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부위"(으)로 총 2,36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고층대기부터 유전체 발굴까지 극지 연구의 현재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동결방지단백질들의 3차원 구조를 보면 공통적으로 얼음과 잘 결합할 수 있도록 편편한 부위가 있고, 여기에 물 분자와 수소결합을 이루기 위한 아미노산 잔기가 다수 존재한다. 동결방지단백질은 어떻게 만들어지는 걸까. 비밀을 풀기 위한 가장 중요한 단서는 유전체 정보다. 이를 위해 ... ...
- [실전! 반려동물] 왜 아무데나 오줌을 싸는 걸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못해요. 그래서 생후 2주까지는 어미의 도움을 받아 똥을 누지요. 어미가 새끼의 엉덩이 부위를 핥아 자극을 주면 똥이 나온답니다. 이때 어미는 새끼의 똥을 먹어서 없애요. 만약 새끼가 어미와 떨어졌다면 사람이 그 역할을 대신해야 해요. 몇 시간 간격으로 따뜻한 물수건을 이용해 부드럽게 ... ...
- [Future] 그림이 열일 하는 메디컬 일러스트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설명하는 사람도, 듣는 사람도 난감할 것이다. 하물며 혈관의 생김새나 이름, 장기 부위별 크기와 움직임처럼 복잡하고 어려운 의학 지식을 다루는 책이나 논문이라면 어떨까. 아무리 이해력이 좋은 사람이라도 그림이 없다면 새로운 지식을 받아들이는 데 어려움이 따른다. 지난 해 12월 초, 인천 ... ...
- [아파트] 외벽타고 상승하는 불, 불연성 외장재가 해답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안심할 수는 없다. 모든 건물의 외벽은 위층과 아래층 사이에 이를 연결하는 ‘슬리브’ 부위가 있다. 이 부분은 흔히 불이 이동하는 통로가 된다. 건물이 낡으면서, 또는 지진에 의해 미세하게 흔들리면서 파괴되기 때문이다. 유용호 연구위원은 “슬리브를 열에 견디는 내화성 재료로 메우면 ... ...
- [종목1] 스피드스케이팅, 0.1초 단축 위해 찰나의 순간 분석과학동아 l2018년 02호
- chain)’이 제대로 형성되는지 분석했다. 키네틱 체인은 발과 다리, 허리 등 신체의 연결된 부위가 동작하는 순서를 말한다. 스피드스케이팅에서는 무릎과 발목, 엉덩이가 순서대로 펴지면서 거의 동시에 최대 각도로 펴질 때 가장 이상적인 키네틱 체인이 만들어진다. 송 책임연구위원은 “출발할 때 ... ...
- [종목4] 봅슬레이, 최첨단 ‘과학 썰매’로 金 사냥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지지하도록 최적화했다”고 설명했다. 그밖에도 현대차는 선수들의 안전과 직결되는 부위에는 방탄복을 만들 때 쓰이는 케블라(아라미드 섬유)를 적용해 썰매가 충돌하거나 뒤집혔을 때 선수들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했다. 썰매의 진동을 최소화하는 데도 심혈을 기울였다. 썰매 진동이 클 경우 ... ...
- [수학공작실] 정다면체 장식공예수학동아 l2018년 02호
- 먼저 다음 페이지를 참조해 색종이 하나를 기본 유닛으로 만든다. 한 유닛은 몸체와 연결부위로 이뤄져 있다. 몸체는 정사각형으로, 이를 반으로 접으면 두 개의 직각이등변 삼각형이 된다. 이 삼각형 3개를 겹쳐, 즉 유닛 3개를 서로 끼워 삼각뿔을 만들면 밑면이 정삼각형이 된다. 이를 모아 ... ...
- [Culture] ‘슈퍼 파워’ 가졌지만 저체온증 시달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떠나기 위해서는 다운사이징 시술을 받아야 한다. 머리카락, 눈썹 그리고 은밀한 부위의 털까지 신체의 모든 털을 미는 것으로 다운사이징 시술이 시작된다. 수면마취 뒤 금니나 교정기처럼 신체 속 고체 보형물을 모두 제거하고, 몸속 분변도 제거한다. 다운사이징 용액주사 30mL를 주사한 뒤 특수 ... ...
- [종목2] 스켈레톤, 세계랭킹 1위 도운 DNA 훈련법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모습. 연구팀은 선수들이 부상 위험 없이 최상의 경기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허벅지 앞뒤 부위의 근육량을 분석해 100대 70 비율을 유지하도록 조언했다.2. 연구팀은 유전자형에 따른 맞춤형 훈련을 할 수 있도록 선수들의 구강상피세포와 타액에서 유전자를 추출해 분석했다. 썰매와 스키는 2010년 ... ...
- [Future] 저항 유전자로 바이러스 막는 ‘슈퍼 가축’ 시대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알아내면 이 유전자를 활용해 ‘슈퍼 가축’으로 개량할 수 있다. 유전자가위(DNA의 특정 부위를 자르는 인공적인 효소)로 원하는 유전자를 잘라낸 뒤 수정란에 넣으면 된다. 축산업이 발달한 미국과 영국을 중심으로 가축의 유전체 연구는 오랫동안 활발히 이뤄졌다. 현재까지 밝혀진 내용에 따르면 ... ...
이전4445464748495051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