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분
차별
분할
갈라내기
선별
분류
분리
d라이브러리
"
구별
"(으)로 총 1,704건 검색되었습니다.
국산 수학교구, 미국 최대 수학교육컨퍼런스에서 주목받다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전부였다. 그러나 빨대 모양의 4D프레임 연결봉은쉽게 구부러지는 성질이 있어 안과 밖이
구별
되지 않는 클라인병 모형을 만들 수 있다. 물론 완벽한 클라인병은 아니다.강연에 참여한 교사들과 클라인병 모형을 만든 박 소장은 자신이 만든 모형을 분해하기 시작했다. 이 병을 정확하게 세로로 ... ...
오르막길 거슬러 오르는 이중원뿔의 비밀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삶은 달걀을
구별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달걀을 돌려보면 쉽게 날달걀과 삶은 달걀을
구별
할 수 있다. 삶은 달걀은 속이 익었기 때문에 돌렸을 때 회전의 중심이 가운데로 고정된다. 즉 무게중심이 달걀 가운데에 움직이지 않는 상태로 있다. 삶은 달걀을 돌리면 달걀이 일어서서 돌게 된다.반면 ... ...
맥스웰의 도깨비를 찾아서 “아는 것이 힘이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존재’가 있어 공이 통과하는 구멍앞에 숨어 있다고 하자. 이 ‘존재’는 공의 색깔을
구별
할 수 있으며, 구멍에 달린 문을 열고 닫아 원하는 공을 통과시킨다. 즉 붉은 공은 왼쪽에, 푸른 공은 오른쪽에 모이게 할 수 있다. 문을 여닫는 데 사용하는 에너지는 이론적으로 충분히 작게 만들 수 ... ...
스마트시대, 우리는 스마트해졌나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어느 순간 ‘숫자’라는 지시 신호로(또는 그 반대로) 바뀌는 경우다. 자음과 모음
구별
에 온 신경을 쓰다가 갑자기 홀수와 짝수로 기준이 바뀌자 상당히 당황스럽다. ‘2k’이란 신호에 움찔하다가(시간 지연) 그만 ‘F’ 버튼(글자라면 맞지만 숫자라면 틀리다)을 누른다.과제전환은 한 번에 여러 ... ...
Part 2. 과학수사 X파일 5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피해자에게 남은 페인트 증거물을 찾으면 그 페인트와 의심 차량의 페인트가 같은지
구별
해야 한다. 비교현미경 등으로 페인트 층을 관찰할 수 있다. 눈에는 은색으로 보이는 페인트일지라도 현미경으로 보면 녹색-적색-은색 순으로 전혀 다른 색깔 층인 경우가 많다. 페인트 층을 이루는 색깔과 그 ... ...
우주까지 반백 년, 그리고 우주에 다다른 지 반백 년…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우주비행 경험을 축적하면서 도움이 되는 훈련과 큰 관련이 없는 훈련을 점점 더 많이
구별
할 수 있었다. 최근 훈련을 받는 우리들은 최적화된 우주인 프로그램에 따라 훈련을 받는 것이다.우주에 대한 신비가 줄어드는 만큼 모호하고 알 수 없는 훈련과 위험도 줄어들었다고 생각하니 과거 50년 동안 ... ...
우리 집 家 도 혹시 병든 집?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경로를 건물 설계도 위에 그린 결과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장소와 적게 모이는 장소를
구별
할 수 있었다. 사람을 많이 불러들이는 곳은 커피를 마시면서 얘기를 나누는 공간과 식당, 화장실이었다. 특히 창문이 크게 나 있고 바깥으로 아름다운 경치가 보이는 커피숍과 휴게실은 더 많은 사람들이 ... ...
스마트 라이프 만드는 차세대 이동통신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반대로 기술이 뒤처진 셈이다.3세대까지 전송방식으로 쓴 CDMA는 사실 코드가 완벽하게
구별
되지는 않는다. 그래서 조금씩 생기는 간섭을 막기 위해 신호의 세기를 제어한다. 처음에 네트워크에 들어갈 때 갑자기 강한 신호를 보내면 다른 사용자에게 간섭이 되기 때문이다. 처음 들어갈 때는 약하게 ... ...
집합 바로 알기!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원소가 없다’는 뜻으로 사용됐는지, 또 다른 집합의 하나의 ‘원소’로 사용됐는지를
구별
해야 합니다.예를 들어 ‘n(Ø)과 n({Ø})를 각각 구하라’와 같이 문제에 비교 대상이 있다면 실수할 확률이 낮죠. 하지만 둘 중 어느 하나만 문제에 나타났을 때는 헷갈릴 수 있다는 거죠. n(Ø)은 공집합의 ... ...
그림자도 지우는 숨기의 달인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보인다. 그림자 제거 털이라 부르는데, 애벌레 몸의 윤곽을 달라보이게 하거나 주변과
구별
하기 어렵게 만든다. 특히 새들은 후각이 아닌 시각으로 먹이를 찾기 때문에 나뭇잎이나 풀에 앉아 있는 애벌레를 한 번에 알아채기가 쉽지 않다.위장하거나 변신할 수 없으면 호신술을 써야 한다. 특별히 ... ...
이전
44
45
46
47
48
49
50
51
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