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석학
대학자
석사논문
논문
d라이브러리
"
석사
"(으)로 총 767건 검색되었습니다.
식물을 디자인한다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겹꽃의 구조를 갖게 된다.ABC 모델은 식물학자들에게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그 때
석사
과정 학생이었던 필자도 이 연구에 흥미를 갖게 돼 식물의 모양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일본 유학시절 길을 지나다가 모퉁이에서 우리나라 국화인 무궁화를 본 적이 있는데, 일본에서는 무궁화를 잘 볼 수 ... ...
반도체 칩 위의 건축가들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교수로 온 것은 지난 2004년 7월이다. 신생 연구실이라 아직 연구원은 4명(박사과정 1명,
석사
과정 3명)뿐이지만 이들은 “연구가 재미있어서 사람 수가 적은 것은 아무 문제도 되지 않는다”고 말한다 ... ...
플라스틱으로 만든 나노 칵테일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분야이기 때문에 연구실 학생들은 더 열심히 연구한다.연구팀은 지금까지 박사 27명과
석사
43명을 배출하며 160여 편의 논문과 국내외 특허 20여건을 냈다. 그런데 논문 발표 건수는 박 교수가 KAIST 학생처장과 기획처장을 맡아 바빴던 2001~2005년 동안 오히려 급증했다. 박 교수는 “아마도 제가 연구에 ... ...
아름다운 15일 간의 우주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7호
되었던 아일린 콜린스 선장은 스탠퍼드대학교와 웹스터대학교에서 우주시스템관리
석사
학위를 받고 1989년 공군시험비행학교에서 우주비행사의 꿈을 키웠지요. 공교롭게도 이번 디스커버리호가 착륙한 에드워즈공군기지는 아일린 콜린스 선장이 학창시절을 보낸 곳이라 아마 남다른 감회가 있었을 ... ...
4. 과학자가 증권가로 간 까닭은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예다. 그는 국내 창투업계의 1세대 심사역이다. 대학에서 생물과학을 공부하고 경영학
석사
를 마친 후 외국계 기업에서 일하다가 96년부터 창투사 심사역으로 일해왔다. 바이오라는 개념도 불분명하고 벤처투자라는 개념도 애매하던 시절부터 황창석 이사는 바이로메드, 크리스탈지노믹스, 에스디 ... ...
Smart D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그는 알아채지 못했다. 배명훈1978년 부산 출생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현재 동 대학원
석사
과정 재학2004년 서울대학교 대학신문사 주관 46회 대학문학상 단편부문 ... ...
입시 벗어나 논문 쓰는 고등학생들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문제를 해결하려는 욕구가 특히 강합니다. 어떤 문제든 주어지면 풀어내고 말죠. 고3이면
석사
과정 학생들처럼 혼자서도 실험할 수 있습니다.”문 교장은 이렇게 뛰어난 학생들이 대학에 진학해서도 계속 영재성을 살리기 위한 방법을 모색 중이다.다재다능한 과학영재 육성이 목표지난 11월 첫째 주 ... ...
신경세포에서 엿본 영혼의 그림자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실험으로 증명하려고 한다. 그가 KAIST에 실험실을 연 것은 지난해 9월. 현재 박사과정 1명,
석사
과정 학생 3명이 함께 연구하고 있다. 김 교수는 “원래 전공은 신경과학이 아니었다”고 한다. 그는 KIST 신희섭 박사와 함께 생쥐에서 배아줄기세포를 국내 최초로 만들어 낸 주역이다. 일부 유전자 ... ...
에너지 독립국가 건설하는 화학자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담임선생님의 조언으로 좀더 실용적인 학문인 화학을 택했다. 고려대에서 학사와
석사
과정을 마친 후 1969년 캐나다 온타리오대 화학과로 유학을 떠났다.바로 이곳에서 그의 운명을 결정짓는 ‘사건’이 발생했다. 그의 연구주제는 자연에서 가장 불안정하다고 알려진 원소인 불소의 특성을 ... ...
2. 은하의 먹이사슬 밝힌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기대하고 있다.찬드라 너는 내 운명 - 김동우서울대 천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에서
석사
학위까지 받은 ‘토종’ 한국인이다. 미국 하버드대에서 박사후 연구원까지 지낸 뒤 1991년 충남대 천문우주과학과 교수로 부임했다. 2년 뒤 안식년을 이용해 하버드대에서 X선 연구를 계속했고,결국 1996년 ... ...
이전
44
45
46
47
48
49
50
51
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