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원인"(으)로 총 4,380건 검색되었습니다.
- 2012년 메르스코로나바이러스 ┃사스와는 다른 ‘중동의 사스’ 메르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명확한 전파 경로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낙타와의 접촉이 메르스 감염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졌는데, 낙타는 중간 숙주다. 연구자들은 사스와 마찬가지로 메르스도 박쥐에서 전파됐을 것으로 추정했다. 즉 박쥐를 먹은 사향고양이가 사스코로나바이러스를 퍼뜨린 것처럼, 박쥐와 접촉한 낙타가 ... ...
- 2019년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예측 어려운 신종 괴물의 출현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바이러스 발생지로 판단하고 폐쇄했다. 그리고 2020년 1월 7일, 미스터리였던 폐렴 증상의 원인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즉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로 밝혀졌다. 이는 2002년 사스 코로나바이러스, 2012년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와 동일한 베타(β) 코로나바이러스 계통이지만, 기존에 없던 새로운 ... ...
- 코로나19 팩트체크┃모기 물려도 전파된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모기는 바이러스 매개체 아냐 날씨가 더워지고 모기가 기승을 부리면서 코로나19 확진자를 문 모기가 다른 사람을 물면 감염이 된다는 얘기가 퍼지고 있다. 그러나 모기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를 옮기는 매개체가 될 수 없다. 사스코로나바이러스-2는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이 기침이나 재채기 ... ...
- 바이러스는 어떻게 생겨났을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벗어난 뒤 특정 효소와 단백질을 얻으면서 바이러스가 됐다고 설명한다. 소아마비의 원인이 되는 폴리오바이러스, 모기와 포유동물을 오가며 생활하는 신드비스바이러스 등의 RNA 구조가 세포에 있는 전령RNA(mRNA)와 매우 닮아있다는 점이 세포탈출설을 뒷받침한다. 이들 바이러스는 복제 관련 효소의 ... ...
- 무조건 막는다, 면역세포의 방어 전략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내 몸의 것을 남의 것으로 인식하는 자가면역질환으로 고통받을 수도 있다. 어떤 원인으로 발생하든 자가면역질환은 현재도 고치기 힘든 난치병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전 세계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환자가 6월 16일 기준 800만 명을 넘어섰다. 인간은 새롭게 출현한 코로나19를 ... ...
- 단백질 백신_B형 간염 백신 Hepatitis B vaccine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백신만큼 신뢰할 수 있다. 단백질 백신은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원인인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와 같은 새로운 바이러스가 등장했을 때 주목을 받는다. 백신 개발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부작용 탐색 과정이 세포전체 백신에 비해 간단해 개발 기간이 짧기 때문이다 ... ...
- 만능 인플루엔자 백신 Universal flu vaccine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대해 면역력(항체)을 만들어낼 수 있는 백신이다. 현재 백신은 감염병이 발생한 뒤 원인이 되는 바이러스에 맞춰 개발된다. 그런데 만능 백신은 이론적으로 감염병이 발병하기 전에 우리 몸이 예방할 수 있게 만드는 백신을 말한다. 이런 꿈 같은 백신이 과연 가능할까. 전문가들은 불가능하지는 ... ...
- Chapter 01. 대유행┃ 최근 50년간 인간을 괴롭힌 바이러스 7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사망했다. 사인은 독감이었다. ‘스페인독감’으로 알려진 인플루엔자바이러스가 원인이었다. 스페인독감은 1918년 발병해 이듬해 1919년까지 그야말로 전 세계를 마비시켰다. 당시 스페인독감으로 인한 사망자는 5000만 명 이상으로 추정된다. 일부 섬나라에 소수로 모여 살던 원주민은 전멸했다 ... ...
- 2016년 지카 바이러스 ┃치사율 ‘제로’에도 공포를 일으킨 바이러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기형아 출생이 무려 30배 가까이 증가한 것이다. 브라질 보건당국은 지카 바이러스를 원인으로 지목했다.지카 바이러스는 1947년 아프리카 우간다 지카 숲에 사는 붉은털원숭이에서 처음 발견됐다. 지카 바이러스는 황열바이러스, 뎅기바이러스 등과 함께 플라비바이러스속(Flavivirus)에 속한다. ... ...
- 바이러스는 얼마나 다양할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바이러스의 존재는 여전히 불분명했다. 그저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이 근본적인 원인일 것으로 추측하는 데 그쳤다. 러시아 생물학자 드미트리 이바노프스키 역시 마찬가지였다. 다만 그는 1892년 담뱃잎의 모자이크병을 일으키는 무언가가 세균을 거를 수 있는 필터도 가뿐하게 통과한다는 사실을 ... ...
이전4445464748495051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