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너비
폭
가로
고양이
고냉이
괭이
나비넥타이
d라이브러리
"
나비
"(으)로 총 635건 검색되었습니다.
빛을 조작하는 자연의 나노기술 광결정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중남미의 열대림. 대낮에도 어두컴컴할 정도로 밀림이 우거져 있다. 이곳에는
나비
가운데 색깔이 가장 아름답고 화려하다는 몰포
나비
... 파장도 바뀐다. 또 날개 표면으로 들어오는 빛의 각도에 따라서도 반사되는 색이 바뀐다.
나비
의 색이 보는 각도에 따라 같지 않은 것도 이 때문이다 ... ...
체험 과학 웹사이트 explortorium.edu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 수 있다.기계와 도구 코너에서는 끌개현상을 경험하는 로렌쯔
나비
와 우주왕복선의 발사와 우주센터를 동영상으로 보는 허블 파노라마, 유럽핵연구센터(CERN)의 반양자감속기와 입자가속기의 원리를 동영상으로 제공하는 프로그램 등을 이용할 수 있다.다양한 눈결정 만끽할 ... ...
인간 배제된 채 기계 액션만 난무 터미네이터는 돌아왔는가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카오스이론에 따르면 지극히 미세한 변화가 전혀 다른 분야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나비
의 날갯짓에 놀란 파리가 아파트 창문으로 날아들어와 아이를 만드는 일에 열중하고 있는 남자의 등을 간질이는 것만으로도 역사와 다른 사람이 태어날 수 있는 것이다 ... ...
자동 주차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물질적 본체의 추구에까지 도달하게 되었다 곤충 바이러스병의 하나 주로 누에 등
나비
의 유충에 감염 · 발병한다바이러스는 지름 50~70nm의 정이십면체이고 각 꼭지점에는 돌기가 있으며 핵산은 2중사슬 RNA이다보통 바이러스 입자는 지름 3~6μm의 다각체라는 단백질의 봉입체(封入體) 속에 ... ...
숲에서 오감의 즐거움 체험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곤충을 관찰하기에 가장 좋은 날씨는 비가 그친 직후다. 비를 피해 나뭇잎 밑에 있던
나비
와 잠자리 등의 곤충이 빗물에 젖은 날개를 말리기 위해 모두 밖으로 나오기 때문이다. 하지만 불빛을 보면 곤충이 불빛을 향해 일제히 날아오기 때문에 밤도 나쁘지 않다.곤충이 불빛을 향해 날아오는 것은 ... ...
1 태풍잡는 사나이로 변신한 물리학자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베이징에 있는
나비
의 날개짓이 다음달 미국 뉴욕에서 폭풍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는
나비
효과로 종종 표현된다. 기상의 비선형성은 마이크로파를 사용해 태풍이나 토네이도를 없앨 수 있다는 이스트런드 박사의 새로운 기상 제어 방법에 힘을 실어줄 뿐만 아니라 생각보다 훨씬 적은 전력으로 ... ...
다차원 공간의 외로운 여행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점으로부터 이를 수 있는 끌개들은 무수히 많다. 이것으로 카오스이론에서 말하는 ‘
나비
효과’를 설명할 수 있고, 경제학의 결정론적인 예측 모델이 맞지 않는 이유를 설명할 수도 있다.한 국가의 경제 시스템은 결코 단백질과 같이 하나의 모양으로 수렴하는 단순한 문제공간을 가질 수 없다. ... ...
머리카락 한올로 범인 나이 알아낸다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추측을 하기 쉬운데, 그것은 사실과 좀 다르다. 물론 외눈 안경과 지팡이, 실크 모자와
나비
넥타이, 근사한 망토 등 뤼팽의 복장은 당시에도 상당히 튀는 옷차림이긴 했지만, 실제로 뤼팽이 소설에 이런 옷차림으로 등장한 적은 의외로 많지 않다. 실제로 뤼팽은 형사나 탐정의 눈을 속이기 위해 ... ...
거대한 도시 실험실 에든버러 사이언스 페스티벌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이 외에도 신발 밑에 상어지느러미 같은 수평타를 달아 평형감을 높인 팀이 있었고,
나비
날개 모양의 구조물을 달아 신발이 앞으로 나아갈 때 날개가 접히고 정지할 때 펴지게 만들어 신발이 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한 아이디어도 돋보였다.물 위 걷기 콘테스트는 ‘에든버러 국제과학축전’의 여러 ... ...
아이디어 만발한 동식물의 짝짓기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신비스런 메커니즘은 여기에서 멈추지 않는다. 모시
나비
, 사향제비
나비
, 애호랑
나비
등에서는 반투명한 정포가 굳어져 수태낭이 된다. 이는 암컷의 생식관을 틀어막는 마개 역할을 한다. 중세시대 바람을 피지 못하게 하기 위해 인간이 만든 정조대라는 기구와 다를 게 없다.지중해에 사는 벼룩의 ... ...
이전
44
45
46
47
48
49
50
51
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