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호"(으)로 총 907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자도 거부한 수, 음수수학동아 l2009년 10호
- 표현한 수를 그대로 옮겨서 숫자 사이의 간격 없이 꼭 붙여 썼다. 0에 해당하는 빈자리는 기호 ◯으로 나타냈다. 음수는 일의 자리숫자에 빗금을 그어 나타냈다.서양에서는 음수를 어떻게 받아들였을까?현대 수학의 밑거름인 고대 그리스 수학에서 음수는 언제 수로 인정을 받았을까? 고대 그리스 ... ...
- Part 2. 하나를 알면 열을 아는 즐거움!수학동아 l2009년 10호
- 수학계 최대의 난제를 푸는 데 쓰인다니 놀랍지 않은가?x와 y의 관계는? f(x)라는 함수 기호를 처음으로 쓴 사람은 스위스의 수학자 레온하르트 오일러다. 함수는 보통 함수를 뜻하는 'function'의 앞글자인 f와 변수인 x,y를 이용해 y=f(x)라고 나타낸다. 이 때, x에 어떤 값을 넣느냐에 따라 대응하는 y의 ... ...
- Part 1. 수학 기피증을 극복하라!수학동아 l2009년 10호
- 나타낼 수 있는 숫자 중에서 가장 작은 정수를 'n차 택시수'라고 부르며 'Taxicab(n)'이라는 기호로 나타낸다. 1729는 1³ +12³과 9³+10³으로 나타낼 수 있는 가장 작은 수이므로 2차 택시수다.수와 행복하게 지낼 수 있을까?어떤 수의 각 자리의 수를 두 번 곱해 더해 나갈 때 결국 1이 되는 수를 해피넘버(happy ... ...
- 5+1이 좋을까, 20%할인이 좋을까?수학동아 l2009년 10호
- 새로운 물건과 파격적인 서비스를 원하기 때문입니다. 판매업체는 소비자의 성향과 기호 등을 주기적으로 분석해 소비자가 원하는 물건을 지속적으로 만들어 내야 살아남을 수 있는 시대가 됐습니다. 이런 점에서 볼 때, 물건의 가격을 깎아 주면서 일시적으로 판매를 늘릴 수 있는 할인전략보다 ... ...
- Part 2. 세계 곳곳에서 쓰였던 χ의 다양한 이름들수학동아 l2009년 09호
- 옛날 책들이 대량으로 인쇄됐어. 많은 사람들이 디오판토스의 책을 읽고 미지수를 기호로 표현하는 방법도 배우게 됐어. 하지만 각 나라에서 미지수를 서로 다르게 사용하다 보니 혼란이 생길 수밖에 없었겠지. 적당한 방법으로 미지수를 통일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기 시작했어. 1637년 프랑스의 ... ...
- Part 1. χ가 없던 시절에는수학동아 l2009년 09호
- 토끼의 다리는 4개일 때, 닭과 토끼는 각각 몇 마리인지 계산하여라."숫자도 한자이고 기호도 없으니 문제를 이해하는 것조차 어렵군. 그래도 풀 수 없는 문제는 아닌 것 같네. 학교에서 배웠던 '예상과 확인'방법으로 풀어 보기로 해. 닭과 토끼가 몇 마리씩일지 예상해서 다리의 수를 맞춰가는 방식 ... ...
- 0의 발견 숫자 가문의 영광수학동아 l2009년 09호
- 보면 0에 해당하는 기호를 썼던 것을 알 수 있다.그러나 두 곳에서 발견된 0을 의미하는 기호는 단순히 빈 자리를 나타내는 표시에 그쳤고 다음 세대나 다른 문명에 전해지지 못했다. 결국, 이들은 수학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이다. 마야인이나 바빌로니아인이 먼저 0이란 개념을 생각해 ... ...
- χ의 대활약수학동아 l2009년 09호
- 수도 있어. 그러한 틀을 '공식'이라고 하지. 공식은 계산의 법칙이나 방법을 문자와 기호로 나타낸 거야. 다음은 세 가지 수 a,b,c 에서 성립하는 '분배법칙'이라고 해. 계산의 법칙을 나타내는 공식이지.a×(b+c)=(a×b)+(a×c)예) 3×(4+5)=(3×4)+(3×5)계산의 방법을 보여 주는 공식도 있어. 예를 들어 삼각형, ... ...
- 수학의 역사와 함께한 χ수학동아 l2009년 09호
- 시절에는 아무리 훌륭한 수학의 내용도 그 뜻을 전달하기가 어려웠어. 나 같은 문자와 기호가 하나 둘 등장하면서 수학의 발전 속도는 빨라졌어. 과거의 수학 지식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되면서 쌓이는 수학 지식의 양도 늘어갔지. 어려운 문제가 생겨도 핵심을 한눈에 볼 수 있고, 풀이 과정을 ... ...
- Part 3. "모든 문제를 식으로 바꾸어라"수학동아 l2009년 09호
- 문제라도 쉽게 해결할 수 있지. 미지수를 x로 쓰는 것처럼 수나 연산 관계를 문자나 기호로 대신해 문제를 푸는 방법을 '대수학'이라고 해. 수학의 역사와 함께 출발한 대수학은 수학의 중요한 분야로 자리잡고 있지. 대수학의 시작은 고대 바빌로니아의 점토판에서 찾아볼 수 있어. 쐐기문자를 ... ...
이전4445464748495051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