다. 나만의 스토리로 만드는 컬러몬스터 게임자, 이제 오늘의 주인공 게임이에요. 색깔이 같은 컬러몬스터 3마리가 나란히 ... ...
- PART3. 나는 한국의 파브르입니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마주서는 모양을 “신랑 신부가 초례청에 들어선 것 같다”고 표현하고, 밑들이가 90° 각도로 짝짓기하는 모습이 “완전 특종감에 해당해 카메라를 들이댄다”고도 한다. 알락파리 두 마리의 육감적인 입맞춤을 “기다란 주둥이를 꽈배기처럼 꼬고 두툼하고 넓적한 아랫입술을 느물거리며 ... ...
- 숫자 세 개가 만나는 곳에 보물이 있다!수학동아 l2015년 09호
- 각도를 정확하게 나눠도 지도로 쓰기에는 불편하다. 동쪽 또는 서쪽으로 일정한 각도만큼 이동할 때 표면이 비교적 평평한 곳과 울퉁불퉁한 곳에서 실제로 가야 하는 거리가 다르기 때문이다. 일정한 규칙에 맞게 위치를 나타내고 거리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어느 나라에서든 인정할 수 있는 지구 ... ...
- 가우디 그의 생각을 엿보다수학동아 l2015년 09호
- 나뭇가지의 형태를 유지하면서도 천장의 무게를 감당할 수 있도록 기둥의 비틀어진 각도를 모두 다르게 계산했다. 2010년 경에 건축가 조르디 보넷아르멩골의 지휘로 이 부분이 완공됐다.][사그라다 파밀리아 전경 성당 착공식을 한 지 133년이 지난 2015년, 현재 사그라다 파밀리아 성당의 공사는 중앙 ... ...
- [생활] 페이 경쟁 생체인증이 대세수학동아 l2015년 09호
- ③다른 사람들 목소리를 표현하는 특징벡터다. 간단히 예를 들면, 두 벡터 사이의 각도나 거리를 구해 비슷한 정도를 측정한다. ②가 ①에 가까우면 본인으로 인증하고, ③에 가까우면 인증을 거부한다. 한편 일단 만든 목소리 그래프는 완전히 수학적인 표현으로, 다시 원본 목소리로 복원할 수 ... ...
- [참여] 게임카페 1기, 두 번째 수업 오늘은 나도 컴퓨터 게임 개발자!수학동아 l2015년 09호
- 떨어지는 걸 볼 수 있어요. 0, 90, 180, 270은 각각 오른쪽, 위쪽, 왼쪽, 아래쪽을 가리키는 각도 값이기 때문이에요.학생들은 블록 캐릭터가 화면 아래쪽에서 왔다 갔다 하고, 화면을 클릭한 곳에서는 또 다른 블록 캐릭터들이 밑으로 쏟아지는 게임을 만들었어요.“이제 이 게임에 스토리를 입혀볼까요 ... ...
- [지식] 매미의 한여름 세레나데수학동아 l2015년 08호
- z축으로 정했다. 그리고 날개를 위아래로 움직이는 각도와 몸이 위아래로 움직이는 각도를 관찰했다(위 그림).그리고 매미 80마리가 날갯짓하는 모습을 각각 촬영했다. 매미는 커다랗고 두꺼운 앞날개와 그 아래 뒷날개가 서로 연결돼 있어서 마치 날개 한 쌍으로 나는 것처럼 보인다. 연구팀은 ... ...
- 아인슈타인도 깜짝 놀란 뇌 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불러요.*장소세포 : 특정한 지점에서 전기 신호를 내는 뇌세포.*격자세포 : 일정한 간격과 각도로 떨어져 있는 지점에서 반복적으로 전기 신호를 내는 뇌세포. 쥐의 뇌를 투명하게 만들다!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 화학공학과 정광훈 교수는 쥐의 뇌를 투명하게 만드는 기술을 개발했어요. ... ...
이전4445464748495051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