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활
생계
생명
인생
목숨
생애
라이프
d라이브러리
"
삶
"(으)로 총 2,313건 검색되었습니다.
굿바이 2019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베이비'는 유전자 교정 기술에 대한 논란을 불러왔고, 죽은 돼지의 뇌세포 부활은
삶
과 죽음에 대한 생물학적인 정의를 곱씹게 했다. 과학동아는 동아사이언스 기자 29명을 대상으로 투표를 진행해 올해 과학기술 분야에서 가장 주목받은 뉴스를 선정했다.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굿바이 ... ...
2019 과학기술 10대 뉴스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상실과 신체 장기 순환능력 상실로 구분해왔습니다. 이런 관점에서는 뇌세포의 부활을
삶
과 죽음, 또는 그 경계 중 어느 하나로 정의하기 어렵습니다. 또 이미 죽은 뇌세포를 인위적으로 되살린다는 점에서 생명 윤리에 관한 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 ...
[로보트 재권V] 마침내 완성된 '로보트 재권v'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핵심을 잊지 않는다면, 로보트 재권V와 함께 하는
삶
은 분명 지금보다 더욱 나은
삶
이 될 것이라 믿습니다. 지난 1년간 로보트 재권V의 제작을 함께 해 주신 독자 여러분에게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
[SF에 묻는다] 200살을 맞은 사나이 vs. 블레이드 러너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이유에서인지 레이첼을 발견하고도 죽이지 않습니다. 로이는 타이렐에게 더 많은
삶
을 요구합니다. 4년이라는 기간은 너무 짧았던 것이지요. 인간의 노예로 태어난 레플리컨트지만, 더 오랫동안 자유를 누리며 살아가고 싶었을 겁니다. 그러나 타이렐은 불가능한 일이라며 거절합니다. 로이는 ... ...
양자컴퓨터 시대에 대비하는 수학!
수학동아
l
2019년 12호
것! 어떤 연구를 하고 있는지 소개해줄게. 양자컴퓨터의 압도적인 계산 능력은 우리
삶
을 훨씬 편하게 만들어 줄 거야. 그런데 양자컴퓨터가 반드시 밝은 미래만 가져오는 건 아니야.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암호지. 암호는 태생적으로 계산량이 많아 슈퍼컴퓨터로도 풀 수 없어야 정보를 지킬 수 ... ...
[통합과학교과서] 용궁이 위험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산호초 안에는 작은 조류 ‘심바이오디니움’이 살아요. 산호초는 심바이오디니움에게
삶
의 터전이 되어줘요. 그 대신 심바이오디니움은 산호초 몸안에 살면서 광합성을 하거나 먹이를 잡아먹으며 만든 영양분을 주지요. 또, 산호초가 아름다운 색을 띠는 이유도 다양한 색을 갖는 심바이오디니움 ... ...
알고 리의 나 혼자 산다
수학동아
l
2019년 12호
데이터의 질이 얼마나 좋은지도 중요해요. 추천 알고리듬으로 누리는 고민 없는
삶
이 부럽지 않나요? 추천 알고리듬은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가능해서 앞으로 발전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답니다. 실제로 추천 알고리듬으로 사업을 시작해 대박 난 경우가 굉장히 많은데요, 저를 포함해 영상 추천 ... ...
[언니오빠논문연구소] 질병 진단의 패러다임 전환 스마트 콘택트렌즈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삶
의 질이 향상되고 건강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생체 신호를 감지하는 전자기기 기술이 급격히 발전했습니다. 병원에서 진료를 받아야 건강 상태를 알 수 있었던 과거와 달리 이제는 스마트워치 같은 전자기기를 통해 간편하게 수면 상태를 분석하고 심박수를 측정하는 등 일정 수준 이상의 생체 ... ...
THE NOBEL PRIZE 2019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동료로, 제자로 옆에서 지켜본 국내 최고의 과학자들에게 수상의 의미와 수상자들의
삶
의 철학을 들었다.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THE NOBEL PRIZE 2019Part1. 이변은 없었다 2019 노벨상 리포트Part2. 세포 서바이벌 결정하는 산소농도Part3. 빅뱅 이후 우주의 ... ...
세포 서바이벌 결정하는 산소농도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보면 다분히 이론적인 연구로 보일 수 있겠지만, 산소농도에 관한 연구는 앞으로 우리
삶
과 건강을 지키기 위한 핵심 분야가 될 것이다. 이렇게 중요한 주제를 평생 연구할 수 있다는 것은 과학자에게 있어 행운이자 축복이라고 생각한다. 다시 한번 서멘자 교수 그리고 케일린 교수와 랫클리프 ... ...
이전
44
45
46
47
48
49
50
51
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