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기"(으)로 총 2,05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전선 없는 세상수학동아 l2017년 01호
- 없어질 겁니다.실내 전자기기얼리어답터 조문과 씨의 생활은 더 쾌적해졌다. 수많은 전자기기를 선 하나 없이, 배터리 걱정 없이 사용할 수 있기 때문!전기자동차 무선충전김동인 씨 집에는 태양열로 전기자동차를 충전하는 주차장이 있다. 주유소를 찾아가지 않아도 자동으로 충전이 된다 ... ...
- [Future] 미래 바꿀 7대 기술은 무엇?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예측하고 질병 예방을 위한 행동 변화를 제시할 수 있다. VR(가상현실, Virtual Reality) 기기를 쓰는 순간, 눈앞에는 지금껏 전혀 본 적 없었던 새로운 세계가 펼쳐진다. 우리는 가상현실 속에서 관광객이나 우주비행사, 게임 캐릭터나 영화 주인공이 된다. 가상현실에서 가상 인물이나 물체와 서로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비밀과학집단의 정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수 있기 때문에 친환경 기술로 각광받고 있어요. 무선 네트워크용 센서나 웨어러블 기기가 늘어나는 만큼 앞으로 더 활발하게 쓰일 것으로 기대된답니다. # “흠…. 그렇다면 사육실 폭발이 정전기와 연관이 있는 건 아닐까?”시원이가 심각하게 얘기하는 순간, 사육실의 문이 쾅~! 하고 열렸어요. ... ...
- Part 1. 착륙 1분 전 사라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압력과 습도, 온도 등을 관측하는 센서와 안테나, 카메라 등이 달려 있어요. 따라서 이런 기기들이 망가지지 않도록 안전하게 착륙하는 것이 무척 중요하답니다.1.1km 남기고 연락 두절!엑소마스 2016은 화성 탐사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지난 3월 14일(*UTC 기준), 카자흐스탄의 바이코누르 우주기지에서 ... ...
- [출동!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 2016 대전 사이언스페스티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이용해 종이 속 우주인과 우주선, 대전 한빛탑을 알록달록 꾸몄어요. 이후 스마트 기기로 ‘크레용팡’ 앱을 실행시켜 그림을 비추자, 내가 색칠한 우주인과 우주선이 움직이기 시작했답니다. 이 프로그램은 그림을 3차원의 가상 이미지로 바꿔 보여 주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거예요. 최근 인기를 ... ...
- [과학뉴스] 젤리처럼 피부에 찰싹 붙는 터치패널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높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어요. 선정윤 교수는 “젤리처럼 생긴 터치패드를 웨어러블 기기의 재료로 사용한다면 더욱 가볍고 편리한 제품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 ...
- Part 4. 자동차, 환경을 지키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만든 ‘리튬이온배터리’를 이용했어요. 리튬이온배터리는 휴대전화, 노트북 등 전자기기에 많이 사용되는 배터리예요. 이전까지 충전지로 많이 사용되던 니켈전지 무게의 절반밖에 되지 않아 가벼우면서도 높은 용량의 배터리를 만들 수 있지요. 또한 전지 내부에 이물질이 생겨 성능이 떨어지는 ... ...
- [지식] 빛과 거울, 명작의 비밀병기수학동아 l2016년 12호
- 이미지를 투영한 걸로 단순히 베껴 그렸다고 할 수 없다는 것처럼요.화가의 광학기기 사용 논란이 아직 결론이 나지 않은 것처럼 이것 또한 논란이 계속될 것 같습니다. 다같이 생각해 보기를 바라며 관람은 여기서 마무리하겠습니다 ... ...
- Part 1. 유럽 최고 드론업체 ‘패럿’에 가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기업가 앙리 세이두, 장 피에르 탈바르, 크리스틴 드 투르벨이 핸즈프리 등 자동차용 무선기기를 제조하기 위해 만든 회사다. 장사가 잘돼 2006년 유럽의 전자증권거래소 유로넥스트(현재는 미국 뉴욕 증권거래소와 합쳐짐)에 상장했고 2012년 7월 스위스 드론업체 센스플라이를 인수하며 드론 시장에 ... ...
- [Career] 나노물질과 인체의 ‘궁합’ 봅니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전성시대다. 그래핀과 탄소나노튜브, 양자점(퀀텀닷) 등의 나노 물질을 이용해 전자기기를 만들거나 질병을 진단, 치료하려는 연구가 국내외에서 활발하다. 하지만 이들 재료가 인체에 무해한지 확인하는 연구는 그리 많지 않다. 인수일 DGIST 에너지시스템공학 전공 교수와 김은주 ... ...
이전4445464748495051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