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원자"(으)로 총 2,51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화학상] 현미경의 ‘혁명’을 이끌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문제를 하나씩 해결해 나갔다. 그 결과 1990년 박테리오로돕신의 전자현미경 이미지를 원자 수준의 해상도로 얻는 데 최초로 성공했다. 그의 연구는 현재의 극저온전자현미경이라기보다는 X선 결정학의 X선을 전자로 대체한 ‘전자 결정학’이라고 할 수 있다. 생체 분자를 결정으로 만들고 농축된 ... ...
- [Career] 우리만 가졌다 차세대 전극 제조법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왔다. 하지만 공기 중에 몇 시간만 노출되면 산화돼 성능이 급감한다. 연구팀은 탄소원자 한 층으로 이뤄진 소재인 그래핀이 투명하고 잘 휘어질 뿐 아니라 기체를 투과시키지 않는다는 점에 착안해 구리나노선을 코팅하는 방법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아이디어는 간단했다. 하지만 구리나노선을 ... ...
- Part 1. 휘발성유기화합물 검출 경로 추적해보니과학동아 l2017년 10호
- 500~1000배에 이르는 물을 흡수할 만큼 흡수력이 뛰어난 합성 고분자 물질이다. 탄소 원자로 이뤄진 고분자 사슬에 물을 좋아하는 이온을 붙여서 만든다. 물을 흡수하면 백색가루에서 투명하고 동그란 겔 형태로 바뀐다. 그 뒤에는 압력을 가해도 물이 다시 새어 나오지 않는다. 임대영 그룹장은 ... ...
- [과학뉴스] AI 이용해 덜 녹스는 금속 개발과학동아 l2017년 09호
- 강도와 무게, 수명 같은 특성을 예측하는 컴퓨터 알고리듬을 개발했다. 지금까지 어떤 원자 구조가 물질을 더 강하게 만들지, 혹은 더 유연하게 만들지 예측할 수 있는 시스템은 개발된 적이 없었다. 이번에 개발한 알고리듬은 애플의 인공지능 ‘시리’와 비슷하다. 시리는 사용자의 음성을 들으면 ... ...
- [과학뉴스] ‘얼음 행성’ 깊숙한 곳 구조는…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암모니아 수화물은 압력이 65GPa(기가 파스칼, 1GPa은 대기압의 1만 배)이 넘어가자 수소 원자가 떨어져 나가면서 이온상태의 암모니아 반수화물 (O2-(NH4+)2)이 됐다. 그 뒤 해왕성 내부 압력인 500GPa이 될 때까지 암모니아 반수화물은 안정한 상태를 유지했다. 연구팀은 “암모니아 반수화물이 얼음 행성 ... ...
- [Future] 카멜레온 같은 감성금속으로 말할 것 같으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분산시켜 넣어 자가치유합금을 개발하고 있다. 비결정성 금속은 마치 유리처럼 내부 원자가 제멋대로 흩어져 있는 금속으로, 결정성 금속보다 강도가 월등히 크다. 콘크리트에 하듯 치유제 캡슐을 넣는 방안도 있다.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에 치유제(Sn6Pb4)가 든 튜브를 심어놓고, 균열이 생겼을 때 ... ...
- [Issue] 화려함을 디자인하는 과학, 불꽃놀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빠르게 돌아가려고 한다. 이때 흡수했던 에너지를 가시광선 파장의 빛으로 방출한다. 원자마다 이 흡수 에너지량이 다르기 때문에 색깔이 각각 다르게 보인다. 예를 들어 타상연화에 들어있는 금속이 스트론튬(Sr)이면 빨간색, 리튬(Li)이면 분홍색, 나트륨(Na)이면 노란색, 칼슘(Ca)이면 오렌지색, ... ...
- Part 3. 우주는 한 개가 아니다?수학동아 l2017년 09호
- 볼 수 있다. 무한히 갈라지는 우주양자역학은 기존 이론으로는 잘 설명이 되지 않았던 원자나 전자 같은 미시세계를 다루기 위해 20세기에 등장한 물리학의 한 분야다. 그런데 양자역학은 현상을 확률적으로 해석한다. 예를 들어 지우개와 입자가 방 안 어디에 있는지 묻는 문제를 생각해 보자. ... ...
- [과학뉴스] 토스터 크기 검출기로 ‘유령 입자’ 검출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중성이며 질량이 거의 없는 중성미자의 파동이 물질의 원자핵과 부딪혀 핵이 밀려나는 현상이 예측된 지 43년 만에 최초로 관측됐다. 중성미자는 물질과 거의 반응하지 않아 ‘유령 입자’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비활성 중성미자는 암흑물질의 유력한 후보이기도 하다. 미국, 러시아 등 4개국 8 ... ...
- [Future] 재난구조로봇 1등은 ‘나야 나’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로봇이 여럿 개발됐지만 방사능 수치가 너무 높아 고장을 일으켰다. 고로 야나세 도시바 원자력시스템 및 서비스사업부 총 책임자는 “오염수가 범람할 수도 있는 특수 지역에 로봇을 보내는 일이 가장 큰 과제”라며 “고준위 방사선을 차폐하는 소형 로봇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6월 15일 ... ...
이전4445464748495051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