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체"(으)로 총 1,399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수컷 침팬지는 폭력의 대명사?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암컷이면서 영역 주변부로 나갈 수 있는 경우는 아직 한 번도 임신하지 않는 청소년 개체뿐이다. 단 한 가지 예외가 바로 사랑의 도피다. 서열이 낮아 정자전쟁에 거의 참여할 수 없는 수컷이 대장 수컷의 눈을 피해 암컷을 유혹해 영역 주변부로 데리고 나가 교미를 하는 것이다.모든 세상이 그렇듯, ... ...
- [Tech & Fun] 모자를 벗지 않는 사람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의견은 다수가 모으지만 죄를 짓는 사람의 수를 줄이기 위해 판결과 집행을 하나의 개체가 담당한다는 사실은 굳이 설명할 필요가 없었다.“회수라면…?”이번에는 윤환이 손가락을 들어 비니를 두드렸다.“시간이 흐르면 더욱 더 지구인에 가까운 사람들이 생길 거예요. 조직적으로 지구의 권력을 ... ...
- [News & Issue] 꿀벌은 꿀맛을 알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다양한 감각정보를 이용해 주변 환경을 경험하고 학습한 결과, 어떤 상황에 처했을 때 개체마다 서로 다른 행동을 하는 현상이다. 꿀벌과 개미의 최적경로 찾기 행동이 바로 주관적 경험에 해당한다. 논점 1 길 찾기만 잘하는 거라면?그러나 꿀벌이 의식을 가진 존재라고 결론을 내리기는 아직 ... ...
- [Knowledge] 패배는 있어도 패배자는 없다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제기되기 시작했다. 그 지역에서 완전히 사라질 것이라고 생각했던 경쟁력 약한 종이 개체수만 줄어들 뿐 멸종되지는 않은 것이다. 그 이유는 식물의 적응력에 있었다. 다양하고 수시로 변하는 환경에서 식물은 새로 적응할 곳을 찾았고, 어느 지역에서 경쟁력이 약했던 식물이 다른 지역에서는 ... ...
- [Knowledge] 뼈의 말에 귀 기울이는 사람들(上)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같은 뼈가 여러 개 있는 경우라면 특별히 주의해야 한다. 여러 명의 시체가 섞인 경우 각 개체를 구분하지 않고 다음 단계의 분석을 진행한다면 신뢰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법의인류학자가 우리 몸에 있는 206개의 뼈에 대해 속속들이 알고 있어야 하는 이유다. 머리뼈와 치아로 ... ...
- [Knowledge] 협력자 끼리끼리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같은 유전자를 지닐 가능성이 99%보다 더 높으리라고 기대할 수 있다.정리하자. 근연도는 개체군 평균에 비해 행위자와 수용자가 유전적으로 얼마나 더 유사한지 알려주는척도다. 근연도가 0보다 크다면, 해밀턴의 규칙에 따라 이타성이 진화할 수 있는 길이 열린다. 족보를 따지는 혈연 관계는 ... ...
- [Knowledge] 쓴 풀이 곧 약이 되리니…과학동아 l2016년 08호
- 관련한 지식이 이어지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체계적인 시스템이다. 똑똑한 한 개체가 나타나 수십, 수백 개에 달하는 유용한 식물을 집단 구성원들에게 널리 알려준다고 해도 시스템이 없으면 불과 몇 세대 만에 그 정보는 사라지고, 구성원들이 질병을 견디고 생존할 가능성은 낮아질 것이다. ... ...
- [News & Issue] 내 DNA에… 낯선 유전자가 들어왔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저항성을 갖췄다’고 한다(수직 전달).그런데 살아남은 소수의 개체들이 그렇지 않은 개체에게 저항성을 띤 유전자를 수평 전달하면 어떻게 될까. 기존에 저항성이 없었던 박테리아도 단기간에 생존력을 갖추게 될 것이다. 그뿐만이 아니다. 김희발 교수는 “각각의 항생제에 저항성을 갖는 ... ...
- [과학뉴스] 2099년, 아델리펭귄이 위험하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눈에 띄게 감소했다. 또 이 자료를 지구 기후변화 모델에 적용했더니, 아델리펭귄의 개체수가 2060년까지 현재의 최대 43%, 2099년까지는 최대 64%로 줄어들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연구의 제1저자인 메간 시미노 박사는 “(아델리펭귄이) 어느 지역에서 기후변화에 가장 취약한지 알 수 있었다”면서 ... ...
- [Knowledge] 칠면조는 왜 짝을 바라만 보고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8호
- 해를 끼쳐서 줄어드는 복제본 개수(c)보다 많아야 이타적 행동은 선택된다. 두 개체 사이의 근연도(r)가 높을수록, 그리고 이타적 행동이 효율적이어서 손실 대비 이득(b/c)이 클수록 이 유전자는 선택되기 쉽다(구체적 사례는 왼쪽 박스 참조).야생 칠면조의 협력 구애해밀턴의 부등식이 성립해 혈연 ... ...
이전4445464748495051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