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망원경
사진
d라이브러리
"
사진망원경
"(으)로 총 778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대기 끝을 향해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영국의 기구비행사 두명이 고도 40km까지 올라가 새로운 유인기구비행 고도의 신기록 수립에 도전한다. 이들은 이상적인 발사가능 시간대를 결정하기 위해 72시간 대기에 들어갔다. 9월말 전에는 기구가 발사될 것이고, 24km 이상에서 부는 바람을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자동화된 금속형 주조법 또는 ... ...
은하수 사라진 구상성단의 밤하늘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하늘에는 왜 태양이 하나만 빛날까. 우리 태양 주변의 별들만 보더라도 두개 이상의 별들이 함께 돌고 있는 경우가 전체의 80% 가까이 된다고 하니 홀로 있는 태양이 오히려 이상하다고 말할 수 있다. 목성이 몸집이 조금만 더 컸더라면 제2의 태양이 될 수 있었다는 말도 빈말이 아닌 듯 싶다.허블우 ... ...
인공위성으로 미아 찾는다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자녀를 잃는 일은 모든 부모에게 최악의 악몽이다. 그러나 이제는 소형 위성항법장치(GPS) 기술이 장착된 개인용 위치탐지장치가 인공위성 추적과 무선통신을 통해 자녀가 어디에 있든지 그 위치를 60초안에 부모에게 알려준다. 이 장치는 미국의 웨러파이와이어리스사가 개발했다. 대수학에서 사용 ... ...
역대 노벨과학상 수상자 발명품 만난다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노벨상 1백년 간 배출된 7백44명을 관통할 수 있는 요소는 무엇일까. 바로 창조성이다.호암재단과 노벨재단이 국내에 마련한 특별기획전에서 노벨상 수상자들의 창조성을 만나보자. 1백년에 한번 볼 수 있는 전시회가 열렸다. 뢴트겐의 X선 장치, 플레밍의 페니실린 약병, 윌슨의 안개상자, 마리 퀴 ... ...
딥 임팩트 vs 아마겟돈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월드컵 태극 전사들이 포르투갈을 격파하며 16강에 진출했던 2002년 6월 14일, 축구장 만한 소행성 하나가 지구에 접근했다는 사실이 뒤늦게 밝혀졌다. 소행성이 지구와 충돌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영화 아마겟돈과 딥 임팩트가 그리는 지구 근접천체 충돌의 생생한 현장을 만나보자.지난 6월 14일, ... ...
혜성의 비밀 밝히는 나사의 탐사선 발사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미항공우주국(NASA)의 혜성탐사선 콘투어가 7월 3일 발사됐다. 콘투어는 최소 2개의 혜성을 방문할 계획이다. 지금까지 잘 알려지지 않은 혜성의 머리나 핵을 조사하고 이를 둘러싼 가스와 먼지를 분석할 계획이다. 인공적으로 지능을 구현하는 기술이나 그 실체를 뜻함 그 실체는 영화 '스페이스 ... ...
미리가본 한여름의 별축제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오는 8월 10일부터 18일까지 서울 신촌의 서강대에서 ‘한여름의 별축제’가 열린다. 도심에서는 드물게 열리는 별 행사를 미리 가보자. 서울에서도 무한한 시공간의 우주를 느낄 수 있을 것이다.한낮을 밝히는 태양은 지구에 존재하는 모든 것을 지배한다. 그러나 이 태양은 우리 은하 내에 존재하 ... ...
태양계 너머 또다른 목성이 있다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지금도 과학자들은 수많은 별들 중에서 지구처럼 생명체를 품은 행성을 찾고 있다. 7월초까지 발견된 외계행성이 1백개를 넘었고 최근 태양계의 목성을 빼 닮은 행성도 발견됐다. 2010년에는 제2의 지구가 생생한 사진으로 포착되고, 잇따라 생명의 흔적이 발견될지 모른다.외계생명체는 존재할까. ... ...
우주에서 응원한 붉은악마 성운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귓가에 맴도는 ‘대-한민국’과 ‘오- 필승 코리아’, 그리고 눈에 아른거리는 거대한 붉은 물결. 바로 우리나라 축구대표팀을 응원하는 ‘붉은악마’의 모습이다. 붉은색은 한바탕 유행을 몰고 왔고, 붉은색을 띤 것은 무엇이나 붉은악마처럼 보였다. 그런데 우주에도 우리대표팀을 응원하는 붉은 ... ...
살아 꿈틀거리는 미니 태양계 목성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목성은 화성과 소행성대 너머에 있는 태양계 최대 행성이다. 우주과학의 발전과 함께 원거리 항해기술이 마련되자 목성행 탐사선이 파견되기 시작했다. 목성과 위성들의 신비를 밝히기 위한 탐사여정을 좇아가보자.목성이 조금만 더 컸더라면 제2의 태양이 됐을 것이라는 재미있는 얘기가 있다. 사 ... ...
이전
44
45
46
47
48
49
50
51
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