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그라미
서클
기본형
으뜸꼴
원
모형
둥근꼴
d라이브러리
"
원형
"(으)로 총 927건 검색되었습니다.
자동 주차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 생식 등 세포가 가진 생명체의 특성과 세포적 기능을 연구하는 분야 세포내에 있고
원형
질의 일부가 특수하게 분화한 구조물의 총칭 세포소기관이란 말은 본래 원생동물처럼 개체가 세포 하나로 된 경우에 개체내의 기관이 그대로 세포내 구조가 되어 있어 붙여진 것이다세포에서 세포 밖으로 ... ...
3 21세기 미라 냉동인간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새긴 부활에의 꿈영원불멸을 소망한 고대 이집트 사람들은 사람이 죽은 뒤 그 육신이
원형
그대로 보존돼 있어야 한다고 믿었다. 만일 육체가 훼손되면 사망할 즈음 분리된 정신과 다시 결합할 수 없고 결국 저승에서 부활이 불가능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고대 이집트에서는 남녀노소 ... ...
95광년 밖에서 태양계의 형제 발견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목성의 약 2배 크기이고 태양과 지구 사이의 3배 이상 되는 거리에서 별 주위를 거의
원형
궤도로 돌고 있다. 태양으로부터의 거리가 지구의 5.2배인 목성보다 작은 공전궤도를 갖는 셈이다. 공전주기는 6년으로 12년인 목성의 절반이다. 이 수치는 지금까지 밝혀진 1백여개의 태양계 밖 행성계 중에서 ... ...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모래사막 해안사구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집중되면 모래가 깎여 움푹 패인 취식와지(blow-outs)가 형성된다. 취식와지는
원형
이나 타
원형
의 접시 모양으로 깎인 것이 대부분이지만, 그 모양이 바람이 부는 방향으로 더 길어지면 U자형 사구(U-shaped dune)나 머리핀형 사구(hairpin dune)라고도 불린다. 형성된 직후에는 육안으로도 쉽게 구분된다. 언뜻 .. ...
2 정자, 난자, 배아 얼려 임신 조절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동결보존이란 세포나 조직, 기관, 개체를 저온에서 장기간 보관해 가능한 한
원형
을 유지하고자 하는 것을 말한다. 물론 이렇게 동결보존하는 목적은 이를 다시 해동해서 냉동 이전의 상태로 되돌리려는 것이다. 지금까지의 기술로 냉동보존이 가장 흔하게 이뤄지고 있는 대상은 하나의 세포다. ... ...
영화 매트릭스의 세계 실현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탄생과 거의 같은 시기에 시작됐다.1936년 영국의 앨런 튜링은 오늘날 사용되는 컴퓨터의
원형
이라고 할 수 있는 ‘튜링 머신’이란 기계를 만들었다. 또한 튜링은 인공지능에 대한 최초의 실제적인 판단기준인 ‘튜링 테스트’를 제시하기도 했다.튜링 테스트의 아이디어는 간단하다. 즉 사람이 ... ...
지수귀문도 해결의 열쇠 유전알고리즘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따라서 그는 다양한 모습의 숫자배열을 연구했는데, 사각형 형태인 마방진은 물론
원형
, 십자형, 거북등형 등의 숫자배열에 깊은 관심을 가졌다.지수귀문도의 비밀최석정이 제시한 여러 배열도 중에서 가장 눈길을 끄는 것은 거북등 모양으로 숫자를 배열하는‘지수귀문도’(地數龜文圖)다. 이는 ... ...
적외선우주 관측하는 새로운 망원경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것은 특별한 증상은 나타나지 않으나 중증으로 급속히 진행되면 세균 감염을 받기 쉽다
원형
질(原形質)에 작은 구상(球狀) 또는 봉상과립(棒狀顆粒)이 존재하는 백혈구 과립은 어느 것이나 조대(粗大)하고 핵은 분엽형(分葉形)인데, 호중구에서는 그 분엽의 수가 다른 2종에서 보다 많은 것이 ... ...
사스바이러스는 감기바이러스의 돌연변이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압력으로 인해 변위된 양을 링크 · 기어 같은 기계장치로 확대하여 그 압력을
원형
눈금판의 지침이 표시하는 값으로 읽을 수 있다 주입 습곡작용에 의해 조성된 지질구조 지각 중에서 주위의 암석보다 비중이 작고 소성(塑性)유동을 하기 쉬운 물질이 위쪽의 암층균열을 따라 상승하여 이를 ... ...
봄밤 처녀자리에 풍성한 은하무리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일직선으로 점차 움직여간다는 사실을 확인하면 흑점과 구분할 수 있다. 또 정확히 둥근
원형
을 하고 있다는 점도 구별을 가능하게 하는 요소다. 수성은 14시 13분 태양표면에 진입하며 19시 31분 태양표면에서 완전히 벗어난다. 이날 오후 늦게는 항상 볼 수 있는 셈이다.관측 방법은 평소의 태양 ... ...
이전
44
45
46
47
48
49
50
51
52
다음
공지사항